[직류기]6. 직류발전기의 종류, 종류별 특성 (1) 타여자 발전기 ⦁ 회로 ⦁ 무부하 특성곡선 ⦁ 외부 특성곡선 특징 - 잔류자속이 없어도 된다. - 역회전 운전이 가능 - 정전압 공급 용도 - 시험용 직류전원 - 직류 전동기 전원용 - 교류 발전기 여자(계자)전원 (2) 자여자 발전기 ㉠ 분권 ⦁ 회로 ⦁ 무부하 특성곡선 - 잔류자속이 있어야 한다.(전압 확립 조건) - 역회전 : 전류의 방향이 반대가 되면 기존의 자속 방향과 반대, 기전력이 유기되지 않기 때문에 역회전 운전 불가 - 분권계자저항이 임계저항선보다 작아야 한다. - 임계저항선보다 분권계자저항이 크면 발전하지 못한다. - 기동 시 분권계자저항이 최대 (분권계자저항 : 계자저항조절을 위한 저항) ⦁ 외부 특성곡선 ㉡ 직권 ⦁ 회로 ⦁ 무부하 특성곡선 무부하 시 전압확립 X ⦁ 외부 특.. 2020. 8. 6. [직류기]5. 정류작용 정류 : 교류를 직류로 정류 변환 정류종류 ① 직선 정류 : 이상적인 정류 ② 정현파 정류(보극 설치) : 불꽃이 없는 정류 ③ 부족 정류 : 브러시 뒤편에 불꽃이 발생 ④ 과 정류(보극이 과하게 설치) : 브러시 앞면에 불꽃이 발생 정류시간(Tc) 리액턴스 전압 정류를 하는 동안 리액턴스 전압이 발생(코일이기 때문에) ※ 리액턴스 전압은 정류가 잘되는 것을 방해한다. 양호한 정류가 되기 위해서는 ⦁ 리액턴스 전압이 작을 것 ⦁ 인덕턴스가 작을 것 ⦁ 정류주기가 클 것 → 회전속도가 느릴 것 ⦁ 적당한 보극 설치 ⦁ 접촉저항이 큰 브러시를 사용(탄소질 브러시) 2020. 8. 5. [직류기]4. 전기자 반작용 전기자 반작용 : 계자에서 나온 주자속에 의해 유기된 기전력, 그 기전력의 전류에 의한 자속이 주자속에 영향을 주는 현상. 영향 (1) 주자속이 감소 유기기전력이 감소 (2) 중성축 이동(발전기는 회전방향, 전동기는 회전반대방향) ⦁ 감자 작용 : 전기자 기자력이 계자 기자력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주자속이 감소하는 현상 ⦁ 교차자화 작용 : 전기자 기자력이 계자 기자력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여 자속분포가 일그러지는 현상 ⦁ 기자력 F=NI (3) 브러시에 불꽃이 발생, 정류불량 발생 ※ 방지대책 ⦁ 보상권선을 설치(전기자 권선과 직렬로, 극성을 반대로 설치) ⦁ 브러시에 전기전 중성축을 이동 ⦁ 보극설치(N, S극 설치) 전기자 반작용 대책보다는 양호한 정류를 위해 2020. 8. 4. [직류기]3. 직류발전기의 유도기전력 직류 발전기 도체의 전개도 ※유기기전력은 자속, 회전 수에 비례 2020. 8. 3. 이전 1 ··· 8 9 10 11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