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류기]10. 직권 전동기 ⦁ 회로 ⦁ 속도 특성 - 무부하 시는 부하전류 I가 0, 직권계자전류 Is가 0(I=Is), 자속이 0이 되고, 위험속도 도달. - 무부하운전금지 : 벨트운전금지 ⦁ 토크 ⦁ 용도 - 기동전류가 크다. - 기동토크가 크다. 전차용 - 정출력 특성이 있다. ⦁ 토크 및 속도 특성 그래프 2020. 8. 10.
[직류기]9. 분권 전동기 ⦁ 회로 ⦁ 속도특성 1. 정격 운전 중 분권계자가 단선되면 자속이 0, 속도 N이 무한하게 된다.(위험속도) 2. 속도제어 계자저항 Rf 증가하면 계자전류 If가 감소, 계자전류 감소로 인해 자속이 감소하면 속도가 증가한다. ⦁ 토크 ⦁ 용도(분권 전동기는 정속도 전동기) 공작기계, 압연기 2020. 8. 9.
[직류기]8. (타여자) 전동기 계자가 일정할 때 전기자 전류의 방향을 바꾸면 회전방향이 바뀐다. 전기자 전류의 방향이 일정할 때 계자(주자속)의 방향을 변경하면 회전방향이 바뀐다. 기동 : 기동전류는 작아야 한다. 기동토크는 커야한다. 기동 시는 회전하고 있지 않을 때를 말한다. 회전하고 있지 않을 때 역기전력은 0 전기자 저항 Ra는 상당히 작은 값이다. 따라서 정격전압에 의한 기동전류는 무지 큰 값으로 흐르고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자저항 앞단에 저항 R을 연결한다. ⦁ 속도 N[rpm] ⦁ 토크 T[N⋅m] T=F⋅r[N⋅m] ⦁ 토크식 ⦁ 용도 압연기, 엘리베이터 2020. 8. 8.
[직류기]7. 병렬운전 조건 병렬운전 조건 1. 극성이 같을 것 2. 단자전압이 같을 것 3. 외부특성곡선이 같을 것(유사할 것) 4. 용량은 임의의 것(용량이 큰 쪽이 더 많이 부담한다.) 5. 수하특성을 갖을 것 6. 직권이나 복권을 병렬운전 시 균압선이 필요하다.(직권과 복권은 직권계자를 갖고 있다.) 2020. 8.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