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류기]2. 전기자 권선법 (1) 환상권, 고상권 ⦁ 환상권 : 제작하기 어렵고, 유지보수 어렵고, 발전 효율도 좋지 않다. ⦁ 고상권 : 상대적으로 제작하기 쉽고, 유지보수 역시 쉽고, 발전 효율도 좋다. 고상권 채택. (2) 단층권, 이층권 ⦁ 2층권 채택 (3) 중권(병렬권), 파권(직렬권) 총도체수(Z) 8개, 극수(P) 4개 중권 a(병렬 회로 수) = P(극 수) = 4 / 파권 a = 2 ⦁ 중권 : 저전압 대전류에 유리 ⦁ 파권 : 고전압 저전류에 유리 중권은 병렬연결간 이상적이지 않고 차이가 생김 4극 이상에선 균압환(균압모선)이 필요하다. 2020. 8. 2.
[직류기]1. 직류 발전기의 구조, 구성 (1) 계자(계자철심+계자권선) : 자속을 생산 (2) 전기자(전기자철심+전기자권선) : 기전력을 생산 전기자권선에 기전력이 유기되어 전류가 흘러 자속이 발생 철심이 자화되고 실질적으로 손실(철손 : 히스테리시스손, 와전류) ※ 와전류(:자속의 시간적 변화가 회전하는 전류를 만든다.) → 열 발생(손실) (3) 정류자(교류를 직류로 변환) 내부로는 전기자와 연결, 외부로는 브러시와 연결 ※ 전기자의 양쪽으로 감긴 두 도체(권선)는 하나의 코일을 만든다.(코일이 1일 때 도체의 수는 2개) (4) 브러시 : 브러시와 정류자는 기계적으로 연결, 연결위해 압력 필요(0.15~0.25[㎏/㎠]) 브러시의 종류 탄소 브러시 접촉저항이 크다 → 저전류, 저속의 사용 흑연 브러시 접촉저항이 작다 → 대전류, 고속의 .. 2020. 8. 1.
전기기기 요약 직류기, 동기기, 변압기, 유도전동기, 정류기기가 아닌 회전기와 정지기로 분류 ⦁ 회전기 : 발전기, 전동기 ⦁ 정지기 : 변압기, 정류기 발전기 ⦁ 기계적 E → 전기적 E ⦁ 회전자가 회전, 원동기 → ★기전력 ※ 발전기 앞단에 원동기가 달려있다. 전동기 ⦁ 전기적 E → 기계적 E ⦁ 전원 → ★회전력(토크) 1. 발전기(기계적 E → 전기적 E) 회전전기자형(직류기) 회전계자형(동기기) 고정자 계자(자속) 전기자 회전자 전기자(기전력) 계자 ⦁ 계자 : 계자권선에 계자전류를 흘려 계자철심에 자속이 발생, 자속을 공급 ⦁ 전기자 : 전기자철심에서 자속이 쇄교, 기전력이 전기자 권선에 유기 (1) 기전력의 파형을 개선하려면 전기자 권선법을 건드려라. ⦁ 직류기 : 고상권, 폐로권, 이층권 ⦁ 동기기 .. 2020. 4.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