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압기]6. 변압기의 구조 (1) 구조 ⦁ 철손(철심)과 동손(권선)에서 열 발생 ⦁ 철손(히스테리시스손-규소(4%)강판, 와류손 성층철심) (2) 절연물 ㉠ 절연장소 ⦁ 권선과 권선간의, 권선과 철심간의, 권선의 층간 ㉡ 절연물의 허용온도 Y종 A종 E종 B종 F종 H종 C종 90° 105° 120° 130° 155° 180° 180° 초과 ⦁ 절연유(절연물) - 절연과 동시에 열을 냉각시켜줘야 한다. ㉢ 절연유의 구비조건 ⦁ 절연내력이 클 것 ⦁ 비열이 크고 열전도도 크다. → 냉각효과가 좋아야 한다. ⦁ 인화점이 높을 것 ⦁ 응고점이 낮을 것 ⦁ 화학적으로 안정적일 것 ⦁ 고온에서 침전물이 없을 것, 산화하지 말 것 ⦁ 점도가 낮고 유동성이 있을 것 ⦁ 중량이 적을 것 ㉣ 절연유의 열화(능력 감소) ① 열화과정 변압기의 열이.. 2020. 8. 26. [변압기]5. 손실과 효율 (1) 손실 (2) 손실 활용 ㉠ 무부하 시험 유효전력계에 의해 유효분인 철손을 구할 수 있다. 전류계에 의해 여자전류를 구할 수 있다. 1차측 전압, 여자전류를 알면 여자어드미턴스를 알 수 있다. ∴ 무부하 시험을 통해 철손, 여자전류, 여자어드미턴스를 알 수 있다. ㉡ 단락시험 동손 단락전류가 2차정격과 같게 됐을 때 단락을 했기 때문에 전류가 어드미턴스똑으로도, 2차측으로도 흐른다. 전력계에선 임피던스 권선의 저항(동손), 여자어드미턴스의 저항(철손)을 측정 2차측 단락전류에 비해 1차측 여자어드미턴스 전류는 매우 작다. ∴ 철손을 무시하고 동손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전압계(V1)가 측정하는 건 1차측 전압이며 전압계가 지시하는 것을 변압기의 내부임피던스전압, 내부임피던스 전압을 알기 때문에 임피던.. 2020. 8. 25. [변압기]4. 전압변동률 (1) 전압변동률(기준은 2차측) ※ 부하가 지상일 때 진상일 때 전압변동률(역률이 1일 때) (2) 최대전압변동률 (3) 변압기 정격(명판에 명시) 정격용량(피상전력[VA])은 2차 정격전압 × 2차 정격전류 2차 정격전압은 정격용량하에서 2차측 단자전압 2차 정격전류은 정격용량하에서 2차측 전류 ※ 1차측 : 전력 공급측 2차측 : 부하가 연결, 정격은 2차측 기준 2020. 8. 24. [변압기]3. 실제 변압기 [변압기]3. 실제 변압기 (1) 실제 변압기 (2) 임피던스 정합 (3) 등가회로 ① 등가회로를 그리기 위한 시험 ⦁ 저항측정시험 ⦁ 무부하시험(=개방시험) ⦁ 단락시험 ② 변압기의 극성 2020. 8. 23. 이전 1 ··· 3 4 5 6 7 8 9 ···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