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사재료]피뢰기, 피뢰침, 접지 설비 기출 ◆ 피뢰설비를 시설하고 이것을 접지하기 위한 인하도선에 동선 재료를 사용할 경우의 단면적[mm²]은 얼마 이상인가?(2015, 2019) ◆ 피뢰침용 인하도선으로 가장 적당한 전선은?(2017) △ 피뢰침 설비 수뢰부, 인하도선, 접지극은 동선 50[㎟] 이상으로 한다. ◆ 피뢰를 목적으로 피보호물 전체를 덮은 연속적인 망상 도체(금속판도 포함)는?(2015, 2019) △ 피뢰 방식의 기술 ⦁ 돌침 방식 : 일반건축물 60° 이하 또는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물 45° 이하 ⦁ 용마루위 도체 방식 : 일반건축물 60° 이하 또는 도체에서 수평거리 10[m] 이내 부분 ⦁ 케이지 방식 : 건조물 주위를 피뢰도선으로 감싸는 방식, 완전보호방식 ◆ KS C IEC 62305에 의한 수뢰도체, 피뢰침과 인하도선의.. 2020. 4. 23.
[공사재료]금속관, 합성수지관 기출 ◆ 배관공사, 금속 덕트, 케이블 랙 등을 사용한 간선방식에서 전선을 당기기 위해 배관거리 몇 [m]를 넘는 직선거리 마다 풀박스를 사용하는가? △ 관의 굴곡 금속관 공사에서 굴곡개소가 많은 경우 또는 관의 길이가 3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풀박스를 설치한다. ◆ 옥외의 빗물의 침입을 막는데 사용하며 금속관 공사의 인입구 관 끝에 사용하는 재료는?(2014) △ 엔트렌스캡(Entrance Cap), 우에사캡 인입구, 인출구의 관단에 설치하여 금속관에 접속하여 옥외의 빗물을 막는 데 사용 ◆ 금속관 공사에서 절연부싱을 쓰는 목적은?(2017) △ (절연)부싱 사용용도 : 전선 관단에 끼우고 전선을 넣거나 빼는 데 있어서 전선의 피복을 보호하여 전선이 손상되지 않게 하는 것 ◆ 저압 가공 인입선에서 금속.. 2020. 4. 22.
[공사재료]배전반, 분전반 기출 ◆ 배전반 및 분전반을 넣은 함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13) ◆ 배전반 및 분전반 함이 내아크성, 난연성의 합성수지로 되어 있는 것은 몇 [mm]이상인가?(2015) ◆ 배전반 및 분전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3, 2015, 2016, 2019) △ 분전함 ⦁ 반의 옆쪽 또는 이면에 설치하는 가터는 강판재로서 전선을 구부리거나 눌리지 아니 할 정도로 충분히 큰 것이어야 한다. ⦁ 목제함은 최소 두께 1.2[cm](뚜껑은 제외) 이상으로 불연성 물질을 안에 바른 것이어야 한다. ⦁ 난연성 합성수지로 된 것은 두께 1.5[mm] 이상으로 내아크성인 것이어야 한다. ⦁ 강판제의 것은 일반적인 경우 1.2[mm] 이상이어야 한다. ◆ 다음 중 분전함에 내장되는 부품은?(2013) △ 분.. 2020. 4. 21.
[전기응용]전기철도의 전식(전기적인 부식) ◈ 전기철도의 전식(전기적인 부식) : 전차선의 전류가 레일의 접속 부분의 저항이 커서 레일을 통해 돌아가지 못하고 대지로 누설되어 그 부근의 수도관이나 가스관 등의 지중관을 통해 흐르다 지중관에서 다시 유출하는 하게 된다. 그 때 유출하는 부분에 생기는 전기적인 부식. ▲ 전식 방지 대책 (1) 전차선측 대책 ㉮ 귀선의 저항을 작게 한다. ⦁ 레일 본드 : 레일과 레일사이의 접속(저항을 감소시킨다.) ⦁ 크로스 본드 : 좌, 우측 레일의 전압 분포를 균일하게 연결 ㉯ 레일의 절연을 증가한다. ☞ 레일과 대지간 절연 ㉰ 변전소 간격을 좁힌다. ☞ 누설 전류 감소, 전압강하 감소, 전력손실 감소 ☞ 변전소 수가 증가하면 설비비가 증가하는 단점도 존재 (2) 지중관로측 대책 ㉮ 선택 배류법 : 귀선과 등전위.. 2020. 4.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