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관공사, 금속 덕트, 케이블 랙 등을 사용한 간선방식에서 전선을 당기기 위해 배관거리 몇 [m]를 넘는 직선거리 마다 풀박스를 사용하는가?
△ 관의 굴곡
금속관 공사에서 굴곡개소가 많은 경우 또는 관의 길이가 3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풀박스를 설치한다.
◆ 옥외의 빗물의 침입을 막는데 사용하며 금속관 공사의 인입구 관 끝에 사용하는 재료는?(2014)
△ 엔트렌스캡(Entrance Cap), 우에사캡
인입구, 인출구의 관단에 설치하여 금속관에 접속하여 옥외의 빗물을 막는 데 사용
◆ 금속관 공사에서 절연부싱을 쓰는 목적은?(2017)
△ (절연)부싱 사용용도 : 전선 관단에 끼우고 전선을 넣거나 빼는 데 있어서 전선의 피복을 보호하여 전선이 손상되지 않게 하는 것
◆ 저압 가공 인입선에서 금속관 공사로 옮겨지는 곳 또는 금속관으로부터 전선을 뽑아 전동기 단자부분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것은?(2017)
△ 금속관 공사용 부품
⦁ 터미널 캡 : 전동기에 접속하는 장소나 애자 사용 공사로 옮기는 장소의 판단에 사용
◆ 금속관에 넣어 시설하면 안되는 접지선은?(2019)
△ 제1종, 제3종 및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시설방법
제1종 접지공사, 제3종 접지공사 및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선은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① 접지선이 외상을 받을 우려가 있는 경우는 합성수지관(두께 2[mm] 미만의 합성수지제 전선관 및 난연성이 없는 CD관 등은 제외한다.)등에 넣을 것. 다만,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경우 또는 제3종 접지공사 혹은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선은 금속관(가스철관을 포함한다)을 사용하여 방호할 수 있다.
주. 피뢰침 피뢰기용의 접지선은 금속관에 넣지 말 것.
② 접지선은 (접지하여야 할 기계기구로부터 60[cm] 이내의 부분 및 지중 부분은 제외한다.) 합성수지관(두께 2[mm] 미만의 합성수지제 전선간 및 난연성이 없는 CD관 등은 제외한다.) 등에 넣어 외상을 방지할 것
◆ 합성수지관 상호간 및 간과 박스 접속 시에 삽입하는 최소 깊이는?(단,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한다.)(2019)
△ 관 상호 간 및 박스와는 관을 삽입하는 깊이를 관의 바깥 지름의 1.2배(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0.8배) 이상으로 견고하게 접속할 것
'전기공사기사 >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사재료]가공전선로 기출 (0) | 2020.04.24 |
---|---|
[공사재료]피뢰기, 피뢰침, 접지 설비 기출 (3) | 2020.04.23 |
[공사재료]배전반, 분전반 기출 (0) | 2020.04.21 |
[전기응용]전기철도의 전식(전기적인 부식) (0) | 2020.04.20 |
[전기응용]전동기 용량(출력) 계산 (0) | 2020.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