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전반 및 분전반을 넣은 함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13)
◆ 배전반 및 분전반 함이 내아크성, 난연성의 합성수지로 되어 있는 것은 몇 [mm]이상인가?(2015)
◆ 배전반 및 분전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3, 2015, 2016, 2019)
△ 분전함
⦁ 반의 옆쪽 또는 이면에 설치하는 가터는 강판재로서 전선을 구부리거나 눌리지 아니 할 정도로 충분히 큰 것이어야 한다.
⦁ 목제함은 최소 두께 1.2[cm](뚜껑은 제외) 이상으로 불연성 물질을 안에 바른 것이어야 한다.
⦁ 난연성 합성수지로 된 것은 두께 1.5[mm] 이상으로 내아크성인 것이어야 한다.
⦁ 강판제의 것은 일반적인 경우 1.2[mm] 이상이어야 한다.
◆ 다음 중 분전함에 내장되는 부품은?(2013)
△ 분전함에는 차단기류와 개폐기류를 내장한다.
여기서, 차단기류는 저압용
즉, NFB(배선용차단기), ELB(누전차단기), MCCB(배선용차단기), ACB(기중차단기)를 사용한다.
◆ 분전반의 소형 덕트 폭으로 틀린 것은?(2016)
◆ 전선의 굵기가 95[mm] 이하인 경우 배전반과 분전반의 소형 덕트의 폭은 최소 몇 [cm] 인가?(2018)
△ 배전반과 분전반의 소형 덕트 폭
전선의 굵기[㎟] |
배전반과 분전반의 소형 덕트 폭[㎝] |
35 이하 |
8 |
95 이하 |
10 |
240 이하 |
15 |
400 이하 |
20 |
630 이하 |
25 |
1000 이하 |
30 |
◆ 배전반 및 분전반의 설치 장소로 적합하지 않은 곳은?(2017)
△ 배전반 및 분전반
배전반 및 분전반은 다음 각 호와 같은 장소에 시설하여야 한다.
① 전기회로를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소
② 개폐기를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장소
③ 노출된 장소
④ 안정된 장소
◆ 배전반 및 분전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
△ 내선규정
② 배전반 및 분전반에 시설하는 기구 및 전선은 쉽게 점검할 수 있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③ 배전반 및 분전반을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하는 경우는 방수형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④ 한 개의 분전반은 한 가지 전원(1회선의 간선)만 공급하여야 한다.
'전기공사기사 >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사재료]피뢰기, 피뢰침, 접지 설비 기출 (3) | 2020.04.23 |
---|---|
[공사재료]금속관, 합성수지관 기출 (0) | 2020.04.22 |
[전기응용]전기철도의 전식(전기적인 부식) (0) | 2020.04.20 |
[전기응용]전동기 용량(출력) 계산 (0) | 2020.04.19 |
[전기응용]전동기 운동 역학 (0) | 2020.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