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공사기사/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공사재료]피뢰기, 피뢰침, 접지 설비 기출

by Aldrin 2020. 4. 23.
반응형

피뢰설비를 시설하고 이것을 접지하기 위한 인하도선에 동선 재료를 사용할 경우의 단면적[mm²]은 얼마 이상인가?(2015, 2019)

 피뢰침용 인하도선으로 가장 적당한 전선은?(2017)

 

피뢰침 설비

수뢰부, 인하도선, 접지극은 동선 50[] 이상으로 한다.

 

 

 

피뢰를 목적으로 피보호물 전체를 덮은 연속적인 망상 도체(금속판도 포함)?(2015, 2019)

 

피뢰 방식의 기술

돌침 방식 : 일반건축물 60° 이하 또는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물 45° 이하

용마루위 도체 방식 : 일반건축물 60° 이하 또는 도체에서 수평거리 10[m] 이내 부분

케이지 방식 : 건조물 주위를 피뢰도선으로 감싸는 방식, 완전보호방식

 

 

 

KS C IEC 62305에 의한 수뢰도체, 피뢰침과 인하도선의 재료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2018)

 

수뢰도체, 피뢰침과 인하도선의 재료로는 구리, 주석도금한 구리,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용융아연도금강, 스테인리스강이 사용된다.

 

 

 

피뢰설비 중 돌침 지지관의 재료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9)

 

돌침부 : 돌침, 돌침지지관, 지지철물, 설치대

돌침 지지관 : 강관, 스테인레스강관, 황동관, 알루미늄지지관

 

 

 

접지 저감재가 구비하여야 할 요소가 아닌 것은?(2013, 2018)

 

 접지 저감재의 구비 조건

지속성이 있을 것(반영구적일 것)

전극을 부식시키지 않을 것

전기적으로 양도체일 것

안전할 것

 

 

 

1종 접지공사에서 연동선을 접지선으로 사용할 경우 접지선의 공칭단면적은 최소 []이상 이어야 하는가?

 

접지공사의 접지선의 굵기(연동선)

1종 접지공사

6[]

2종 접지공사

16[] 또는 6[]

3종 접지공사

2.5[]

특별 제3종 접지공사

2.5[]

 

 

 

접지공사 시 접지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저감제?(2014)

 

보통의 경우 백필(흑연분말과 코크스 분말의 혼합물)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내선 규정에 의한 일반적인 접지 공사의 접지선의 색깔?(2014)

 

중성선 : 회색 또는 백색

 

 

 

접지극으로 탄소피복강봉을 사용하는 경우 최소 규격으로 옳은 것은?(2018)

 

접지극의 종류

동판 : 두께 0.7[mm] 이상, 면적 900[cm²] 이상

동봉, 동피복강봉 : 지름 8[mm] 이상, 길이 0.9[m] 이상

철봉 : 지름 12[mm] 이상, 길이 0.9[m] 이상의 아연 도금한 것

동복강판 : 두께 1.6[mm] 이상, 길이 0.9[m] 이상, 면적 250[cm²] 이상

탄소피복강봉 : 피복 8[mm] 이상의 강심, 길이 0.9[m] 이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