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소화용수설비 12.1 소화수조(저수조) 1. 개요 소화수조(저수조) 설비란 대규모의 부지 위에 축조된 건축물•고층건축물 등과 같이 많은 양의 소화용수를 필요로 하는 소방대상물의 인근에 설치하여 소방대상물의 화재 발생시 소화약제로 사용되는 물을 유효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소화수조•저수조 등에 저장하여 두는 설비이다. 소화수조•저수조 : 물을 항시 채워두는 것 채수구 : 소방차의 소방호스와 접결되는 흡입구 2. 소화수조 등 ① 설치위치 소화수조, 저수조의 채수구 또는 흡수관투입구는 소방펌프자동차의 채수구로부터 2m 이내의 지점까지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② 설치기준 가.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를 지하에 설치하는 경우 소화용수설비의 흡수관 투입구는 그 한변이 0.6m 이상이거나 직경이 0.6m 이상인 .. 2019. 7. 16. 11. 피난기구, 인명구조기구 11.1 피난기구 1. 개요 피난기구는 건축물의 화재발생을 예상하여 건축물에 설치하는 소방용 기계 • 기구 등으로서 건축물의 구조와 기능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의 피난기구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으며 설치하는 피난기구에 따라서 피난하는 방법을 습득하여 유사시 인명의 손실을 최소화하는데 노력하여야 한다. 2. 피난기구의 종류 (1) 구조대 구조대는 건축물의 3층 이상부터 설치하는 피난기구로서 비상시 발코니, 건축물의 창과 같이 개구할 수 있는 부분에서 지상까지 통상의 포대를 설치하여 그 포대의 내부를 활강하는 피난기구이다. ※ 구조대의 선정조건 • 안전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 • 연속으로 활강할 수 있는 제품 • 설치하는 장소에 맞는 면밀한 설계에 의해 사용상 결함이 없는 경량으로 만든 제품 (2) .. 2019. 7. 15. 10. 분말소화설비 1. 개요 분말소화설비는 연소확대 위험이 크거나 열과 연기가 충만하여 소화기구로는 소화할 수 없는 방호대상물에 설치한다. 기동은 수동과 자동에 의한 작동이 가능하며 불연성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소화분말을 배관으로 압송시켜 분사헤드 또는 노즐을 통해 방호구역에 분말소화약제를 방출시키는 설비이다. 특히 급격히 확대되는 가연성 액체의 표면화재를 소화하는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변전설비, 발전기 등 전기설비와 섬유나 종이화재에도 소화효과가 있다. 구성요소는 약제저장용기(가압용가스용기?), 정압작동장치, 압력조정기, 클리닝장치, 선택밸브, 분사헤드, 감지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 분말소화설비의 소화작용 ① 질식소화 : 분말약제가 방사되면 분말이 연소면을 차단하여 반응시 발생하는 CO₂와 수증기(H₂O)가.. 2019. 7. 14. 9.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오존층 보호를 위한) 1. 개요 (1) 청정소화약제의 특성 ① 현재의 청정소화약제는 1세대 대체물질(Substitute)로서 기존 Halon 1301에 비해 일반적으로 소화성능이 낮다. 청정소화약제는 오존파괴능력을 낮추기 위해 원인물질인 Br 등을 첨가하지 않고 F를 사용하는 HCFC, HFC 계열의 물질 등으로서 이로 인하여 Halon보다 소화성능이 떨어진다. I(Iodine)는 소화의 강도가 제일 강하나 타물질과 반응이 활발하여 분해부산물의 생성으로 인하여 독성, 부식성, 경제성 등으로 소화약제로서의 실용성이 없다. ② 청정소화약제는 ODP GWP ALT NOAEL 등에 대한 환경영향 평가를 만족하여야 한다. 가. ODP 는 오존층 파괴지수 나. GWP 는 지구 온난화지수 다. ALT 는 대기권 잔존수명을 뜻한다. 라. .. 2019. 7. 13. 이전 1 2 3 4 5 6 7 8 ··· 1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