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 스프링클러설비 1. 개요 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천장면에 설치된 스프링클러헤드가 감열 작동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화재를 발견함과 동시에 그 헤드로부터 화원과 그 주변에 물을 폭우가 쏟아지듯 뿌려줌으로써 화재를 초기 단계에서 효율적으로 소화하는 고정식 소화설비이다. 스프링클러설비는 수조, 가압송수장치, 소화펌프, 배관, 스프링클러헤드, 유수검지장치, 일제개방밸브, 기동용수압개폐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2. 스프링클러설비의 종류 (1) 습식스프링클러설비 : 가압송수장치에서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다가 화재로 인한 열로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방되면 배관 내에 유수가 발생하여 습식유수검지장치가 작동하게 되는 스프링클러설비를 말한다. (2) 건식스프링클러설비 : 건식유수검지장치 2차측.. 2019. 7. 7.
3. 옥외소화전설비 1. 개요 옥외소화전설비는 건물의 1, 2층과 옥외설비 및 기타의 장치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진압 또는 인접 건축물로의 연소확대를 방지할 목적으로 방호대상물의 옥외에 설치하는 수동식고정소화설비이다. 옥외소화전설비의 구성은 수원, 가압송수장치, 옥외소화전, 배관 등으로 구성한다. 2. 옥외소화전의 종류 방수구(개폐장치)의 설치위치가 지상(0.5m~1m)과 지하(지반밑 0.3m)에 따라 지상식, 지하식으로 구분한다. 또한 방수구(호스집결구)의 수에 따라 단구형과 쌍구형으로 구분된다. 3. 적용대상물 특정소방대상물(아파트 등,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둥 가스시설, 지하구 또는 지하가 중 터널을 제외) ① 지상 1층 및 2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9천m² 이상인 것. ② 보물 또는 국보로 지정된 목조건축물 ③ 공.. 2019. 7. 6.
2. 옥내소화전설비 1. 옥내소화전설비의 개요 옥내소화전설비는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건축물 내에 설치하는 고정식, 수동식의 물(수계)소화설비이다. 옥내소화전설비는 일반적으로 수원, 가압송수장치, 배관, 방수구, 제어반 등으로 구성된다. (1) 용어의 정의 • 고가수조 : 구조물 또는 지형지물 등에 설치하여 자연낙차의 압력으로 급수하는 수조 • 압력수조 : 소화용소와 공기를 채우고 일정 압력 이상으로 가압하여 그 압력으로 급수하는 수조 • 충압펌프 : 배관 대 압력손실에 따른 주펌프의 비번한 기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압역할을 하는 펌프 • 정격토출량 : 정격토출압력에서의 펌프의 토출량 • 정격토출압력 : 정격토출량에서의 펌프의 토출측 압력 • 진공계 : 대기압 이하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 2019. 7. 5.
1.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1. 소화기구 : 소화기, 자동소화장치, 간이소화용구 등 화재가 발생한 경우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가장 간편한 기구 2. 소화기 : 물이나 소화약제를 압력에 의하여 방사하는 기구로서 사람이 조작하여 소화하는 것 1) 가압방식에 따른 분류 ① 축압식소화기 본체용기 중에 소화약제와 함께 소화약제의 방출원이 되는 압축가스(질소 등)를 봉입한 방식의 소화기를 말한다. 소화기 용기 내부에 소화약제의 방사원이 되는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를 소화약제와 함께 혼합 저장하는 방식의 소화기로서 소화기의 용기 내부의 압력을 지시하는 지시압력계(지시압력 0.7~0.98MPa)가 부착되어 있다. ② 가압식소화기 소화약제의 방출원이 되는 가압가스를 소화기 본체용기와는 별도의 전용용기에 충전하여 장치하고 소화기 가압용가스.. 2019. 7.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