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는 하론소화설비라고도 한다. 주요 구성요소는 이산화탄소소화설비와 거의 유사하며 약제만 차이가 난다. 1. 할로겐화합물 소화원리 억제소화 : 연쇄반응의 연쇄물질을 억제하여 연쇄반응을 차단함으로써 소화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일종의 부촉매역할을 하는 것 2. 소화약제 저장용기 (1) 저장용기 기준 용기압력과 충전비 가압방식 가압식 축압식 소화약제 Halon 2402 Halon 1211 Halon 1301 압력(20℃)(MPa) 0.1 또는 2.5 2.5 또는 4.2 충전비(L/kg) 0.51 이상 0.67 미만 0.67 이상 2.75이하 0.7 이상 1.4 이하 0.9 이상 1.6 이하 3. 분사헤드 (1) 전역방출방식 ① 방사된 소화약제가 방호구역의 전역에 균일하게 신속히 확산할 수 있도록.. 2019. 7. 12. 7. 이산화탄소소화설비 1. 개요 이산화탄소소화설비는 스프링클러설비나 포소화설비 등 물에 의한 피해가 예상되는 장소나 전기화재, 유류화재 등에 사용된다. 소화 후에도 잔유물이 남지 않는다. 질식작용에 의해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설비이다.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는 신체에 치명적이다. 구성은 가스저장용기, 화재감지장치, 분사헤드, 기동장치, 음향경보장치, 배관, 자동폐쇄장치, 제어반, 비상전원 등으로 되어있다. ※ 음향경보장치(이유) : 경보를 발하여 주민을 대피시킨 후에 방출하기 위함 2. 이산화탄소소화설비 구성요소 (1) 선택밸브 : 방호구역 및 방호대상물이 여러 곳인 소방대상물에서 저장용기는 공용으로 하고 당해 방호구역 및 방호 대상물마다 설치하여 방사구역을 선택해주는 밸브이다. (2) 체크밸브 : 체크밸브는 기동용 동관 및 집합.. 2019. 7. 11. 6. 포소화설비 1. 개요 포소화설비는 물만으로는 소화가 불가능하거나 소화효과가 적거나 또는 오히려 화재를 확대시킬 우려가 있는 인화성액체 물질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하기 위한 소화설비이다. 포소화설비의 구성요소는 수조, 가압송수장치(소화펌프), 기동용수압개폐장치, 약제저장탱크, 포소화약제 혼합장치, 배관 및 관부속품, 유수검지장치, 일제(자동)개방밸브, 고정보방출장치, 포방출구 (1) 소화원리 ① 냉각작용 : 포는 수용액 상태이므로 방호대상물에 방출되면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기화하면서 연소면의 열을 탈취하는 냉각소화작용을 한다. ② 질식작용 : 포를 방호대상물에 방출하면 연소면을 뒤덮어 산소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질식소화작용을 한다. (2) 화재감지방법 ①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한 것은 천장면에 설치되어.. 2019. 7. 10. 5. 물분무, 미분무소화설비 1. 개요 스프링클러설비와 유사(하지만 서로 포함하진 않는다.) 물분무소화설비는 스프링클러설비의 방수압보다 고압으로 방사하여 물의 입자를 미세하게 무상주수(안개비 형상)로 분무시켜 물방울의 표면적을 없게 함으로써 유류화재, 전기화재 등에도 적응성이 뛰어나도록 한 소화설비이다. 구성은 수원, 가압송수장치, 배관 및 관부속품, 헤드, 일제개방밸브, 감지기, 유수검지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1) 물분무소화설비의 소화작용 ① 냉각작용 : 무상으로 방사된 미립자가 화열에 의해 신속하게 수증기로 되므로 다량의 증발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강력한 냉각작용으로 소화한다. ② 질식작용 : 물은 기화하면 체적이 매우 크게 팽창하여 화재의 열에 의해 분무는 수증기가 된다. 증기로 연소면을 피복해서 산소의 보급을 차단하여 질식에.. 2019. 7. 8. 이전 1 ··· 3 4 5 6 7 8 9 ··· 1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