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설비기사/(기계)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9.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오존층 보호를 위한)

by Aldrin 2019. 7. 13.
반응형

1. 개요

(1) 청정소화약제의 특성

현재의 청정소화약제는 1세대 대체물질(Substitute)로서 기존 Halon 1301에 비해 일반적으로 소화성능이 낮다. 청정소화약제는 오존파괴능력을 낮추기 위해 원인물질인 Br 등을 첨가하지 않고 F를 사용하는 HCFC, HFC 계열의 물질 등으로서 이로 인하여 Halon보다 소화성능이 떨어진다. I(Iodine)는 소화의 강도가 제일 강하나 타물질과 반응이 활발하여 분해부산물의 생성으로 인하여 독성, 부식성, 경제성 등으로 소화약제로서의 실용성이 없다.

청정소화약제는 ODP GWP ALT NOAEL 등에 대한 환경영향 평가를 만족하여야 한다.

. ODP 는 오존층 파괴지수

. GWP 는 지구 온난화지수

. ALT 는 대기권 잔존수명을 뜻한다.

. NOAEL 은 실험약제의 농도를 0에서부터 조금씩 증가시켜 갈 때 신체에 아무런 악영향도 감지할 수 없는 최대농도, 즉 심장에 독성을 미치지 않는 최대농도를 말한다.

. LOAEL 은 시험약제의 농도를 확실히 해로운 농도에서부터 조금씩 감소시켜 갈 때 신체에 악영향을 감지할 수 있는 최소농도, 즉 심장에 독성을 미칠 수 있는 최소농도를 말한다.

 

 

2. 소화약제 저장용기

(1) 설치장소

온도가 55이하이고 온도의 변화가 작은 곳에 설치할 것

직사광선 및 빗물이 침투할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저장용기를 방호구역 외에 설치한 경우에는 방화문으로 구획된 실에 설치할 것

 

(2) 저장용기 기준

저장용기의 약제량 손실이 5%를 초과하거나 압력손실이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재충전하거나 저장용기룔 교체할 것.

다만, 불활성가스 청정소화약제 저장용기의 경우에는 압력손실이 5%를 초과할 경우 재충전하거나 저장용기를 교체하여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