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응용]전기철도의 전식(전기적인 부식) ◈ 전기철도의 전식(전기적인 부식) : 전차선의 전류가 레일의 접속 부분의 저항이 커서 레일을 통해 돌아가지 못하고 대지로 누설되어 그 부근의 수도관이나 가스관 등의 지중관을 통해 흐르다 지중관에서 다시 유출하는 하게 된다. 그 때 유출하는 부분에 생기는 전기적인 부식. ▲ 전식 방지 대책 (1) 전차선측 대책 ㉮ 귀선의 저항을 작게 한다. ⦁ 레일 본드 : 레일과 레일사이의 접속(저항을 감소시킨다.) ⦁ 크로스 본드 : 좌, 우측 레일의 전압 분포를 균일하게 연결 ㉯ 레일의 절연을 증가한다. ☞ 레일과 대지간 절연 ㉰ 변전소 간격을 좁힌다. ☞ 누설 전류 감소, 전압강하 감소, 전력손실 감소 ☞ 변전소 수가 증가하면 설비비가 증가하는 단점도 존재 (2) 지중관로측 대책 ㉮ 선택 배류법 : 귀선과 등전위.. 2020. 4. 20. [전기응용]전동기 용량(출력) 계산 1. 펌프용 전동기 출력 P[kW] = 9.8QHk/η Q : 양정(물의 양)[m³/s] H : 양정 높이[m] k : 여유 계수 ※ Q[m³/min]일 경우 출력 P[kW]=QHk/6.12η 2. 권상기용 전동기(=크레인) 출력 P[kW] = 9.8WVk/η W : 하중[ton] V : 속도[m/s] k : 여유 계수 3. 엘리베이터 출력 P[kW] = 9.8QWVF/η W : 하중 V : 속도 F : 평형추 계수, 평형률, 여유 계수 ※ V[m³/min]일 경우 P[kW]=WVF/6.12η 4. 송풍기 출력 P[kW] = 9.8QHk/1000η Q : 공기 양[m³/s] H : 풍압[mmHg] k : 여유 계수 2020. 4. 19. [전기응용]전동기 운동 역학 1. 직선운동 2. 회전운동 3. 가속도 4. 관성모멘트 : 현재의 운동상태를 계속 유지하려는 에너지 5. 토크 : 회전에너지 6 .에너지 7. 일률 8. 안정운전조건(속도-토크곡선) 속도가 상승함에 따라 2020. 4. 18. [전기응용]전열 공학 1. 열량 Q Q = cmθ[㎉] 비열 c[㎉/㎏℃] : 물질 1[㎏]를 1[℃]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질량 m[㎏] 온도 θ[℃] 2. 열량 환산 일 W, 1[J] = 0.24[㎈] 열량 1[㎈] = 1/0.24[J] = 4.2[J] 주로 사용하는 1[㎾h] = 1×3600×10³ = 3.6×10⁶[J] = 860[㎉] 1[BTU] = 0.252[㎉] 3. 전기회로와 전열회로 비교 전기회로 전열회로 전기량 Q [C] 열량 Q [J] [㎉] 전압 V [V] 온도차 θ [℃] 전류 I [A] 열류 I [W] [㎉/h] 저항 R [Ω] 열저항 R [℃/W] [℃h/㎉] 도전율 K [℧/m] 열전도율 K [W/m℃] [㎉/hm℃] 정전용량 C [F] 열용량 C [J/℃] [㎉/℃] 4. 전열 계산 ① .. 2020. 4. 17. 이전 1 2 3 4 5 6 ···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