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사재료]가공전선로 기출 ◆ 가공전선로의 지지물 중 가공배전선로에 주로 사용되는 지지물은 어떤 것인가?(2013) △ ⦁ 철탑, 철주 : 주로 송전용 ⦁ 철근 콘크리트주 : 주로 배전용 ⦁ 배전용 강관조립주 : 철근 콘크리트주를 시설하기 어려운 장소에 시설 ◆ 22.9[kV-Y]특고압 가공전선로에서 3조를 수평으로 배열하기 위한 완금의 길이[mm]는?(2014) ◆ 특고압 가공 전선로의 장주에 사용되는 완금의 표준 규격[mm]이 아닌 것은?(2015) △ 가공 전선로의 장주에 사용되는 완금의 표준 길이[mm] 전선의 개수 특고압 고압 저압 2 3 1800 2400 1400 1800 900 1400 ◆ 22.9[kV] 3상 4선식 중성선 다중접지 방식의 가공 전선로에서 중성선으로 ACSR을 사용 시 최대 굵기[mm²]는?(2015.. 2020. 4. 24.
[공사재료]피뢰기, 피뢰침, 접지 설비 기출 ◆ 피뢰설비를 시설하고 이것을 접지하기 위한 인하도선에 동선 재료를 사용할 경우의 단면적[mm²]은 얼마 이상인가?(2015, 2019) ◆ 피뢰침용 인하도선으로 가장 적당한 전선은?(2017) △ 피뢰침 설비 수뢰부, 인하도선, 접지극은 동선 50[㎟] 이상으로 한다. ◆ 피뢰를 목적으로 피보호물 전체를 덮은 연속적인 망상 도체(금속판도 포함)는?(2015, 2019) △ 피뢰 방식의 기술 ⦁ 돌침 방식 : 일반건축물 60° 이하 또는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물 45° 이하 ⦁ 용마루위 도체 방식 : 일반건축물 60° 이하 또는 도체에서 수평거리 10[m] 이내 부분 ⦁ 케이지 방식 : 건조물 주위를 피뢰도선으로 감싸는 방식, 완전보호방식 ◆ KS C IEC 62305에 의한 수뢰도체, 피뢰침과 인하도선의.. 2020. 4. 23.
[공사재료]금속관, 합성수지관 기출 ◆ 배관공사, 금속 덕트, 케이블 랙 등을 사용한 간선방식에서 전선을 당기기 위해 배관거리 몇 [m]를 넘는 직선거리 마다 풀박스를 사용하는가? △ 관의 굴곡 금속관 공사에서 굴곡개소가 많은 경우 또는 관의 길이가 3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풀박스를 설치한다. ◆ 옥외의 빗물의 침입을 막는데 사용하며 금속관 공사의 인입구 관 끝에 사용하는 재료는?(2014) △ 엔트렌스캡(Entrance Cap), 우에사캡 인입구, 인출구의 관단에 설치하여 금속관에 접속하여 옥외의 빗물을 막는 데 사용 ◆ 금속관 공사에서 절연부싱을 쓰는 목적은?(2017) △ (절연)부싱 사용용도 : 전선 관단에 끼우고 전선을 넣거나 빼는 데 있어서 전선의 피복을 보호하여 전선이 손상되지 않게 하는 것 ◆ 저압 가공 인입선에서 금속.. 2020. 4. 22.
[공사재료]배전반, 분전반 기출 ◆ 배전반 및 분전반을 넣은 함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13) ◆ 배전반 및 분전반 함이 내아크성, 난연성의 합성수지로 되어 있는 것은 몇 [mm]이상인가?(2015) ◆ 배전반 및 분전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3, 2015, 2016, 2019) △ 분전함 ⦁ 반의 옆쪽 또는 이면에 설치하는 가터는 강판재로서 전선을 구부리거나 눌리지 아니 할 정도로 충분히 큰 것이어야 한다. ⦁ 목제함은 최소 두께 1.2[cm](뚜껑은 제외) 이상으로 불연성 물질을 안에 바른 것이어야 한다. ⦁ 난연성 합성수지로 된 것은 두께 1.5[mm] 이상으로 내아크성인 것이어야 한다. ⦁ 강판제의 것은 일반적인 경우 1.2[mm] 이상이어야 한다. ◆ 다음 중 분전함에 내장되는 부품은?(2013) △ 분.. 2020. 4.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