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 경보시설 자동화재탐지설비 중계기 중계기 : 감지기 또는 P형 발신기 작동에 의한 신호, 또는 가스누설경보기의 탐지부에서 발하여진 가스누설신호를 받아 이를 수신기, 가스누설경보기, 자동소화설비의 제어반에 발신하며 소화설비, 제연설비, 그 밖에 이와 유사한 방재설비에 제어신호를 발하는 것 ◇ 중계기의 구조 및 기능 • 정격전압이 60V 이상일 경우 중계기 외함에는 접지단자를 설치한다 • 예비전원회로에서는 단락사고 등으로부터 보호 위한 퓨즈를 설치한다 • 화재신호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조작부는 설치하지 아니할 것 • 중계기가 발신기로부터의 신호를 받는 수신개시로부터 수신기로 신호를 보내는 발신개시까지의 시간은 5초 이내일 것 ◇ 중계기의 예비전원(축전지) 축전지의 충전시험 및 방전시험은 방전종지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시작한다. ※ 방전종.. 2019. 6. 16.
4. 경보시설 자동화재탐지설비 발신기 발신기 : 화재발생신호를 수신기나 중계기에 수동으로 보내는 것 ♠ P형 발신기의 구성요소 1급 : 명판, 전화잭, 보호판(아크릴), 응답확인램프, 누름버튼 수신기 연결 – P형 1급 수신기, R형 수신기 2급 : 명판, 보호판(아크릴), 누름버튼 수신기 연결 - P형 2급 수신기 ♠ 발신기의 구조 및 일반 기능 • 발신기의 외함은 불연성 또는 난연성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 발신기의 외함에 강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기재된 두께 이상의 강판을 사용한다 • 외함의 두께 1.2mm 이상이 되어야 한다. • 외함의 재질을 합성수지로 할 경우 강판의 2.5배의 두께(1.2mm의 경우 3mm) ♠ 발신기의 설치기준 • 조작이 쉬운 장치에 설치하고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높이에 설.. 2019. 6. 15.
3. 경보시설 자동화재탐지설비 수신기 수신기 : 감지기나 발신기에서 발하는 화재신호를 직접 수신하거나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표시 및 경보하여 주는 장치 1. P형 수신기 : 감지기 또는 P형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공통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게 경보하여 주는 것 2. R형 수신기 : 감지기 또는 P형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고유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게 경보하여 주는 것 3. GP형 수신기(Gas) : P형 수신기와 가스누설경보기의 수신부의 기능을 합쳐놓은 것 4. GR형 수신기 : R형 수신기와 가스누설경보기의 수신부의 기능을 합쳐놓은 것 5. P형 복합식 수신기 ◇ 수신기의 구조 및 기능 (P형과 R형의 .. 2019. 6. 14.
2. 경보시설 자동화재탐지설비 감지기2 ◇ 감지기의 설치기준(연기감지기를 제외한 감지기) • 감지기는 실내로의 공기유입구로부터 1.5m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것(차동식 분포형 감지기를 제외한다) • 감지기는 천장 또는 반자의 옥내의 면하는 부분에 설치를 할 것 • 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는 정온점이 감지기 주위의 평상시 최고온도보다 20℃ 이상 높은 것으로 설치할 것 • 정온식 감지기는 주방, 보일러실 등으로 다량의 화기를 취급하는 장소에 설치하되 공칭작동온도가 최고주위온도보다 20℃ 이상 높은 것으로 설치할 것 • 스포트형 감지기는 45도 이상 경사되지 아니하도록 부착한다. • 분포형 감지기는 5도 이상 경사되지 아니하도록 부착한다. ◇ 바닥면적(m²)에 따른 감지기의 개수(m²마다 감지기를 1개 이상 설치) 차동식, 보상식 정온식 1종 .. 2019. 6.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