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공사기사/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전기공사기사)2016년 1회차 기출문제

by Aldrin 2020. 3. 4.
반응형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전압 제어소자로 널리 이용되는 다이오드는?

   터널 다이오드(tunnel diode)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

   바랙터 다이오드(varactor diode)

   쇼트키 다이오드(schottky diode)

 

제너 다이오드 : 정전압 회로용

바랙터 다이오드 : 가변용량 다이오드

서미스터 : 온도 보상용

바리스터 : 서지에 대한 회로 보호용

 

 

 

열전도율의 단위를 나타낸 것은?

   kcal/h mh/kcal

   kcal/kg kcal/mh

 

전열회로의 단위

명칭

기호

단위

단위(공업용)

온도차

θ

[]

[]

열류

I

[W]

[kcal/h]

열저항

R

[/W]

[h/kcal]

열량

Q

[J]

[kcal]

열전도율

K

[W/mdeg]

[kcal/hmdeg]

열용량

C

[J/]

[kcal/]

 

 

 

다음 전동기 중에서 속도 변동률이 가장 큰 것은?

   3상 동기 전동기

   단상 유도 전동기

   3상 농형 유도 전동기

   3상 권선형 유도 전동기

 

속도 변동률이 가장 큰 전동기 : 단상 유도전동기

 

 

 

금속의 전해정제로 틀린 것은?

   전력 소비가 적다.

   순도가 높은 금속이 석출된다.

   금속을 음극으로 하고 순금속을 양극으로 한다.

   (Cu)의 전해정제는 H2SO4CuSO4의 혼합용액을 전해액으로 사용한다.

 

전해정련 :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 순수한 금속만을 음극에서 석출, 정제하는 방법. 구리가 가장 많고 주석, , , 니켈, 안티몬 등

 

 

 

루소선도에서 하반구 광속[lm]은 약 얼마인가? (, 그림에서 곡선 BC4분원이다.)

  

   528 628

   728 828

 

루소 선도

(1) 광원의 전광속

F = 루소 선도 면적 × (2π)/r[lm]

F = aS(a=상수)

(2) 루소 선도에 의한 광속 계산

하반구 광속

F = (2π)/r × S = (2π)/100 × (100×100) = 628[lm]

상반구 광속

면적 S = πr²/4 (원의 면적의 1/4)

F = (2π)/r × πr²/4 = 1/2π²r = 493[lm] (r=100)

 

 

 

전기가열방식 중에서 고주파 유전가열의 응용으로 틀린 것은?

   목재의 건조 비닐막 접착

   목재의 접착 공구의 표면처리

 

유전가열 : 유전체손(P=ωCE²)에 의한 가열

목재의 접착, 목재의 건조, 비닐막 접착, 플라스틱 성형 등에 사용

특징 : 급속가열 가능, 균일가열 가능, 온도제어 용이

 

 

 

2종의 금속이나 반도체를 접합하여 열전대를 만들고 기전력을 공급하면 각 접점에서 열의 흡수, 발생이 일어나는 현상은?

   핀치(Pinch) 효과 제벡(Seebeck) 효과

   펠티에(Peltier) 효과 톰슨(Thomson) 효과

 

열전현상

제벡효과 : 두 종류의 금속을 접합하여 폐회로를 만들고 두 접합점 사이에 온도차를 주면 열기전력이 생겨서 전류가 흐르는 현상

펠티에 효과 : 두 종류의 금속을 접합하여 폐회로를 만들고 두 접합점 사이에 전류를 흘리면 접합점에서 열의 흡수 또는 발생 되는 현상

전자냉동의 원리

톰슨 효과 : 동일 금속의 접합하여 폐회로를 만들고 두 접합점 사이에 전류를 흘리면 접합점에서

열의 흡수 또는 발생 되는 현상

 

 

 

전기차의 속도제어시스템 중 주파수의 변화에 대응하도록 전압도 같이 제어하는 방법은?

   저항 제어시스템 초퍼 제어시스템

   위상 제어시스템 VVVF 제어시스템

 

전기차의 속도제어시스템

3상 유도전동기 : 속도제어 및 기동 특성 개선을 위하여 인버터(VVVF : 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가 필요

 

 

 

 직류 전동기의 속도제어법에서 정출력 제어에 속하는 것은?

    계자 제어법 전압 제어법

    전기자 저항 제어법 워드레오나드 제어법

 

종류

특징

저항 제어

전기자 회로에 직렬로 가변저항을 접속하여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

속도 조정 범위 좁다.

효율이 저하

계자 제어

세밀하고 안정된 속도 제어

정류 불량

정출력 제어

전압 제어

광범위 속도제어 가능

워드 레오너드 방식 : 소형부하(엘리베이터에 사용)

일그너 방식(부하가 급변, 대용량 부하 제철, 제강, 압연) : 플라이 휠 효과(관성 모멘트 증가)

정토크 제어

 

 

 

 대전력 정류용으로 사용되는 SCR의 특징이 아닌 것은?

    열용량이 커서 고온에 강하다.

    역률각 이하에서는 제어가 되지 않는다.

    아크가 생기지 않으므로 열의 발생이 적다.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 양극의 전압강하가 작다.

 

SCR의 특징

아크가 생기지 않으므로 열의 발생이 적다.

게이트에 신호를 인가할 때부터 도통할 때까지의 시간이 짧다.

게이트 전류로 통전 전압을 가변시킨다.

게이트 전류의 위상각으로 통전 전류의 평균값을 제어시킬 수 있다.

대전류 제어 정류용으로 이용된다.

스위칭 소자이다.

소형이면서 가볍고 고속 동작이다.

입력신호의 제어로 전류, 출력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전선 접속시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접속으로 인해 전기적 저항이 증가하지 않게 한다.

    접속으로 인한 도체 단면적을 현저히 감소시키게 한다.

    접속부분의 전선의 강도를 20[%] 이상 감소시키지 않게 한다.

    접속부분은 절연전선의 절연물과 동등 이상의 절연내력이 있는 것으로 충분히 피복한다.

 

전선의 접속방법

인장 강도를 80[%] 이상 유지할 것

전기적 저항을 증가시키지 말 것

충분한 절연 내력을 지닐 것

 

 

 

 전원을 넣자마자 곧바로 점등되는 형광등용의 안정기는?

    점등관식 래피드스타트식

    글로우스타트식 필라멘트 단락식

 

형광등의 점등방식

래피드 스타트 방식 : 전원을 넣자마자 곧바로 점등

 

 

 

 전선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재로 애자를 부착하여 사용하며 단면이 형으로 생긴 형강은?

    경완철 분기고리

    행거밴드 인류스트랍

 

 경완금 : 전선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재로 애자를 부착하여 사용(단면이 )

 ㄱ형 완금 : 전선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재로 애자를 부착하여 사용(단면이 ㄱ형)

 

 

 

 철탑의 상부구조에서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arm) 수평재

    보조재 주각재

 

철탑의 상부구조

(arm), 수평재, 보조재

 

 

 

 특고압 배전선로 보호용 기기로 자동 재폐로가 가능한 기기는?

    ASS ALTS

    ASBS Recloser

 

리클로져 : 특고압 배전 선로 자동 재폐로 차단기

 

 

 

 공기 중의 산소를 전지의 감극제로 사용하는 건전지는?

    표준 전지 일반 건전지

    내한 건전지 공기 습전지

 

공기 건전지

전해액 : 염화암모늄(NH4Cl)

감극제 : 산소

특성 : 전압 변동률과 자체 방전이 작고 오래 저장할 수 있으며 가볍다.

방전용량이 크고 처음 전압은 망간전지 비해 약간 낮다.

 

 

 

 배전선로의 지지물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것은?

    철탑 강판주

    강관 전주 철근 콘크리트 전주

 

지지물

송전 : 철탑

배전 : 철근콘크리트 전주

 

 

 

 도전 재료로서 요구되는 조건이 틀린 것은?

    전기 저항이 클 것

    내식성 등이 우수할 것

    접촉과 연결이 비교적 쉬울 것

    자원이 풍부하여 얻기 쉽고 가격이 저렴할 것

 

도전재료의 구비 조건

도전율이 클 것(전기저항이 작을 것)

인장 강도가 클 것

가요성이 클 것

내식성이 클 것

 

 

 

 납축전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충전시 음극 : PbSO4 Pb

    방전시 음극 : Pb PbSO4

    충전시 양극 : PbSO4 PbO

    방전시 양극 : PbO2 PbSO4

 

() 축전지 화학 반응식

PbO2

+2H2SO4

+Pb

방전

충전

PbSO4

+2H2O

+PbSO4

양극

전해액

음극

-

양극

부산물

음극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