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름 40[㎝]의 완전 확상성 구형 글로브의 중심에 모든 방향의 광도가 균일하게 되도록 120[cd]의 전구를 넣고, 탁상 2[m]의 높이에서 점등하였다. 이 전등 아래의 탁상면 조도[lx]는? (단, 글로브 내면의 반사율은 40[%], 투과율은 50[%]이다.)
① 25 ② 30
③ 35 ④ 40
△ 글로브의 효율을 먼저 구하고 직하 조도를 구함
글로브의 효율
η = τ/(1-ρ) = 0.5/(1-0.4)=0.833
직하 조도 E는
E = (I/r²) × η = 25[lx]
◆ 선정 주파수에 따라 선택가열이 가능한 가열 방식은?
① 저항 가열 ② 아크 가열
③ 유도 가열 ④ 유전 가열
△ 유전가열 : 유전체에 고주파 전자계를 가하여 유전체 분자 내부에 발생하는 마찰 열손실을 이용하는 가열
⦁ 열이 유전체손에 의하여 피열물 자신에 발생하므로 가열이 균일 온도 상승 속도가 빠르고, 속도가 임의 제어,가열 제어용이, 선택 가열 가능
⦁ 용도 : 목재 건조, 비닐막 접착 등
◆ 열차저항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주행저항은 차륜의 구름마찰, 베어링 부분의 기계적 마찰, 공기저항 등이다.
② 열차가 곡선구간을 달리면 곡선의 반지름에 비례하여 받는 저항을 곡선저항이라 한다.
③ 경사궤도를 운전시 중력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을 구배저항이라 한다.
④ 열차 가속시 발생하는 저항을 가속저항이라 한다.
△ 열차 저항 : 열차가 기동할 때 또는 주행할 때 열차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저항력이 작용
⦁ 출발 저항 : 열차 출발 시 발생 저항
⦁ 주행 저항 : 열차가 평탄한 직선로 위를 운전 시 발생 저항
⦁ 구배 저항 : 오르막 길 오를 때의 저항(경사 저항)
⦁ 곡선 저항 : 원심력에 의해 바퀴와 레일과의 사이에 마찰이 증가하여 회전 수 차에 의한 미끄럼 현상
에 따른 마찰 저항이 발생. 곡선 반지름에 반비례
R = (600~800)/r[kg] (r : 곡선 반지름[m])
⦁ 가속 저항 : 가속에 필요한 힘과 반대 방향이 되는 힘을 하나의 저항으로 계산
◆ 전기차량의 구동용 주전동기의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직류 직권 전동기의 회전수는 단자전압에 비례하고 부하전류에 반비례한다.
② 직류 직권 전동기의 토크는 전류의 2승에 비례한다.
③ 유도 전동기는 VVVF 인버터 장치가 필요하다.
④ 유도 전동기 2차 전류는 자속과 슬립 주파수에 반비례한다.
△
① 직류 직권 전동기
⦁ 토크는 부하전류의 제곱에 비례하고 회전 수의 제곱에 반비례
⦁ 속도는 부하전류에 반비례
② 3상 유도전동기 : 속도 제어 및 기동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인버터(VVVF)가 필요
◆ 투명의 네온관등에 등적색의 광색을 내기 위해 사용하는 봉입가스는?
① 아르곤과 수은 ② 네온
③ 아르곤 ④ 헬륨
△ 네온관등의 광색
봉입가스 |
유리관색 |
관등의 색 |
네온 |
투명 |
등적색 |
청색 |
등색 |
|
아르곤과 수은 |
투명 |
청색 |
황록색 |
녹색 |
|
헬륨 |
투명 |
백색 |
황갈색 |
황갈색 |
◆ 전기철도에서 귀선의 누설전류에 의해 전식이 일어나는 곳은?
① 궤도에서 전류가 유출하는 곳
② 지중관로로 전류가 유입하는 곳
③ 지중관로에서 전류가 유출하는 곳
④ 궤도로 전류가 유입하는 곳
△ 레일의 전식(전기적인 부식)
⦁ 레일의 전기적인 부식이 발생하는 장소 : 지중관로의 전위가 높고 전류가 유출되는 곳
◆ 다음 중 사이리스터의 응용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① AC-DC 변환이 가능하다.
② 위상제어에 의해 AC 전력 제어가 된다.
③ AC 전원에서 가변주파수 AC 변환이 가능하다.
④ DC 전력의 증폭인 컨버터가 가능하다.
△ 사이리스터
⦁ 위상제어
⦁ AC → AC(가변주파수 제어)
⦁ AC 전력제어
⦁ AC → DC(정류장치)
◆ 전지의 자기방전이 일어나는 국부작용의 방지대책이 아닌 것은?
① 고순도의 전극재료를 사용한다.
② 전해액에 불순물 혼입을 억제시킨다.
③ 순환전류를 발생시킨다.
④ 전극에 수은도금(아말감)을 한다.
△ 국부작용
⦁ 전극에 사용하고 있는 아연판의 불순물과 아연이 국부 전지로 구성되어 단락전류를 흘리기 때문에
자기방전이 발생
⦁ 방지법 : 순수한 아연판을 사용, 아연판에 수은 도금, 불순물 제거
◆ 직류 직원 전동기는 어느 부하에 적당한가?
① 변출력 부하 ② 정속도 부하
③ 정출력 부하 ④ 정토크 부하
△ 직류 직권전동기
⦁ 변속도 특성 : 토크는 부하전류의 제곱에 비례하고 회전 수의 제곱에 반비례
⦁ 정출력 부하에 유리
◆ 고온에서 내유성이 가장 강한 절연테이프는?
① 면 테이프 ② 염화비닐 테이프
③ 고무 테이프 ④ 리노 테이프
△ 리노 테이프
면 테이프의 양면에 바니스를 칠하여 건조시킨 것으로서 트랜스의 권선층 사이나 인출선 부분 등에
삽입하는 절연 테이프로서 내유성, 내온성이 우수.
◆ 배관공사, 금속 덕트, 케이블 랙 등을 사용한 간선방식에서 전선을 당기기 위해 배관거리 몇 [m]를 넘는 직선거리 마다 풀 박스를 사용하는가?
① 15[m] ② 20[m]
③ 25[m] ④ 30[m]
△ 관의 굴곡
금속관 공사에서 굴곡개소가 많은 경우 또는 관의 길이가 3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풀박스를 설치
한다.
◆ 상향 광속과 하향 광속이 거의 동일하므로 하향 광속으로 직접 작업면에 직사시키고 상향 광속이 반사광으로 작업면의 조도를 증가시키는 조명기구는?
① 반직접 조명기구 ② 간접 조명기구
③ 전반확산 조명기구 ④ 직접 조명기구
△ 조명기구 배광에 의한 분류
조명방식 |
하향광속[%] |
상향광속[%] |
직접 조명 |
100~90 |
0~10 |
반직접 조명 |
90~60 |
10~40 |
전반 확산조명 |
60~40 |
40~60 |
반간접 조명 |
40~10 |
60~90 |
간접 조명 |
10~0 |
90~100 |
◆ 경질 자기제 상하에 연결금구를 시멘트로 접착시켜 만든 것으로 전압에 따라 필요한 개수 만큼 연결해서 사용하는 애자는?
① 핀 애자 ② 내무 애자
③ 현수 애자 ④ 장간 애자
△ 현수애자 : 경질 자기제 상하에 연결 금구를 시멘트로 접착시켜 만든 것으로 전압에 따라 연결 개수
가감하며 큰 하중에는 2련이나 3련으로 시설 가능
◆ 접지 저감재가 구비하여야 할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전극을 부식시키지 않을 것
② 전기적인 부도체일 것
③ 지속성이 있을 것
④ 안전성을 고려할 것
△ 접지 저감재의 구비 조건
⦁ 지속성이 있을 것(반영구적일 것)
⦁ 전극을 부식시키지 않을 것
⦁ 전기적으로 양도체일 것
⦁ 안전할 것
보통의 경우 백필(흑연분말과 코크스 분말의 혼합물)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 저압용 케이블이 아닌 것은?
① 알루미늄피 케이블
②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③ 콤바인덕트(CD) 케이블
④ EP고무절연 클로로프렌시스 케이블
△ 저압 케이블
사용 전압이 저압인 전로의 전선으로 사용하는 케이블은 0.6/1[kV] 연피케이블, 알루미늄피케이블,
클로로프렌외장케이블, 비닐외장케이블, 폴리에틸렌외장케이블, 미네럴인슈레이션케이블, 가요
성알루미늄피케이블
◆ 기계기구의 단자와 전선의 접속에 사용되는 재료는?
① 터미널러그 ② 슬리브
③ 와이어커넥터 ④ T형 커넥터
△
⦁ 터미널러그 : 기계 기구의 단자와 전선의 접속
⦁ 슬리브 : 연선 접속
⦁ 와이어 커넥터 : 전선과 전선을 연결
◆ 가공전선로의 지지물 중 가공배전선로에 주로 사용되는 지지물은 어떤 것인가?
① 철근콘크리트주 ② 배전용 강관주
③ 철주 ④ 철탑
△
⦁ 철탑, 철주 : 주로 송전용
⦁ 철근 콘크리트주 : 주로 배전용
⦁ 배전용 강관조립주 : 철근 콘크리트주를 시설하기 어려운 장소에 시설
◆ 다음 중 단로기의 구조에서 관계가 없는 것은?
① 플레이트 ② 리클로저
③ 베이스 ④ 핀치
△ 단로기의 구조 : 플레이트, 베이스, 핀치
◆ 교류 200V, 정류기 전압강하 10V인 단상반파 정류회로의 저항부하의 직류전압은?
① 약 80 V ② 약 155 V
③ 약 220 V ④ 약 210 V
△ 단산반파 정류의 직류측 전압 E = 0.45E-e = 0.45×200-10 = 80[V]
◆ 직류전동기와 비교한 교류전동기의 특성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전원을 간단히 얻을 수 있다.
② 정밀한 제어가 된다.
③ 가격이 싸다.
④ 취급이 간단하고 운전이 쉽다.
△ 교류전동기의 특성
⦁ 전원을 간단히 얻을 수 있다.
⦁ 가격이 저렴하다.
⦁ 취급이 간단하고 운전이 쉽다.
◆ 금속이나 반도체에 전류를 흘리고 이것과 직각 방향으로 자계를 가하면 전류와 자계의 방향을 포함하는 면에 대하여 수직적인 방향으로 기전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① 핀치(pinch)효과 ② 펠티어(peltier) 효과
③ 제벡(seebeck)효과 ④ 홀(hall)효과
△ 홀효과 : 금속이나 반도체에 전류를 흘리고 이것과 직각 방향으로 자계를 가하면 전류와 자계의 방향
을 포함하는 면에 대하여 수직적인 방향으로 기전력이 발생
◆ 전기 집진기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① 더스트층 ② 방전전극
③ 집진전극 ④ 전자석
△ 전기집진기
대전체와의 정전기력을 이용 평판, 파형관, 철망 등을 집진극의 양극으로 하고 중앙에 피아노선을
음극으로 하여 30~60[kV]의 직류 전압을 인가하고 여기에 연소가스를 통과시키면 회(먼지)입자는 부
(-)로 하전되어 집진극에 부착
⦁ 구성요소 : 더스트층, 방전전극, 집진전극
◆ 동륜상의 중량이 75[t]인 기관차의 최대 견인력[kg]은? (단, 궤조의 점착계수는 0.2로 한다.)
① 5000 ② 10000
③ 15000 ④ 75000
△ 최대 견인력 F = 1000μW[kg] = 1000×0.2×75 = 15000[kg]
◆ 저항 온도계의 금속 저항체의 재료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① 백금 ② 니켈
③ 구리 ④ 텅스텐
△ 저항 온도계
⦁ 재료 : 백금, 니켈, 구리
⦁ 반도체 : 서미스터
◆ 백색형광등의 상관 색온도 범위는?
① 5700~7100[K] ② 400~5400[K]
③ 3900~4500[K] ④ 3200~3700[K]
△ 형광 방전관의 색온도
⦁ 주광색 : 6500[℉]
⦁ 백색 : 4500[℉]
◆ 다음 기기 중 초음파를 응용한 기기가 아닌 것은?
① 잠수함 탐지기 ② 어군 탐지기
③ 의료용 세척기 ④ 팩시밀리
△ 초음파 응용 기기
⦁ 잠수함 탐지기
⦁ 초음파 용접기
⦁ 의료용 검사기기 및 세척기
⦁ 어군 탐지기
◆ 배전반 및 분전반을 넣은 함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난연성 합성수지로 된 것은 두께 2.5㎜ 이상으로 내 아크성일 것
② 반의 뒤쪽은 배선 및 기구를 배치하지 말 것
③ 절연저항 및 전선접속단자의 점검이 용이할 것
④ 강판제의 것은 두께 1.2㎜ 이상일 것
△ 분전함
⦁ 반의 옆쪽 또는 이면에 설치하는 가터는 강판재로서 전선을 구부리거나 눌리지 아니 할 정도로
충분히 큰 것이어야 한다.
⦁ 목제함은 최소 두께 1.2cm(뚜껑은 제외) 이상으로 불연성 물질을 안에 바른 것이어야 한다.
⦁ 난연성 합성수지로 된 것은 두께 1.5mm 이상으로 내아크성인 것이어야 한다.
⦁ 강판제의 것은 일반적인 경우 1.2mm 이상이어야 한다.
◆ 고압 및 특고압 케이블이 아닌 것은?
① 알루미늄피 케이블
② EP 고무절연 클로로프렌시스 케이블
③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④ 콤바인덕트 케이블
△ 저압 케이블
사용 전압이 저압인 전로의 전선으로 사용하는 케이블은 0.6/1[kV] 연피케이블, 알루미늄피케이블,
클로로프렌외장케이블, 비닐외장케이블, 폴리에틸렌외장케이블, 미네럴인슈레이션케이블, 가요
성알루미늄피케이블
◆ 변압기에 변압기유를 사용하는 이유와 관계가 먼 것은?
① 절연을 좋게 하기 위하여
② 냉각을 좋게 하기 위하여
③ 변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④ 열발산을 좋게 하기 위하여
△ 절연유의 구비 조건
⦁ 절연내력이 클 것
⦁ 점도가 적고 비열이 커서 냉각 효과가 클 것
⦁ 인화점은 높고, 응고점은 낮은 것
⦁ 고온에서 산화하지 않고 침전물이 생기지 않을 것
◆ 다음 중 분전함에 내장되는 부품은?
① COS ② VCB
③ UVR ④ MCCB
△ 분전함에는 차단기류와 개폐기류를 내장한다. 여기서, 차단기류는 저압용 즉, NFB(배선용차단기), ELB(누전차단기), MCCB(배선용차단기), ACB(기중차단기)를 사용한다.
◆ 부식성이 대부분의 환경에서 양호한 피뢰 시스템의 재료로 사용되는 것은?
① 알루미늄 ② 스테인리스강
③ 납 ④ 용융아연도강
△ 스테인리스강 : 12[%] 이상의 크롬을 함유하여 내식성이 강화된 강의 총칭으로 내식성과 내마모성이 우수
◆ 변압기의 절연 종별에서 A종 절연의 최고 허용온도[℃]는?
① 155 ② 120
③ 105 ④ 90
△ 절연물의 최고 허용온도
종류 |
Y |
A |
E |
B |
F |
H |
C |
허용온도[℃] |
90 |
105 |
120 |
130 |
155 |
180 |
180 초과 |
◆ 고압 차단기 중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차단기는?
① 공기차단기 ② 극소유량차단기
③ 유입차단기 ④ 진공차단기
△ 진공차단기(VCB) : 소내 전력공급형, 소형, 경량, 25[kV] 이하
⦁ 차단 시간이 짧고 폭발음이 없다.
⦁ 고유 주파수에 차단 능력이 좌우되는 일이 없다.
⦁ 외기의 영향이 없다.
◆ 지선과 지선용 근가를 연결하는 금구는?
① U볼트 ② 지선볼트
③ 암밴드 ④ 지선밴드
△
볼쇄클 : 현수 애자를 완금에 내장으로 시공할 때 사용하는 금구류
U볼트 : 전주 근가를 전주에 부착시키는 금구
지선 롯트 : 지선과 지선용 근가를 연결시키는 금구
지선 밴드 : 지선을 지지물에 부착할 때 사용하는 금구류
◆ 금속전극의 분극전위에서 전극에 저항 물질이 생성되었을 때 이것을 극복해서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 과잉전압이 요구되는 과전압은?
① 농도 과전압 ② 천이 과전압
③ 저항 과전압 ④ 결정화 과전압
△ 저항 과전압
전극에 저항물질이 생성되었을 때 이것을 극복해서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 필요한 과전압
◆ 아크용접을 할 때 용접봉을 전원의 양극에 접속하고 피용접물을 음극에 접속하는 방식은?
① 직접 아크용접 방식
② 간접 아크용접 방식
③ 정극(straight polarity)방식
④ 역극(reverse polarity)방식
△
⦁ 정극성 : (+)를 모재로 하고, 용접봉을 (-)로 연결한 경우
⦁ 역극성 : (+)를 용접봉으로 하고, 모재를 (-)로 연결한 경우
◆ 15[℃]의 물 4[ℓ]를 용기에 넣고, 1[kW]의 전열기로 가열하여 90[℃]로 올리는데 30분이 소요되었다. 이 전열기의 효율은 약 몇 [%]인가/
① 83 ② 69
③ 54 ④ 34
△ 전열기의 효율 η = 열/전기 × 100 = (cmθ/800Pt) × 100
◆ 직류 전동기의 속도 제어법이 아닌 것은?
① 극수변환 ② 전압제어
③ 저항제어 ④ 계자제어
△
종류 |
특징 |
저항 제어 |
⦁전기자 회로에 직렬로 가변저항을 접속하여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 ⦁속도 조정 범위 좁다. ⦁효율이 저하 |
계자 제어 |
⦁세밀하고 안정된 속도 제어 ⦁정류 불량 ⦁정출력 제어 |
전압 제어 |
⦁광범위 속도제어 가능 ⦁워드 레오너드 방식 : 소형부하(엘리베이터에 사용) ⦁일그너 방식(부하가 급변, 대용량 부하 – 제철, 제강, 압연) : 플라이 휠 효과(관성 모멘트 증가) ⦁정토크 제어 |
◆ 농형 유도전동기의 기동법으로만 구성된 것은?
① Y-△ 기동법, 기동 보상기법, 리액터기동법
② 직입 기동법, Y-△ 기동법, 극수 변환법
③ Y-△ 기동법, 2차 여자 제어법, 리액터기동법
④ 직입 기동법, Y-△ 기동법, 2차 저항 제어법
△ 유도전동기의 기동법
농형 유도전동기 |
∙ 전전압 기동(직입기동) : 5[HP] 이하(3.7[kW]) ∙ Y-Δ 기동(5~15[kW])급 : 전류 1/3배, 전압 1/√3배 ∙ 기동 보상기법 : 단권 변압기 사용 감전압기동 |
권선형 유도전동기 |
∙ 2차 저항 기동법 → 비례추이 이용 |
◆ 일반적으로 눈부심을 느끼는 광원의 휘도[cd/cm2] 한계는?
① 0.5 ② 1.0
③ 3.0 ④ 5.0
△ 눈부심을 느끼는 광원의 휘도 한계 : 0.5[cd/㎠]
◆ 반도체에 빛이 가해지면 전기 저항이 변화되는 현상은?
① 열진동효과 ② 광전효과
③ 지백효과 ④ 홀효과
△
⦁ 광전효과 : 반도체에 빛을 가해지면 도전율이 증가하는 현상
⦁ 광기전력 효과 : 반도체에 빛이 가해지면 기전력이 발생되는 현상
◆ 자기소호 기능이 가장 좋은 소자는?
① GTO ② SCR
③ TRIAC ④ RCT
△ GTO
게이트에 흐르는 전류를 점호할 때 전류와 반대 방향의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서 소호(자기소호 기능)
◆ 다음 중 전기차량의 대차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① 4륜차 ② 보기차
③ 연결차 ④ 전동차
△ 대차(보기차)
⦁ 차체의 중량을 부담하고 이것을 각 바퀴에 고르게 분포함과 동시에 차체에 대하여 자유럽게 방향을 전환하여 차량의 주행을 원활하게 하는 것
⦁ 2륜차, 4륜차, 연결차, 보기차 등
◆ 반사율 40[%]의 완전확산성 종이률 100[lx]의 조도로 비추었을 때, 종이의 광속발산도[lm/cm2]는?
① 40 ② 0.4
③ 0.04 ④ 0.004
△
완전 확산면이므로 광속발산도 R = πB = ρE = τE에서
R = ρE = 0.4×100 = 40[rlx][lm/㎡]이므로
= 0.004[lm/㎠]
◆ 저압 옥내배선에 사용하는 전선의 굵기를 잘못 사용한 경우는?
① 단면적 1.0 [mm2]이상의 미네럴 인슈레이션케이블
② 단면적 1.5 [mm2]이상의 연동선
③ 전광표시장치 또는 제어회로 배선에 단면적 0.75 [mm2]이상의 다심케이블
④ 진열장 내의 배선공사에 단면적 0.75 [mm2]이상의 캡타이어케이블
△ 저압 옥내배선
⦁ 단면적 1.0 [mm2]이상의 미네럴 인슈레이션케이블
⦁ 단면적 2.5 [mm2]이상의 연동선
⦁ 전광표시장치 또는 제어회로 배선에 단면적 0.75 [mm2]이상의 다심케이블
⦁ 진열장 내의 배선공사에 단면적 0.75 [mm2]이상의 캡타이어케이블
◆ 제1종 접지공사에서 연동선을 접지선으로 사용할 경우 접지선의 공칭단면적은 최소 [mm2]이상 이어야 하는가?
① 2.5 ② 8
③ 6 ④ 16
△ 접지공사의 접지선의 굵기(연동선)
제1종 접지공사 |
6[㎟] |
제2종 접지공사 |
16[㎟] 또는 6[㎟] |
제3종 접지공사 |
2.5[㎟] |
특별 제3종 접지공사 |
2.5[㎟] |
◆ 절연 컴파운드(insulating compound)를 사용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① 자외선으로부터의 도체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② 표면을 피복하여 습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③ 고전압으로 인한 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④ 고체 절연의 빈 곳을 메우기 위하여
△ 절연 컴파운드 사용 목적
⦁ 표면을 피복하여 습기를 방지하기 위해
⦁ 고전압으로 인한 전리를 방지하기 위해
⦁ 고체 절연의 빈 곳을 메우기 위해
◆ 노즐 배관용 자재 중 유니버설 엘보의 부속품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T형 ② G형
③ LL형 ④ LB형
△
⦁ 유니버설 엘보 : 노출 배관 공사에서 관을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
강제전선관 공사 중 노출배관 공사에서 관을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
⦁ 종류 : 3방향으로 분기할 수 있는 T형, 4방향으로 분기할 수 있는 크로스형
⦁ 유니버설 피팅 : 노출 배관 시 L형 또는 T형으로 구부러지는 장소에 사용
주로 LB형, T형, LL형이 사용
◆ 전선의 피복 절연물을 포함한 절연 전선을 금속관, 합성수지관에 넣을 경우 동일 전선과 굵기가 다른 전선의 관내 단면적은 각각 몇[%] 이하인가?
① 동일전선 48[%], 굵기가 다른 전선 32[%]
② 동일전선 40[%], 굵기가 다른 전선 32[%]
③ 동일전선 48[%], 굵기가 다른 전선 30[%]
④ 동일전선 40[%], 굵기가 다른 전선 30[%]
△ 금속관 공사
전선의 피복 절연물을 포함한 절연전선을 금속관에 넣을 경우
⦁ 동일 굵기의 전선은 내단면적의 48[%] 이하
⦁ 굵기가 다른 전선은 내단면적의 32[%] 이하
◆ 배선용 비닐 절연전선의 공칭 단면적[mm2]이 아닌 것은?
① 2.5 ② 4
③ 8 ④ 10
△ 전선 규격[㎟] : 1.5, 2.5, 4, 6, 10, 16, 25, 35, 50, 70, 95, 120, 150, 185, 240, 300, 400
◆ 배선용 차단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과부하 및 단락사고 차단 후 재투입이 가능하다.
② 개폐기구 및 트립장치 등이 절연물인 케이스에 내장되어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다.
③ 각 극을 동시에 차단하므로 결상의 우려가 없다.
④ 별도장치 없이도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 배선용 차단기(NFB, MCCB)
⦁ 과부하, 단락사고 차단.
⦁ 재투입이 가능.
⦁ 개폐기구 및 트립장치 등이 절연물인 케이스에 내장되어 안전하게 사용 가능.
⦁ 각 극을 동시에 차단하므로 결상의 우려가 없다.
◆ 다음 중 절연재료에서 직접적인 열과의 가장 큰 원인에 해당 되는 것은?
① 자외선 ② 온도상승
③ 산화 ④ 유전손
△ 절연 재료에서 직접적인 열화의 가장 큰 원인은 온도상승이다.
◆ 특고압, 고압, 저압에 사용되는 완금(완철)의 표준길이[mm]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900 ② 1800
③ 2400 ④ 3000
△ 가공 전선로의 장주에 사용되는 완금의 표준 길이[mm]
전선의 조수 |
특고압 |
고압 |
저압 |
2 3 |
1800 2400 |
1400 1800 |
900 1400 |
◆ 알루미늄 전선 접속 시 가능 전선을 박스 안에서 접속하는데 사용하는 슬리브는?
① 종단겹침용 슬리브 ② 매킹타이어 슬리브
③ 직선겹침용 슬리브 ④ S형 슬리브
△ 종단겹침용 슬리브 : 가는 전선을 박스 안에서 접속하는 데 사용
'전기공사기사 >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공사기사)2016년 1회차 기출문제 (0) | 2020.03.04 |
---|---|
(전기공사기사)2015년 기출문제 (2) | 2020.03.03 |
(전기공사기사)2014년 기출문제 (0) | 2020.03.02 |
(전기공사기사)2012년 기출문제 (0) | 2020.02.29 |
(전기공사기사)2011년 기출문제 (0) | 2020.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