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도전동기 기동법 중 감전압기동법이 아닌 것은?
① 직입 기동법 ② 콘돌파 기동법
③ 리액터 기동법 ④ 1차저항 기동법
△
유도전동기의 기동법
농형 유도전동기 |
∙ 전전압 기동(직입기동) : 5[HP] 이하(3.7[kW]) ∙ Y-Δ 기동(5~15[kW])급 : 전류 1/3배, 전압 1/√3배 ∙ 기동 보상기법 : 단권 변압기 사용 감전압기동 |
권선형 유도전동기 |
∙ 2차 저항 기동법 → 비례추이 이용 |
직입기동은 감전압 기동이 아닌 전전압기동이다.
◆ 전기 가열 방식 중 전극사이의 공간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고열에 의한 가열 방식은?
① 아크 가열 ② 저항 가열
③ 적외선 가열 ④ 고주파 가열
△ 아크 가열 :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고온의 아크열 이용하는 가열
⦁ 고압 아크로 : 초산(질산), 초산석회 제조에 사용
⦁ 저압 아크로 : 직접식(에르우식), 간접식(요동식)
◆ 유전가열의 용도를 설명하고 있다. 다음 중 틀린 것은?
① 합성수지의 가열 성형 ② 베니어판의 건조
③ 고무의 유화 ④ 구리의 용접
△ 전기가열
⦁ 유전가열 : 유전체에서 발생되는 유전체손을 이용
목재접착, 비닐막접착, 플라스틱 성형 및 용접
⦁ 유도가열: 도전성 물질(금속)에서 발생하는 와류손과 히스테리시스손에 의한 발열 이용
금속의 담금질, 금속의 표면처리, 국부가열, 반도체 정련
⦁ 적외선 전구의 복사열을 이용하여 가열 및 건조
방직 염색, 자동차 도장, 도자기에 사용
◆ 와전류손은 이용한 가열 방법이며, 교번자계 중에서 도전성의 물체 중에 생기는 와류에 의한 줄 열로 가열하는 방식은?
① 저항가열 ② 적외선가열
③ 유전가열 ④ 유도가열
△ 유도가열
⦁ 도전성 물질(금속)에서 발생하는 와류손과 히스테리시스손에 의한 발열 이용
금속의 담금질, 금속의 표면처리, 국부가열, 반도체 정련
◆ 전차, 권상기, 크레인 등에 가장 적합한 전동기는?
① 분권형 ② 직권형
③ 화동 복권형 ④ 차동 복권형
△ 직류 직권 전동기
⦁ 토크는 부하전류의 제곱에 비례하고 회전 수의 제곱에 반비례
⦁ 속도는 부하전류에 반비례
⦁ 전차, 권상기, 크레인
◆ 평균 구면 광도 100cd 의 전구 5개를 지름 10m인 원형의 실에 점등할 때 조명률을 0.5, 감광 보상률을 1.5 로 하면 방의 평균 조도는 약 몇 lX 인가?
① 18 ② 23
③ 27 ④ 32
△ FUN=EAD
◆ 양수량 Q=10[m3/min], 총 양정 H=8[m]를 양수하는 데 필요한 구동용 전동기의 출력 P[kW]는 약 얼마인가? (단, 펌프효율 η=75[%], 여유계수 k-=1.1이다.)
① 10 ② 15
③ 20 ④ 25
△ 양수펌프용 전동기 출력식
P = QHK/6.12η[kW] (여기서, Q{㎥/min})
P = (1.1×10×8)/(6.12×0.75) = 20[kW]
◆ 알칼리(융그너) 축전지의 음극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① 카드뮴 ② 아연
③ 마그네슘 ④ 납
△ 알칼리 축전지
⦁ 양극 : Ni(OH)3 (산화니켈)
⦁ 음극 : 에디슨 : Fe, 융그너 : Cd
⦁ 전해액 : 수산화칼륨(KOH)
⦁ 특징 : 수명이 길고 운반진동에 강하며 급격한 충, 방전에 견디고 다소 용량이 감소하여도 못쓰게 되지 않음
⦁ 포켓식, 소결식(소형이고 고율방전? 특성이 좋다.)
◆ 전기철도에서 궤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침목 ② 레일
③ 캔트 ④ 도상
△ 궤도구성의 3요소
⦁ 레일 : 차량을 지탱
⦁ 침목 : 차량 하중을 분산
⦁ 도상 : 소음 경감, 배수를 원활
◆ 다음 중 전기건조방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전열건조 ② 적외선 건조
③ 자외선 건조 ④ 고주파 건조
△ 전기건조방식
⦁ 전열 건조
⦁ 적외선 건조
⦁ 고주파 건조
⦁ 자외선은 건조보다는 살균 등에 사용
◆ 전력용 퓨즈 구입시 고려 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정격전압 ② 정격전류
③ 정력용량 ④ 정격시간
△ 전력용 퓨즈 구입 시 고려할 사항
⦁ 정격 전압
⦁ 정격 전류
⦁ 정격 용량
◆ 전선 및 기계기구를 보호할 목적으로 시설하여야 할 것 중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전력퓨즈 ② 저압개폐기
③ 누전차단기 ④ 과전류차단기
△ 과전류 차단기 : 고압 또는 특별고압 전로 중 기계 기구 및 전선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곳에 시설
◆ 동심중성선 수밀형 전력케이블의 약호는?
① CN-CV ② CN-CV-W
③ CD-C ④ ACSR
△
⦁ CN-CV :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시스 동심 중성선형 전력 케이블
⦁ CN-CV-W : 동심중성선 수밀형 전력케이블
◆ 동전선의 접속 방법이 아닌 것은?
① 교차접속 ② 직선접속
③ 분기접속 ④ 종단접속
△ 동전선의 접속 방법
⦁ 직선접속
⦁ 분기접속
⦁ 종단접속
◆ 특고압 배전선로에 사용하는 애자로서 특히 염진해오손이 심한 지역(바닷가 등)에서 사용되면 애자와 애자핀이 별도 분리되어 있으며 사용시는 조립하여 사용하는 애자는?
① 지선용 구형애자
② 내염용 라인 포스트애자
③ 고압핀애자
④ T형 인류애자
△ 내염용 라인 포스트 애자 : 특고압 배전선로에 사용하는 애자로서 특히 염진해 오손이 심한 지역(바닷가 등)에서 사용되며 애자와 애자핀이 별도 분리되어 있으며 사용 시는 조립하여 사용하는 애자
◆ 케이블트레이에 사용할 수 없는 케이블은?
① 난연성 케이블 ② 연피 케이블
③ 알루미늄피 케이블 ④ 비닐 절연전선
△ 케이블 트레이 공사
⦁ 전선 : 연피 케이블, 알루미늄피 케이블 등 난연성 케이블
◆ 플로어덕트의 최대 폭이 200mm 초과시 플로어덕트 판 두께는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① 1.2 ② 1.4
③ 1.6 ④ 1.8
△ 플로어 덕트 판 두께
플로어 덕트의 최대 폭[㎜] |
플로어 덕트의 판 두께[㎜] |
150 이하 |
1.2 이상 |
150 초과 200 이하 |
1.4 이상 |
200 초과 |
1.6 이상 |
◆ 66kV 이상의 선로에 사용되며 연결금구의 모양에 따라 크레비스형과 볼-소켓형으로 구분되는 애자는?
① 핀애자 ② 지지애자
③ 장간애자 ④ 현수애자
△ 현수애자의 특징
⦁ 크래비스형과 볼소켓형
⦁ 연결개수를 가감함으로써 임의의 전압에 사용 가능
⦁ 큰 하중에 대해서는 2련이나 3련으로 구성
⦁ 지름은 대략 254[㎜], 191[㎜]
◆ 축전지의 충전방식에서 축전지에 전해액을 넣지 않은 미충전 축전지에 전해액을 주입하여 행하는 충전방식은?
① 보통충전 ② 세류충전
③ 부동충전 ④ 초기충전
△ 충전방식
⦁ 보통 충전 : 필요한 경우 표준 시간율로 소정의 충전을 시행
⦁ 급속 충전 : 비교적 단시간에 보통 충전전류의 2~3배의 전류로 충전
⦁ 부동 충전 : 축전지의 자기 방전을 보충하는 동시에 상용 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은 충전기가 부담하고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부하전류는 축전지가 부담하도록 하는 방식
⦁ 세류 충전 : 자기 방전량만 항상 충전하는 방식
⦁ 균등 충전 : 각 전해조에 일어나는 전위차를 보정하기 위해 1~3개월마다 1회 정전압으로 10~12시간
충전하는 방식
⦁ 초기 충전 : 축전지에 전해액을 넣지 않은 미충전 축전지에 전해액을 주입하여 행하는 충전방식
◆ 병실이나 침실에서 시설할 조명기구로 적합한 것은?
① 반간접 조명기구 ② 반직접 조명기구
③ 직접 조명기구 ④ 전반확산 조명기구
△ 반간접 조명 : 병원이나 침실
◆ 모노레일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전차선로의 가선형태는 무엇인가?
① 제3궤조방식 ② 가공복선식
③ 가공단선식 ④ 강체복선식
△ 전차선로
⦁ 가공단선식 : 일반 철도
⦁ 가공복선식 : 무궤도전차
⦁ 제3레일식 : 지하철
⦁ 강체복선식 : 모노레일
◆ 유도전동기 제동방법으로 쓰이지 않는 것은?
① 회생제동 ② 계자제동
③ 역상제동 ④ 발전제동
△ 3상 유도전동기 제동법
⦁ 역전제동
- 3상 중 2상을 바꾸어 제동
- 속도를 급격히 정지, 감속시킬 때
⦁ 발전제동
- 운동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
- 자체 저항이 소비되면서 제동
⦁ 회생제동
- 유도전압을 전원전압보다 높게 하여 제동하는 방식
◆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전동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가속도의 변화비율이 일정값이 되도록 선택한다.
② 회전부분의 관성 모멘트는 적어야 한다.
③ 소음이 적어야 한다.
④ 기동 토크가 적어야 한다.
△ 엘리베이터용 전동기의 특성
⦁기동토크가 클 것
⦁관성모멘트가 적을 것(회전자가 가늘고 길 것)
⦁소음이 적을 것
⦁시정수가 적고 응답속도가 빠를 것
◆ 효율 80%의 전열기로 1kWh의 전기량을 소비하였을 때 10L의 물을 몇 [℃] 올릴 수 있는가?
① 588 ② 688
③ 58.8 ④ 68.8
△ 전열기 효율 η = (열/전기)×100 = (cmθ/860Pt)×100
θ = 860Ptη/cm = (860×1×0.8)/(1×10) = 68.8[℃]
◆ 상전압 200V의 3상 반파정류회로의 각 상에 SCR을 사용하여 위상제어 할 때 제어각이 30° 이면 직류전압은 약 몇 [V]인가?
① 109 ② 150
③ 203 ④ 256
△ SCR을 사용하여 위상제어
E = 1.17Ecosa = 1.17×200×cos30° = 203[V]
◆ 알칼리 축전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음극에 Ni산화물, Ag산화물을 사용한다.
② 전해액은 묽은 황산용액을 사용한다.
③ 진동에 약하고 급속 충방전이 어렵다.
④ 전해액의 농도변화는 거의 없다.
△ 알칼리 축전지
⦁ 양극 : Ni(OH)3 (산화니켈)
⦁ 음극 : 에디슨 : Fe, 융그너 : Cd
⦁ 전해액 : 수산화칼륨(KOH)
⦁ 특징 : 수명이 길고 운반진동에 강하며 급격한 충, 방전에 견디고 다소 용량이 감소하여도 못쓰게 되지 않음
⦁ 포켓식, 소결식(소형이고 고율방전? 특성이 좋다.)
◆ 온도 T[K]의 흑체의 단위표면적으로부터 단위시간에 방사되는 전방사에너지는?
① 그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② 그 절대온도에 반비례한다.
③ 그 절대온도의 4승에 비례한다.
④ 그 절대온도의 4승에 반비례한다.
△ 스테판-볼츠만의 법칙 : 흑체에 복사되는 전 복사에너지는 절대온도 4승에 비례한다.
◆ 트랜지스터(TR)의 기호에서 이미터의 화살표 방향이 나타내는 것은?
① 전압인가의 방향 ② 전류의 방향
③ 전계의 방향 ④ 저항의 방향
△ 이미터의 화살표 방향 : 전류의 방향
◆ 완전확산 평판 광원의 최대광도가 I[cd]일 때의 전광속[lm]은? (단, 보통 한 면에서 광속이 나오는 것으로 한다.)
① 2πI ② πI
③ 3πI ④ 4πI
△
⦁ 구광원(태양, 전구, 확산형 글로브) : F=4πI[lm]
⦁ 원주, 원통광원(형광등) : F=π²I[lm]
⦁ 평판 광원(확산형 유리창, 매입형 확산 조명기구) : F=πI[lm]
◆ 염화나트륨의 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염소, 수산화나트륨, 수소를 제조하는 것은?
① 전기도금 ② 전해정제
③ 금속의 전해 ④ 식염전해
△ 식염 전해
식염(NaCl)의 수용액을 전기 분해하여 염소(Cl), 수산화나트륨(NaOH) 및 수소(H)를 제조
제조법 : 격막법과 수은법
◆ 전선관의 산화방지를 위해 하는 도금은?
① 페인트 ② 니켈
③ 아연 ④ 납
△ 전선관의 산화방지 : 아연 도금이나 에나멜 등으로 피복
◆ 녹 아웃 펀치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하는 공구의 명칭은?
① 리이머 ② 히키
③ 드라이브이트 ④ 호울 소우
△ 녹 아웃 펀치
⦁ 유압을 이용하여 철판에 구멍을 뚫는 공구
⦁ 호울 소우(hole saw)와 같은 용도
◆ 대전류를 정격 2차 전류 5[A], 1[A], 0.1[A]의 전류로 변환하는 것이며 전류측정, 계전기 동작전원 등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은?
① CH ② CCT
③ CT ④ CC
△ 변류기(CT)
⦁ 회로의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하여 계기나 계전기에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
◆ 금속제 케이블트레이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바닥 통풍형 ② 바닥 밀폐형
③ 익스팬션형 ④ 사다리형
△ 케이블 트레이(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금속제 또는 불연성 재료로 제작된 유닛 또는 유
닛의 집합체 빛 그에 부속하는 부속재 등으로 구성된 견고한 구조물을 말하며 사다리형, 펀칭형, 통
풍 채널형, 바닥밀폐령 기타 이와 유사한 구조물을 포함한다)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은 다음 각 호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 애자사용 배선의 절연전선이 조영재를 관통하는 경우 관통부분에 사용할 수 없는 것은?
① 애관 ② 금속관
③ 합성수지관 ④ 연질비닐관
△ 애자사용 배선의 절연전선이 조영재를 관통하는 경우 관통부분에 사용이 가능한 것은 애관, 합성수지관, 연질 비닐관 등이다.
◆ 전선관과 박스와의 접속에 사용되는 것은?
① 스트레이트 박스 커넥터
② 스플릿 커플링
③ 파이프 클램프
④ 컴비네이션 유니온 커플링
△
⦁ 와이어커넥터 : 전선과 전선을 연결
⦁ 스트레이트 박스 커넥터 : 전선관과 박스의 접속
◆ 다음 중 방전등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할로겐 램프 ② 고압수은 램프
③ 메탈헬라이드 램프 ④ 크세논 램프
△ 발광의 원리
⦁ 온도복사(백열전구, 할로겐 램프 등)
⦁ 방전등(형광등, 수은등, 나트륨등, 메탈헬라이드램프, 크세논램프)
◆ 22.9[kV-Y]특고압 가공전선로에서 3조를 수평으로 배열하기 위한 완금의 길이[mm]는?
① 2400 ② 1800
③ 1400 ④ 900
△ 가공 전선로의 장주에 사용되는 완금의 표준 길이[mm]
전선의 개수 |
특고압 |
고압 |
저압 |
2 3 |
1800 2400 |
1400 1800 |
900 1400 |
◆ PF · S형 큐비클식 고압수전 설비에서 고압전로의 단락보호용으로 사용하는 전력퓨즈는?
① 한류형 ② 애자형
③ 인입형 ④ 내장형
△ 큐비클(폐쇄식 배전반) : 배전반의 옆면 및 뒷면을 폐쇄하여 만든 것으로 모선, 계기용 변성기, 차단기 등을 하나의 함 내에 시설한 것
⦁ 큐비클의 종류
종류 |
수전 용량 |
주 차단기 |
CB형 |
500[kVA] 이하 |
차단기를 사용한 것 |
PF-CB형 |
500[kVA] 이하 |
한류형 전력 퓨즈와 차단기를 조합 사용한 것 |
PF-S형 |
300[kVA] 이하 |
PF와 고압 개폐기를 사용한 것 |
◆ 송전선로에 사용되는 애자의 불량여부를 검출하는 검출기는 명칭이다. 애자의 전압분포 측정용 기기가 아닌 것은?
① 네온관식 ② 스파이크 클립
③ 비즈스틱 ④ 고압메거
△ 메거 : 절연저항 측정기기
◆ 전동기의 정격(rate)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연속 정격 ② 단시간 정격
③ 중시간 정격 ④ 반복 정격
△ 전동기 정격의 종류
⦁ 연속 정격 : 지정된 조건 아래에서 연속 사용할 때 그 기기에 관한 표준 규격에 정해져 있는 온도상
승이나 그 밖의 제한을 초과하는 일이 없는 정격
⦁ 단시간 정격 : 기기를 냉각된 상태에서 사용하기 시작하여 지정된 일정한 단시간 지정 조건 하에서 사용할 때 그 기기에 대한 표준 규격으로 정하여지는 온도상승 등의 제한을 넘지 않는 정격
⦁ 반복 정격 : 지정된 조건 아래에서 일정한 부하로 운전과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 사용할 때에 규정된 온도상승 등 기타의 제반조건을 초과하지 않는 정격
◆ 전열 방식의 종류 중 전자의 충돌에 의한 가열 방식은?
① 아크 가열 ② 레이저 가열
③ 유도 가열 ④ 전자빔 가열
△ 전자빔 가열 : 진공 중에서 고속으로 가열한 전자를 접속하여 그 전자의 충돌에 의한 에너지로 가열하는 방식
⦁ 에너지의 밀도나 분포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 고용점 재료 및 금속박 재료의 용접이 쉽다.
⦁ 진공 중에서 가열이 가능하다
⦁ 가열 범위가 극리 국한된 부분에 집중시킬 수 있어서 열에 의한 변질이 될 부분을 적게 할 수 있다.
◆ 도통상태(ON 상태)에 있는 SCR을 차단상태(turn off) 상태로 하기위한 적당한 방법은?
① 게이트 전류를 차단시킨다.
② 양극(애노드) 전압을 음으로 한다.
③ 게이트에 역방향 바이어스를 인가시킨다.
④ 양극전압을 더 높게 가한다.
△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 게이트 작용 : 통과 전류 제어 작용
⦁ 이온 소멸시간이 짧다.
⦁ 역저지 3극 사이리스터(정류기능)
⦁ 게이트 전류에 의해서 방전개시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 PNPN(4층) 구조로서 부성(-) 저항특성이 있다.
⦁ 소형이면서 대전력용
⦁ ON → OFF : 전원전압(애노드)을 음(-)으로 한다.
⦁ turn on : 게이트 전류에 의해서
◆ 유전체 자신을 발열시키는 유전 가열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열이 유전체 손에 의하여 피가열물 자체 내에서 발생한다.
② 온도상승 속도가 빠르고 속도가 임의 제어된다.
③ 내부발열의 방식인 경우 표면이 과열될 우려가 없다.
④ 전 효율이 좋고, 설비비가 저렴하다.
△
⦁ 유전가열 : 유전체에서 발생되는 유전체손을 이용
목재접착, 비닐막접착, 플라스틱 성형 및 용접
⦁ 유도가열: 도전성 물질(금속)에서 발생하는 와류손과 히스테리시스손에 의한 발열 이용
금속의 담금질, 금속의 표면처리, 국부가열, 반도체 정련
◆ 가공 전차선 지지물 중 강재를 한 개 또는 두 개를 합쳐서 전주의 한쪽으로만 지지하여 설치한 것은 무엇인가?
① 고정 브래킷 ② 고정 빔(Beam)
③ 스팬선 빔(Beam) ④ 귀 선로
△ 고정 브래킷
가공전차선 지지물 중 강재를 한 개 또는 두 개를 합쳐서 전주의 한쪽으로만 지지하여 설치한 것
◆ 다음 온도계의 동작 원리 중 제벡 효과를 이용한 온도계는?
① 저항 온도계 ② 방사 온도계
③ 열전 온도계 ④ 광 고온계
△ 열전 온도계 동작원리 : 제벡 효과 이용
◆ 방사에 의한 열의 발산에 사용되는 단위가 잘못된 것은?
① 방사속 : [W]
② 방사세기 : [W/m³]
③ 방사밀도 : [W/m³]
④ 방사조도 : [W/m²]
△
⦁ 방사속(복사속) : 단위 시간당의 복사(방사)에너지, [W]
⦁ 방사세기(복사세기) : 복사의 세기로서 단위 면적당의 전력, [W/m²]
⦁ 방사밀도 : 단위 체적당 방사에너지, [J/m³], [W/m³]
⦁ 방사조도 : 어떤 면을 향하여 조사되는 방사면의 밀도, [W/m²]
◆ 내선 규정에 의한 일반적인 접지 공사의 접지선의 색깔은?
① 적색 ② 청색
③ 녹색 ④ 흑색
△ 중성선 : 회색 또는 백색
◆ 접지공사 시 접지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저감제는?
① 백필(흑연 분말과 코크스 분말의 혼합물)
② 동판 및 동봉
③ 가열 왁스
④ 아스팔트 마스틱
△ 보통의 경우 백필(흑연분말과 코크스 분말의 혼합물)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 가공 배전선로 경완금에 현수애자를 장치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이 자재를 사용하면 앵커쇄클과 볼크레비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① 볼 쇄클 ② 소켓아이
③ 데드엔드 클램프 ④ 각암타이
△ 앵커쇄클 + 볼크레비스 → 볼쇄클
◆ 케이블의 약호 중 EE의 품명은?
① 미네랄 인슈레이션 케이블
②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시스 케이블
③ 형광 방전등용 비닐 전선
④ 폴리에틸렌 절연 폴리에틸렌 시스 케이블
△
⦁ MI 케이블 : 미네랄 인슈레이션 케이블
⦁ EE 케이블 : 폴리에틸렌절연 폴리에틸렌 시스케이블
⦁ EV 케이블 : 폴리에틸렌절연 비닐 시스케이블
◆ 주상 변압기를 전주에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금구류는?
① 행거 밴드 ② 지선 밴드
③ 볼 아이 ④ 인류 스트랍
△
⦁ 행거밴드 : 주상변압기를 전주에 설치
⦁ 암타이밴드 : 암타이를 전주에 설치
⦁ 랙크 : 저압배전선로에서 수직배열 시 사용하는 것
◆ 변압기 철심으로 사용하는 전력용 규소강판의 두께는?
① 약 0.15mm ② 약 0.35mm
③ 약 0.55mm ④ 약 0.75mm
△ 변압기 철심(규소강판) : 0.35~0.5[mm]
◆ 고율 방전형 연축전지로 단시간 대전류 부하(디젤, 가스터빈, 엔진 시동, 엘리베이터 비상조작)용은?
① PS형 ② HS형
③ AM형 ④ AL형
△
⦁ 납 축전기
CS형 : 완 방전형(일반 설치용)
HS형 : 급 방전형(고율 방전용)
⦁ 알칼리 축전지
① 포케식
AL형 : 완 방전형(일반 설치용)
AM형 : 표준형(표준 방전용)
AMH형 : 급 방전형(준고율 방전용)
AH-P형 : 초급 방전형(고율 방전용)
② 소결식
AH-S형 : 초급 방전형(고율 방전용)
AHH형 : 초초급 방전형(초고율 방전용)
◆ 수변전설비의 인입구 개폐기로 사용되며 부하전류를 개폐할 수 있으나 고장전류를 차단할 수 없으므로 한류 퓨즈와 직렬로 사용되는 것은?
① 자동고장 구분 개폐기 ② 선로 개폐기
③ 기중부하 개폐기 ④ 부하 개폐기
△ 부하개폐기(LBS) : 부하전류를 개폐할 수 있으나 고장전류를 차단할 수 없으므로 한류퓨즈와 직렬로 사용
◆ 옥외의 빗물의 침입을 막는데 사용하며 금속관 공사의 인입구 관 끝에 사용하는 재료는?
① 링리듀서 ② 서비스 엘보우
③ 강제부싱 ④ 엔트렌스 캡
△ 엔트렌스캡(우에사캡)
인입구, 인출구의 관단에 설치하여 금속관에 접속하여 옥외의 빗물을 막는 데 사용
◆ 등기구 용량 앞에 특별히 표시할 경우에는 각각의 기호를 표시한다. 다음 중 등기구 종류별 기호가 옳은 것은?
① 형광등 : F ② 수은등 : N
③ 나트륨등 : T ④ 메탈 핼라이드 등 : H
△ 등기구 기호
⦁ 형광등 : F
⦁ 수은등 : H
⦁ 나트륨등 : N
⦁ 메탈 헬라이드등 : M
'전기공사기사 >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공사기사)2016년 1회차 기출문제 (0) | 2020.03.04 |
---|---|
(전기공사기사)2015년 기출문제 (2) | 2020.03.03 |
(전기공사기사)2013년 기출문제 (1) | 2020.03.01 |
(전기공사기사)2012년 기출문제 (0) | 2020.02.29 |
(전기공사기사)2011년 기출문제 (0) | 2020.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