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이오드 클램퍼(clamper)의 용도는?
① 전압증폭 ② 전류증폭
③ 전압제한 ④ 전압레벨 이동
△ 다이오드 클램퍼 : 전압레벨 이동 시 사용
◆ 직류전동기의 기동방식으로 적합한 것은?
① 기동 보상기법 ② 전전압 기동법
③ 저항 기동법 ④ Y-△ 기동법
△
⦁ 직류전동기 기동방식 : 저항 기동법
⦁ 유도전동기(농형) 기동방식 : 전전압 기동법, Y-△ 기동법, 기동 보상기법
◆ 전동기의 제동시 전원을 끊고 전동기를 발전기로 동작시켜 이때 발생하는 전력을 저항에 의해 열로 소모시키는 제동법은?
① 회생제동 ② 발전제동
③ 와전류제동 ④ 역상제동
△ 3상 유도전동기 제동법
⦁역전제동
- 3상 중 2상을 바꾸어 제동
- 속도를 급격히 정지, 감속시킬 때
⦁발전제동
- 운동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
- 자체 저항이 소비되면서 제동
⦁회생제동
- 유도전압을 전원전압보다 높게 하여 제동하는 방식
◆ 반구면 광원의 상반구 광속이 1000[lm], 하반구 광속은 3000[lm]이다. 평균 구면 광도는 약 몇 [cd]인가?
① 637 ② 564
③ 462 ④ 318
△
⦁반구면 F = 1000 + 3000 = 4000[lm]
⦁구면 F = 4000 × 2 = 8000[lm]
⦁구광원 F = 4πI
I = F/4π = 8000/4π = 637[cd]
◆ 자기소호 기능을 갖는 소자는?
① GTO ② SCR
③ TRIAC ④ LASCR
△ GTO(Gate Turn-off Thyristor)
게이트에 흐르는 전류를 점호할 때의 전류와 반대 방향의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서 소호(자기소호 기능)
◆ 단상 교류식 전기철도에서 통신선에 발생하는 유도 장해를 경감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① 흡상 변압기 ② 3권선 변압기
③ 스콧트 결선 ④ 크로스본드
△ 전기철도에 사용
⦁전압 불평형 방지 : 스코트 결선(T결선)
⦁유도 장해 방지법 : 흡상 변압기(BT)
◆ 완전 확산면의 휘도(B)와 광속 발산도(R)의 관계식은?
① R=4πB ② R=2πB
③ R=πB ④ R=π2B
△ 완전 확산면 : 휘도가 같은 면
R = πB = ρE = τE[rlx]
◆ 15[℃]의 물 4[ ]를 1[kW]의 전열기를 사용하여 90[℃]로 가열하는데 30분 걸렸다. 이 전열기의 효율은 약 몇 [%]인가? (단, 증발은 없는 것으로 한다.)
① 70 ② 75
③ 80 ④ 85
△ 전열기 효율 η = (열/전기)×100 = {(cmθ)/(860Pt)}×100
(c : 비열, m : 질량, θ : 온도변화)
◆ 전기 저항 온도계의 저항체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① 백금 ② 텅스텐
③ 은 ④ 주석
△ 저항 온도계 : 브리지식 온도계(온도 : -200~500[℃])
재료 : Pt, Ni, Cu
반도체 : 서미스텟
◆ 보호계전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ASS ② OCGR
③ DGR ④ SGR
△ 계전기(Relay)
⦁ASS : 자동 고장 구분 개폐기
⦁RDR : 비율 차동 계전기
⦁DGR : 지락 방향 계전기(방향 지락 계전기)
⦁SGR : 선택 지락 계전기
⦁OCGR : 과전류 지락 계전기
◆ 공기전지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방전 시에 전압변동이 적다.
② 온도 차에 의한 전압변동이 적다.
③ 사용 중의 자기 방전이 크고 오랫동안 보존할 수 없다.
④ 내열, 내한, 내습성을 가지고 있다.
△ 공기 (건)전지의 특징
⦁방전 시 전압 변동이 적다.
⦁자기 방전이 적고 장시간 보존이 가능하다
⦁온도 차에 따른 전압 변동이 적다.
⦁내한, 내열, 내습성을 가진다
⦁용량이 커서 경제적이다.
◆ EL 램프의 특징아 아닌 것은?
① 초박형 평면광원이다.
② 색상이 다양하며 소재가 견고하다.
③ 전력소비 절감 및 수명이 길다.
④ 발열식 광원이다.
△ EL 방전등
⦁전체에 넣고 전계를 가하면 발광(면광원 램프)
⦁전력소비 절감 및 수명이 길며 휘도가 낮다.
⦁가볍고 견고하며 진동과 충격, 방습, 방수력이 우수
⦁표시용, 장식용
◆ 철근 콘크리트주에 완금을 취부할 때 사용하는 부속재는?
① 풀 스텝 ② 행거밴드
③ U 볼트 ④ 앵글베이스
△
⦁ 풀 스텝 : 전주에 오를 때 필요한 디딤 볼트
⦁ 행거밴드 : 변압기를 전주에 고정 시키기 위한 밴드
⦁ 앵글베이스 : 지지물에 cos 또는 핀애자를 고정시키는 부속자재
⦁ U 볼트 : 전주에 완금을 취부할 때 사용
◆ 다음 중 옥내배선의 가는 전선을 박스 안에서 접속하는데 사용하는 슬리브는?
① 종단겹침용 슬리브 ② 매킹타이어 슬리브
③ B형 슬리브 ④ S형 슬리브
△ 종단겹침용 슬리브 : 가는 전선을 박스 안에서 접속하는데 사용
◆ 전선 이상온도 검지장치에 사용되는 검지선의 규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도체는 균질한 금속제의 연선일 것
② 외장의 가열온도는 90℃±2에 적합할 것
③ 외장의 두께는 0.1mm 이상일 것
④ 완성품은 맑은 물속에 1시간 담근 후 도체 상호 간 및 도체와 대지 간에 500V의 교류전압을 연속하여 1분간 가할 때 이에 견딜 것
△ 전기이상온도 검지장치
⦁ 도체는 균질한 금속제의 단선일 것
⦁ 외장의 두께는 0.1[mm] 이상일 것
⦁ 완성품은 맑은 물속에 1시간 담근 후 도체 상호 간 및 도체와 대지 간에 500V의 교류전압을 연속하여 1분간 가할 때 이에 견딜 것
◆ 전기기기 절연계급의 종류별 최고 허용온도에 대한 규정으로 잘못된 것은?
① Y종 : 90℃ ② E종 : 120℃
③ F종 : 155℃ ④ H종 : 170℃
△ 절연물의 최고 허용온도
종류 |
Y |
A |
E |
B |
F |
H |
C |
허용온도[℃] |
90 |
105 |
120 |
130 |
155 |
180 |
180 초과 |
◆ 노출공사에 사용되는 금속관을 조영재에 부착하는 재료는?
① 터미널 캡 ② 새들
③ 커플링 ④ 엔트런스 캡
△
⦁ 터미널 캡 : 저압 가공 인입선에서 금속관 공사로 옮겨지는 곳에 사용
⦁ 커플링 : 금속관 상호 접속 또는 관과 노멀밴드와의 접속에 사용
⦁ 엔트런스 캡(우예사 캡) : 관단에 설치하여 옥외의 빗물을 막는 데 사용
⦁ 새들 : 금속관을 조영재면에 부착하는 데 사용
◆ 버스 덕트 배선에서 덕트의 최대 폭(mm)과 강판의 두께(mm)가 틀린 것은?
① 폭 150mm 이하일 때 두께 1.0mm 이상
② 폭 150mm 초과 300mm 이하일 때 두께 1.4mm이상
③ 폭 300mm 초과 500mm 이하일 때 두께 1.6mm이상
④ 폭 700mm 초과일 때 두께 2.0mm 이상
△ 덕트 판의 두께
덕트의 최대폭[mm] |
덕트의 판두께[mm] |
|
강판 |
알루미늄판 |
|
150 이하 |
1.0 |
1.6 |
150 초과 300 이하 |
1.4 |
2.0 |
300 초과 500 이하 |
1.6 |
2.3 |
500 초과 700 이하 |
2.0 |
2.9 |
700 초과하는 것 |
2.3 |
3.2 |
◆ 방전등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수은등 ② 할로겐등
③ 형광 수은등 ④ 메탈 할라이드등
△ 발광의 원리
⦁ 온도복사(백열전구, 할로겐램프 등)
⦁ 방전등(형광등, 수은등, 나트륨등, EL램프 등)
◆ 가로 5[m], 세로 6[m], 광원에서 작업면까지의 높이 2[m], 바닥에서 작업면까지의 높이 0.8[m]인 방의 천정에 2등용 형광등 기구를 설치하여 500[lx]의 평균 조도를 얻고자 한다. 이 때 실지수 k와 최소 형광등 기구의 수 N은? (단, 형광등 1개의 광속은 3000[lm], 조명률 0.6, 보수율 0.7이다.)
① k = 1.6, N = 12 ② k = 1.6, N = 8
③ k = 1.4, N = 8 ④ k = 1.4, N = 6
△
실지수 RI = XY/{H(X+Y)}
형광등 기구의 수 N = ESD/FU
◆ 조도를 구하는 식은? (단, 면적은 A, 광속은 F이다.)
① 2F×A ② F×A
③ A/F ④ F/A
△ 조도 : 단위 면적 당 입사광속
E = F/S [lm/㎡][lx]
◆ 복사(방사) 고온계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요소로 사용되는 것은?
① 저항계 ② 전압계
③ 전류계 ④ 전력계
△ 방사(복사) 고온계
⦁ 스테판 볼쯔만 법칙 이용
⦁ 비접촉식(피측온물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온도를 기록)
⦁ 조작이 간단
⦁ 온도를 직독
⦁ 온도의 측정 범위가 600~4000[℃]
⦁ 측정 : 밀리볼드미터(전압계)
◆ 직류 전동기 속도제어에서 일그너 방식이 채용되는 것은?
① 제지용 전동기 ② 특수한 공작 기계용
③ 제철용 대형 압연기용 ④ 인쇄기
△ 직류전동기 속도제어 중 전압 제어 방식
⦁ 워드 레오나드 방식 : 관성모멘트가 적은 부하에 사용(엘리베이터 등)
⦁ 일그너 방식 : 플라이휠을 사용하여 관성모멘트를 크게 한 것으로 대형부하나 부하가 급변하는 장소에 사용(제철, 제관공장 등에 사용)
◆ 핀치 오프(pinch off) 전압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① 게이트와 드레인 사이의 전압
② 드레인과 소스 사이의 전압
③ 게이드와 소스 사이의 전압
④ 드레인과 드레인 사이의 전압
△ 핀치 오프 전압 :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전압
◆ 열차의 능률적인 운전제어를 목적으로 하고 구간 내 각 역에 있는 전철기와 신호기 등을 중앙제어실에서 원격제어하는 장치는?
① 자동 열차 정지 장치 ② 열차 집중 제어 장치
③ 자동 열차 제어 장치 ④ 자동 열차 운전 장치
△
⦁ 자동 열차 제어장치(ATC) : 주로 열차의 안전운전을 목적으로 사용
⦁ 열차 집중 제어장치(CTC) : 열차의 능률적인 운전제어를 목적 CTC는 구간 내 각 역에 있는 전철기와 신호기 등을 중앙제어실에서 원격제어하는 장치
◆ 금속의 표면 담금질에 적합한 가열 방식은?
① 직접 아크 가열 ② 고주파 유도 가열
③ 고주파 유전 가열 ④ 간접 저항 가열
△ 전기가열
∙ 유전가열 : 유전체에서 발생되는 유전체손을 이용
목재접착, 비닐막접착, 플라스틱 성형 및 용접
∙ 유도가열: 도전성 물질(금속)에서 발생하는 와류손과 히스테리시스손에 의한 발열 이용
금속의 담금질, 금속의 표면처리, 국부가열, 반도체 정련
∙ 적외선 가열 건조 : 적외선 전구의 복사열을 이용하여 가열 및 건조
방직 염색, 자동차 도장, 도자기에 사용
◆ 전극에 저항물질이 생성되었을 때 이것을 극복해서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 필요한 과전압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농도 과전압 ② 천이 과전압
③ 저항 과전압 ④ 결정화 과전압
△
⦁ 저항 과전압 : 전극에 저항물질이 생성되었을 때 이것을 극복해서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 필요한 과전압
⦁ 농도 과전압 : 전류가 통과할 때 전극 표면 부근에 있는 반응 생성물의 활동도(또는 농도)가 변화해서 이것을 보충하는 데에 과잉 전압이 요구되는 것
◆ 전기 집진기는 무엇을 이용한 것인가?
① 와전류 ② 누설전류
③ 잔류자기 ④ 대전체간의 정전기력
△ 전기집진기
⦁ 대전체와의 정전기력을 이용
⦁ 평판, 파형관, 철망 등을 집진극의 양극으로 하고 중앙에 피아노선을 음극으로 하여 30~60[kV]의 직류전압을 인가하고 여기에 연소가슬르 통과시키면 회(먼지)입자는 부(-)로 하전되어 집진극에 부착
◆ 10[℃]의 물 10[ℓ]를 20분간 가열하여 96[℃]로 올리기 위해 필요한 전열기 용량은 약 몇 [kW]인가? (단, 전열기의 효율은 80%이다.)
① 2.75 ② 3.75
③ 5.75 ④ 6.75
△ 전열기 효율 η = (열/전기)×100 = {(cmθ)/(860Pt)}×100
(c : 비열, m : 질량, θ : 온도변화)
◆ 영상변류기(ZCT)의 1차 전류와 2차 전류는 각각 얼마를 기준으로 하는가?
① 100[mA], 1.25[mA] ② 200[mA], 1.25[mA]
③ 100[mA], 1.5[mA] ④ 200[mA], 1.5[mA]
△ 영상변류기(ZCT) : 영상(지락)전류 검출
⦁ 1차 전류 : 200[mA]
⦁ 2차 전류 : 1.5[mA]
◆ 접지극으로 사용하는 동봉, 철관, 철봉, 탄소피복 강봉 길이는 얼마 이상으로 되어야 가장 적당한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① 3[m] ② 6[m]
③ 8[m] ④ 9[m]
△ 접지극
⦁ 동판 : 두께 0.7[mm] 이상, 면적 900[㎠] 이상
⦁ 동봉, 동피복강봉 : 지름 8[mm] 이상, 길이 0.9[m] 이상
⦁ 철봉 : 지름 12[mm] 이상, 길이 0.9[m] 이상의 아연도금 철봉
⦁ 동복강판 : 두께 1.6[mm] 이상, 길이 0.9[m] 이상, 면적 250[㎠] 이상
⦁ 탄소피복강봉 : 지름 8[mm] 이상인 강심. 0.9[m] 이상
◆ 차단기 약호 MBB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공기 차단기 ② 자기 차단기
③ 유입 차단기 ④ 기중 차단기
△
⦁ 공기차단기(ABB) : 압축공기를 이용
⦁ 자기차단기(MBB) : 전자력을 이용
⦁ 유입차단기(OCB) : 절연유룰 이용
⦁ 기중차단기(ACB) : 대기(공기)를 이용
◆ 금속관 공사용 재료가 아닌 것은?
① Coupling ② Saddle
③ Bushing ④ Cleat
△
⦁ 커플링 : 금속관과 관을 접속할 때
⦁ 새들 : 금속관을 조영재면에 고정시킬 때
⦁ 부싱 : 금속관의 끈에 붙어 전선에 피복 손상 방지
⦁ 크리이트 : 애자 사용 공사에 사용
◆ 저압 전선로의 인입선의 중성선 또는 접지측 전선은 어느 빛깔의 애자를 사용하는가?
① 흑색 ② 황색
③ 청색 ④ 백색
△ 애자의 색상
⦁ 특고압용 핀 애자 : 적색
⦁ 저압용 애자(접지측 제외) : 백색
⦁ 접지 측 애자 : 청색
◆ 특고압 지중전선로에 사용되는 케이블이 아닌 것은?
① 미네럴 인슈레이션 케이블
② 알루미늄피 케이블
③ 폴리에틸렌 혼합물 케이블
④ 파이프형 압력 케이블
△ 저압 옥내배선
⦁ 단면적 2.5[㎟]의 연동선
⦁ 단면적이 1[㎟] 이상의 MI 케이블(미네랄 인슈레이션 케이블)
◆ 굴곡 반지름이 3[m]이하 곡선부분에서 절연 트롤리선의 지지점간의 거리[m]는?
① 1 ② 1.2
③ 2 ④ 3
△ 굴곡 반지름이 3[m] 이하 곡선부분에서 절연 트롤리선의 지지점 간 거리 : 1[m]
◆ 전기기기 자심재료의 구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보자력 및 잔류자기가 클 것
② 투자율이 클 것
③ 포화 자속밀도가 클 것
④ 고유저항이 클 것
△ 자심 재료의 구비 조건
⦁ 투자율이 클 것
⦁ 포화 자속밀도가 클 것
⦁ 보자력 및 잔류자기가 작을 것
⦁ 저항률이 클 것
⦁ 기계적, 전기적 충격에 대하여 안정할 것
◆ 지지물(전주 등)의 강도 보강 및 불평형 하중에 대한 평형 유지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은?
① 소켓아이 ② 지선
③ 볼아이 ④ 볼쇄클
△ 지선 : 지물의 강도 보상, 불평형 하중에 대한 평형유지
◆ 투광기와 수광기로 구성되고 물체가 광로를 차단하면 접점이 개폐되는 스위치는?
① 압력 스위치 ② 리밋 스위치
③ 광전 스위치 ④ 근접 스위치
△ 광전 스위치 : 빛의 변화를 일으키는 물체가 있다면 금속 뿐 아니라 고체, 액체, 기체 모든 것이 가능한 검출기, 산업용 로봇이나 자동화 기기의 제어용 센서로서 이용
⦁ 투과형 : 발광기와 수광기는 별도이고 그 사이에 물체가 가리면 검출 신호를 발생한다.
⦁ 반사형 : 발광기와 수광기는 일체 물체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한다.
⦁ 발광소자 : 백열 전구,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등
⦁ 수광소자 : 실리콘 광전자, 핫트랜지스터 등
◆ 단상 유도 전동기에서 보조권선의 양단을 서로 바꾸어 접속하거나 브러시의 위치를 이동시키면 회전방향이 바뀐다. 회전방향을 변경할 수 없는 것은?
① 분상 기동형 ② 콘덴서 기동형
③ 반발 기동형 ④ 세이딩 코일형
△ 단상 유도전동기 회전방향 변경
⦁ 보조권선의 양단을 서로 바꾸어 접속 : 분상 기동형, 콘덴서 기동형
⦁ 브러시의 위치를 이동 : 반발기동형
◆ 사이리스터를 턴 온(turn on)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① 인가전압 변화율 증가 ② 소자의 온도 증가
③ 소자 인가전압 증가 ④ 게이트에 전압 인가
△ SCR
⦁ 사이리스터 turn-on : 게이트에 신호인가
⦁ 사이리스터 turn-off : 애노드를 음극(-)으로
◆ 다음 중 일반적으로 휘도가 가장 높은 램프는?
① 백열전구 ② 고압 수은등
③ 탄소 아크등 ④ 형광등
△ 탄소아크등
⦁ 휘도가 매우 크다
⦁ 영상기, 투광기 등에 사용
◆ 폭 30[m]인 도로의 중앙에 높이 6[m], 전광속 25000 lm]인 400[W] 고압 나트륨등을 20[m]간격으로 가설할때 도로의 평균조도[lx]는? (단, 조명률 0.25, 감광보상율은 1.3이다.)
① 8.0 ② 10.4
③ 15.5 ④ 48.0
△ 도로 조명에서 1등 당 면적(중앙 배열)
S = ab = 30 × 20 =600[㎡]
◆ 유전가열의 특징을 나타낸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온도상승이 신속하며 온도상승의 속도제어가 쉽다.
② 반도체의 정련 단결정의 제조 등 특수 열처리가 가능하다.
③ 전원을 제거하면 즉시 가열은 정지된다.
④ 가열이 균일하게 행해지며, 열전도의 대소나 피가 열물의 두께 등에 관계없다.
△
⦁ 유전가열(유전체손을 이용) : 목재의 건조, 목재의 접착, 비닐막의 접착
⦁ 유도가열(히스테리시스손과 와류손을 이용) : 금속의 표면처리, 반도체의 정련 단결정의 제조
◆ 다음 중에서 전력용 정류 장치로 우수한 것은?
① 아산화동 정류기 ② 실리콘 정류기
③ 셀렌 정류기 ④ 게르마늄 정류기
△ SCR
⦁ 실리콘 정류기는 아산화동, 셀렌 정류기보다 가볍고 수명이 대단히 길다.
⦁ 전류밀도가 높고 온도특성이 우수하다.
◆ 바리스터(Varistor)의 용도는?
① 전압증폭
② 정전압
③ 과도 전압에 대한 회로보호
④ 전류특성을 갖는 4단자 반도체 장치에 사용
△
⦁ 바리스터 : 서지에 대한 회로 보호용
⦁ 제너다이오드 : 정전압용
◆ 8600[kcal/kg]의 석탄 10[kg]에서 나오는 열량은 50[kW] 전열기를 몇 시간[h] 사용한 것과 같은가?
① 2 ② 4
③ 5 ④ 7
△ 전열기 효율 η = (열/전기)×100 = {(cmθ)/(860Pt)}×100 (c : 비열, m : 질량, θ : 온도변화)
※ η = (열/전기)×100 = {(mH)/(860Pt)}
◆ 가정용 전기기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동기는?
① 단상 유도 전동기 ② 분권 직류 전동기
③ 3상 유도 전동기 ④ 단상 정류자 전동기
△
가정용 전기기기 : 단상 유도전동기
전원을 얻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 가공 배전선의 인류 및 내장개소에서 전선을 지지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① 활선 크램프 ② 데드엔드 크램프
③ 인류스트랍 ④ 배선용 래크
△
⦁ 데드엔드 크램프 : 가공 배전선의 인류 및 내장개소에서 전선을 지지
⦁ 배선용 래크 : 배전선로 수직배열 시 사용
◆ 고압회로에 사용되는 퓨즈는?
① 방출형 퓨즈 ② 플러그 퓨즈
③ 관형 퓨즈 ④ 텅스텐 퓨즈
△ 고압 회로의 단락보호에 사용하는 퓨즈는 전력 퓨즈이며 방출형과 한류형으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는 방출형이 사용된다.
⦁ 방출형 : 카트리지에 개구부가 있고, 차단 시에 아크가 이 개구부에서 방출 가용편이 스프링으로 당겨지며, 용단 시에 끊어지게 된다.
⦁ 한류형 : 가는 은선을 석영입자속에 매립하여 아크 에너지를 이것으로 흠수 냉각하여 소호하는 것이다.
◆ 다음 중 축전지가 충분히 충전되었을 때 양극판의 빛깔은 무슨 색인가?
① 황색 ② 청색
③ 적갈색 ④ 회백색
△ 축전지 상태
⦁ 충분히 충전 : 양극판은 적갈색, 음극판은 회백색
⦁ 충분히 방전 : 회백색
◆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선 굵기는 공칭단면적 몇 [㎟] 이상의 연동선 이어야 하는가?
① 8 ② 6
③ 1.25 ④ 2.5
△ 접지공사의 접지선의 굵기(연동선)
제1종 접지공사 |
6[㎟] |
제2종 접지공사 |
16[㎟] 또는 6[㎟] |
제3종 접지공사 |
2.5[㎟] |
특별 제3종 접지공사 |
2.5[㎟] |
◆ 바닥 밑으로 매입 배선할 때 사용하는 것은?
① 플로어 박스 ② 엔트런스 캡
③ 폭 너트 ④ 픽스쳐 스터드
△
⦁ 플로어 박스 : 바닥 밑 배선 시
⦁ 엔트렌스캡(우에사캡) : 인입구, 인출구의 관단에 설치하여 금속관에 접속하여 옥외의 빗물을 막는 데 사용
⦁ 픽스쳐스터드와 히키 : 아우트렛 박스에 조명기구를 부착시킬 때 기구 중량의 장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
◆ 전선 및 케이블의 중간 접속제로 사용되는 것은?
① 칼부럭 ② 볼트식 터미널
③ 압착 슬리브 ④ 압착 터미널
△
슬리브 : 전선이나 케이블 접속 시 사용(직선형, 분기형, 점퍼용)
◆ 전문상점의 조명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전로의 사용전압은 대지전압을 300V 이하로 하여야 한다.
② 15A 분기회로 또는 20A 배선용 차단기 분기회로에서 공급한다.
③ 조명기구의 지표상 높이는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에서 4M 이상으로 한다.
④ 금속제 연쇄노점에 시설하는 금속관은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한다.
△ 전문상점의 조명시설
⦁ 대지전압 : 300[V] 이하
⦁ 분기회로 : 15[A] 분기회로 또는 20[A] 배선용 차단기
⦁ 조명기구의 지표상 높이 :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에서 5[m] 이상
⦁ 금속제 연쇄노점에 시설하는 금속관 : 특별 제3종 접지공사
◆ 약호 중 전류 전환 스위치를 표시하는 것은?
① AS ② PF
③ PC T ④ ZCT
△
⦁ AS : 전류계용 전환 스위치
⦁ PF : 전력용 퓨즈
⦁ ZCT : 영상변류기
◆ 케이블을 구부리는 경우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굴곡부의 곡률반경을 원칙적으로 바깥지름의 12배 이상으로 하는 케이블은?
① 비닐외장 케이블
② 폴리에틸렌외장 케이블
③ 콘크리트 직매용 케이블
④ 알루미늄피 케이블
△ 알루미늄피 케이블의 굴곡
알루미늄피 케이블을 구부리는 경우는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그 굴곡부의 곡률 반경은 원칙적으로 케이블 바깥지름의 12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가요성 알루미늄피 케이블은 케이블 바깥지름의 7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합성수지몰드 배선시공 시 사람의 접촉이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의 규격은?
① 홈의 폭 3.5cm 이하, 두께 2mm 이상
② 홈의 폭 3.5cm 이하, 두께 1mm 이상
③ 홈의 폭 5cm 이하, 두께 2mm 이상
④ 홈의 폭 5cm 이하, 두께 1mm 이상
△ 합성수지몰드의 선정
합성수지몰드 공사 시 홈의 폭 3.5[cm] 이하, 두께 2[mm] 이상
단,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경우 홈의 폭 5[cm] 이하, 두께 1[mm] 이상
'전기공사기사 >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공사기사)2016년 1회차 기출문제 (0) | 2020.03.04 |
---|---|
(전기공사기사)2015년 기출문제 (2) | 2020.03.03 |
(전기공사기사)2014년 기출문제 (0) | 2020.03.02 |
(전기공사기사)2013년 기출문제 (1) | 2020.03.01 |
(전기공사기사)2011년 기출문제 (0) | 2020.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