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공사기사/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전기공사기사)2016년 2회차 기출문제

by Aldrin 2020. 3. 5.
반응형

저압 나트륨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광원의 효율은 방전등 중에서 가장 우수하다.

   가시광의 대부분이 단일 광색이므로 연색지수가 낮다.

   물체의 형체나 요철의 식별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연색성이 우수하여 도로, 터널의 조명등에 쓰인다.

 

나트륨등

투시력이 좋다.(안개 낀 지역, 터널 등에서 사용)

단색 광원(순황색)으로 옥내 조명에 부적당하다.

효율이 우수하다.

연색성이 좋지 않다.

 

 

 

 1kW 전열기를 사용하여 5L의 물을 20에서 90로 올리는데 30분이 걸렸다. 이 전열기의 효율은 약 몇 %인가?

   70 78

   81 93

 

전열기의 효율

η = (/전기)×100 = {(cmθ)/(860Pt)}×100

η = [{1×5×(90-20)}/{860×1×(30/60)}]×100 = 81[%]

 

 

 

 전기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 철도 측에서의 방법 중 틀린 것은?

   변전소 간격을 단축할 것

   귀선로의 저항을 적게 할 것

   도상의 누설 저항을 적게 할 것

   전차선(트롤리선) 전압을 승압할 것

 

전식(전기적인 부식) 방지법

레일 본드 시설.

보조귀선 설치한다.

변전소 간격을 좁힌다.

귀선을 부극성으로 한다.

 

 

 

 동일 정격의 다이오드를 병렬로 사용하면?

   역전압을 크게 할 수 있다.

   필터 회로가 필요 없게 된다.

   전원 변압기를 사용할 수 있다.

   순방향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이오드 병렬연결 : 과전류 방지(순방향 전류 증가)

다이오드 직렬연결 : 과전압 방지

 

 

 

 비닐막 등의 접착에 주로 사용하는 가열 방식은?

   유전가열 저항가열

   아크가열 유도가열

 

유전가열 : 유전체손에 의한 가열

목재의 접착, 비닐막 접착, 플라스틱 성형 등에 사용

 

 

 

 3상 유도전동기를 급속히 정지 또는 감속시킬 경우, 가장 손쉽고 효과적인 제동법은?

   역상 제동 회생 제동

   발전 제동 와전류 제동

 

역상제동(플러깅)

3상 중 2상을 바구어 제동

속도를 급격히 정지 또는 감속시킬 때

 

 

 

 금속의 화학적 성질로 틀린 것은?

   산화되기 쉽다.

   전자를 잃기 쉽고, 양이온이 되기 쉽다.

   이온화 경향이 클수록 환원성이 강하다.

   산과 반응하고, 금속의 산화물은 염기성이다.

 

이온화(수소보다 반응성이 큰 원소들은 산성과 반응해 수소 기체를 발생)

⦁ 이온화 경향이 클수록 산화성이 강하다.

 

 

 

 기동 토크가 가장 큰 단상 유도 전동기는?

   콘덴서 전동기 반발 기동 전동기

   분상 기동 전동기 콘덴서 기동 전동기

 

단상 유도전동기의 기동 토크가 큰 순서

반발 기동형 > 콘덴서 기동형 > 분상 기동형 > 셰이딩 코일형

 

 

 

 반도체 사이리스터에 의한 속도 제어 중 주파수 제어는?

   계자 제어 인버터 제어

   컨버터 제어 초퍼 제어

 

VVVF :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

유도전동기 속도 제어법으로 인버터를 이용하여 주파수 제어

 

 

 

 반도체에 빛이 가해지면 전기저항이 변화되는 현상은?

    홀효과 광전효과

    지벡효과 열진동 효과

 

광전효과 : 반도체에 빛을 가해지면 도전율이 증가하는 현상

광기전력 효과 : 반도체에 빛이 가해지면 기전력이 발생되는 현상

 

 

 

 납축전지가 충분히 충전되었을 때 양극판은 무슨 색인가?

    황색 청색

    적갈색 회백색

 

축전지 상태

충분히 충전 : 양극판은 적갈색, 음극판은 회백색

충분히 방전 : 회백색

 

 

 

 나트륨등의 이론적 발광 효율은 약 몇 lm/W인가?

    255 300

    395 500

 

나트륨등의 이론 효율 η=395[lm/W]

 

 

 

 합성 수지관 배선공사에서 틀린 것은?

    관 말단 부분에서는 전선 보호를 위하여 부싱을 사용한다.

    합성 수지관 내에서 전선에 접속점을 만들어서는 안된다.

    배선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제외한다.)을 사용한다.

    합성 수지관을 새들 등으로 지지하는 경우는 그 지지점간의 거리를 1.5m 이하로 한다.

 

합성수지관 공사

합성수지관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은 다음 각 호에 따르고 또한 중량물의 압력 또는 현저한 기계적 충격을 받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전선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제외한다.) 일 것

전선은 연선일 것. 다만, 다음의 것을 적용하지 않는다.

짧고 가는 합성수지관에 넣은 것

단면적 10[](알루미늄선은 단면적 16[]) 이하의 것

전선은 합성수지관 안에서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관 상호 간 및 박스와의 관을 삽입하는 깊이를 관의 바깐 지름의 1.2(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0.8) 이상으로 견고하게 접속할 것

관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1.5[m] 이하로 할 것

 

 

 

 분전반의 소형 덕트 폭으로 틀린 것은?

    전선 굵기 35이하는 덕트 폭 5cm

    전선 굵기 95이하는 덕트 폭 10cm

    전선 굵기 240이하는 덕트 폭 15cm

    전선 굵기 400이하는 덕트 폭 20cm

 

배전반과 분전반의 소형 덕트 폭

전선의 굵기[]

배전반과 분전반의 소형 덕트 폭[]

35 이하

8

95 이하

10

240 이하

15

400 이하

20

630 이하

25

1000 이하

30

 

 

 

 버스덕트 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덕트의 끝부분을 개방한다.

    건조한 노출장소나 점검할 수 있는 은폐장소에 시설한다.

    덕트를 조영재에 붙이는 경우에는 덕트의 지지점간의 거리를 최대 2m 이하로 한다.

    저압 옥내배선의 시동전압이 400V 이상인 경우에는 덕트에 제 3종 접지공사를 한다.

 

버스 덕트 공사

버스 덕트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은 다음 각호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덕트 상호 간 및 전선 상호 간은 견고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덕트를 조영재에 붙이는 경우에는 덕트의 지지점 간의 거리를 3[m](취급자 이외의 자가 출입할 수 없도록 설비한 곳에서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6[m]) 이하로 하고 또한 견고하게 붙일 것

덕트(환기형의 것을 제외한다)의 끝부분은 막을 것

덕트(환기형의 것을 제외한다)의 내부에 먼지가 침입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에는 덕트에 제3종 접지공사를 할 것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이상인 경우에는 덕트에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할 것. 다만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에는 제3종 접지공사에 의할 수 있다.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옥외용 버스 덕트를 사용하고 버스 덕트 내부에 물이 침입하여 고이지 아니하도록 할 것

 

 

 

 알루미늄 전선 접속시 가는 전선을 박스 안에서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슬리브는?

    S형 슬리브 종단 겹침용 슬리브

    매킹 타이어 슬리브 직선 겹침용 슬리브

 

종단 겸침용 슬리브 : 가는 전선을 박스 안에서 접속하는데 사용

 

 

 

 변압기유로 쓰이는 절연유에 요구되는 특성이 아닌 것은?

    점도가 클 것

    절연내력이 클 것

    인화점이 높을 것

    비열이 커서 냉각 효과가 클 것

 

절연유의 구비조건

점도가 적고 비열이 커서 냉각 효과가 클 것

절연내력이 클 것

인화점은 높고 응고점은 낮을 것

고온에서 산화하지 않고 침전물이 생기지 않을 것

 

 

 

 가공 송전선로의 ACSR 전선 등에 설치되는 진동 방지용 장치가 아닌 것은?

    Damper PG Clamp

    Armor rod Spacer Damper

 

전선의 진동방지 : 댐퍼나 아마로드

전선의 간격유지 및 진동방지 : 스페이서 댐퍼

 

 

 

 배전반 및 분전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개폐기를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장소에 시설하여야 한다.

    옥측 또는 옥외 시설하는 경우는 방수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노출하여 시설되는 분전반 및 배전반의 재료는 불연성의 것이어야 한다.

    난연성 합성수지로 된 것은 두께가 최소 2mm 이상으로 내 아크성인 것이어야 한다.

 

배전반, 분전반 설치 시

반의 옆쪽 또는 뒤쪽에 설치하는 분, 배전반의 소형덕트는 강판제이어야 한다.

난연성 합성수지로 된 것을 두께가 최소 1.5[] 이상으로 내아크성의 것이어야 한다.

강판제의 것은 두께 1.2[mm]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가 30[cm] 이하인 것은 두께 1.0[m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배전반이나 분전반을 넣는 금속제의 함 및 이를 지지하는 금속 프레임 또는 구조물의 접지

고압, 특고압 : 1종 접지공사

400[V] 미만 : 3종 접지공사

400[V] 이상 600[V] 미만 : 특별 제3종 접지공사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으로 연선을 사용할 경우 소선의 지름은 최소 몇 mm 이상의 금속선인가?

    2.1 2.3

    2.6 2.8

 

지선의 시설

지선의 안전율은 2.5 이상일 것. 이 경우에 허용 인장하중의 최저는 4.31[kN]으로 한다.

소선 3가닥 이상의 연선일 것

소선의 지름의 2.6[] 이상의 금속선을 사용한 것일 것. 다만 소선의 지름이 2[mm] 이상인 아연도강연선으로서 소선의 인장강도가 0.68[kN/]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지중부분 및 지표상 30[cm]까지 부분에는 내식성이 있는 것 또는 아연도금을 한 철봉을 사용하고 쉽게 부식되지 아니하는 근가에 견고하게 붙일 것. 다만, 목주에 시설하는 지선에 대해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지선근가는 지선의 인장하중에 충분히 견디도록 시설할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