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공사기사/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전기공사기사)2016년 4회차 기출문제

by Aldrin 2020. 3. 6.
반응형

전열의 원리와 이를 이용한 전열 기기의 연결이 틀린 것은?

   저항 가열 전기 다리미

   아크 가열 전기 용접기

   유전 가열 온열 치료 기구

   적외선 가열 피부 미용 기기

 

전기가열의 방식

저항 가열 : 전류에 의한 옴손(저항)을 이용

직접 저항 가열 : 도선성의 피열물에 직저 전류를 통하여 가열

간접 저항 가열 : 저항체(발열체)로부터 열의 방사, 전도, 대류에 의해서 피열물에 전달하여 가열

 

종류

특징

직접 저항 가열

흑연화로

카아보런덤로

카바이드로

알루미늄용해로

열효율이 가장 우수

간접 저항 가열

염욕로

크립톨로

발열체로

탄화규소로

복잡한 형태의 물질을 균일하게 가열

 

아크 가열 :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고온의 아크열 이용하여 가열

전극 : 흑연 전극, 탄소 전극, 인조 흑연 전극

효율 : 70~80[%]

고압 아크로

- 초산(질산), 초산석회 제조에 사용

- 센헬로, 포오링로, 비란게란드 아이데르

저압 아크로 : 직접식(에르우식), 간접식(요동식)

 

유도 가열 : 교번 자기장 내에 놓여진 유도성 물체에 유도된 와류손과 히스테리시스손을 이용하여 가열

유도로

- 저주파 유도로 : 50~60[Hz]

- 고주파 유도로 : 10~5000[kHz]

용도

- 금속의 표면 처리

- 반도체 전해정련

- 단결정제조

 

유전가열 : 유전체에서 발생되는 유전체손을 이용

특징

- 온도 상승 속도가 빠르다.

- 표면의 소손, 균열이 없다.

- 효율은 좋지 못하며 50~60[%]

- 설비비가 고가이다.

사용 주파수 : 1~200[MHz]

용도 : 목재의 접착, 비닐막 접착, 플라스틱 성형 및 용접

유도 가열과 유전 가열의 공통점 : 직류 전원은 사용 불가능

 

적외선 가열 : 적외선 전구의 방사열에 의하여 피조물을 가열하여 건조

특징

- 공산품 표면 건조에 적당하고 효율이 좋다.

- 구조와 조작이 간단

- 건조 재료의 감시가 용이하고 청결, 안전

- 유지비가 저렴하고 설치장소 절약 가능

용도 : 도장, 섬유공업의 건조, 인쇄 잉크에 건조

 

 

 

 다음 용접 방법 중 저항 용접이 아닌 것은?

   점 용접 이음매 용접

   돌기 용접 전자빔 용접

 

저항 용접 : 접합하는 모재의 접촉부를 통해서 통전하여 발생하는 저항열을 이용해서 가열한 다음 압력을 가해서 용접하는 방법

점 용접, 돌기 용접, 심 용접(이음매 용접), 맞대기 용접, 충격 용접

 

 

 

자체 방전이 적고 오래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 중에 전압 변동률이 비교적 적은 것은?

   공기 건전지 보통 건전지

   내한 건전지 적층 건전지

 

공기 건전지

전해액 : 염화암모늄(NH4Cl)

감극제 : 산소

특성

- 전압 변동률과 자체 방전이 작고 오래 저장할 수 있으며 가볍다.

- 방전용량이 크고 처음 전압은 망간전지 비해 약간 낮다.

 

 

 

네온 전구의 용도로서 틀린 것은?

   소비 전력이 적으므로 배전반의 표시등에 적합하다.

   부글로우를 이용하고 있어 직류의 극성 판별에 사용된다.

   일정한 전압에서 점등되므로 검전기, 교류 파고값의 측정에 이용할 수 없다.

   네온 전구는 전극 간의 길이가 짧으므로 부글로우를 발광으로 이용한 것이다.

 

네온전구

발광 원리 : 음극 글로우(부글로우)

용도

- 소비전력이 적으므로 배전반의 파이롯, 종야등에 적합

- 음극만이 빛나므로 직류의 극성 판별용에 이용

- 일정 전압에서 점화하므로 검전기 교류 파고치의 측정에 쓰임

봉입 압력 : 수십[mmHg]

전극 : Fe

방전을 쉽게 하기 위하여 바륨, 세륨, 마그네슘을 바른다.

 

 

 

선박의 전기 추진에 많이 사용되는 속도제어 방식은?

   크레머 제어방식 2차 저항 제어방식

   극수 변환 제어방식 전원 주파수 제어방식

 

농형유도전동기

주파수 변환법

- 역률이 양호하며 연속적인 속도제어가 되지만, 전용 전원이 필요

- 인견, 방직 공장의 포트모터, 선박의 전기 추진기

극수 변환법

전압 제어법

 

 

 

다음 전기 차량의 대차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4륜차 전동차

   보기차 연결차

 

대차(보기차)

차체의 중향을 부담하고 이것을 각 바퀴에 고르게 분포함과 동시에 차체에 대하여 자유롭게 방향을 전환하여 차량의 주행을 원활하게 하는 것

2륜차, 4륜차, 연결차 등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SSS3극 쌍방향 사이리스터로 되어 있다.

   SCRPNPN이라는 2층의 구조로 되어 있다.

   트라이액은 2극 쌍방향 사이리스터로 되어 있다.

   DIAC은 쌍방향으로 대칭적인 부성 저항을 나타낸다.

 

SSS : 2극 양방향 소자

SCR : 단방향 3단자 소자, PNPN4층 구조

TRIAC : 양방향 3단자 소자, 3극 소자

DIAC : 양방향 2단자 소자, NPN3층 구조

 

 

 

배전선의 전압을 조정하는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승압기 병렬 콘덴서

   변압기의 탭조정 유도전압 조정기

 

배전선의 전압을 조정하는 방법

승압기

유도전압조정기

주상변압기 탭조정

병렬콘덴서는 부하의 역률 개선용

 

 

 

높이 10[m]에 있는 용량 100[m3]의 수조를 만조시키는 데 필요한 전력량은 약 몇 [kWh]인가? (, 전동기 및 펌프의 종합 효율은 80[%], 여유계수 1.2, 손실수두는 2[m]이다.)

   1.5 2.4

   3.7 4.9

 

양수기(펌프)의 출력

출력 P = (9.8QHK)/η [kW] (Q : 용량, H : 총양정, K : 여유계수)

, Q[/s]

전력량 W = Pt = {9.8×(100/3600)×(10+2)×1.2}/0.8 = 4.9[kWh]

총양정(H)은 손실수도를 고려해 10+2=12[m]가 된다.

 

 

 

완철 장주의 설치 중 설치 위치 및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완철은 교통에 지장이 없는 한 긴 쪽을 도로측으로 설치한다.

    완철용 M 볼트는 완철의 반대 측에서 삽입하고 완철이 밀착되게 조인다.

    완철 밴드는 창출 또는 편출 개소를 제외하고 보통 장주에만 사용한다.

    단완철은 전원 측에 설치하며 하부 완철은 상부 완철과 동일한 측에 설치한다.

 

완철 장주의 설치

완철은 교통에 지장이 없는 한 긴 쪽을 도로측으로 설치

완철용 M볼트는 완철의 반대 측에서 삽입하고 완철이 밀착되게 조인다.

완철 밴드는 창출 또는 편출 개소를 제외하고 보통 장주에만 사용

 

 

 

투광기와 수광기로 구성되고 물체가 광로를 차단하면 접점이 개폐되는 스위치는?

    압력 스위치 광전 스위치

    리밋 스위치 근접 스위치

 

광전 스위치

빛의 변화를 일으키는 물체가 있다면 금속뿐 아니라 고, , 기체 모든 것이 가능한 검출기. 산업용 로봇이나 자동화 기기의 제어용 센서로서 이용

투과형 : 발광기와 수광기는 별도이고 그 사이의 물체가 가리면 검출 신호를 발생한다.

반사형 : 발광기와 수광기는 일체 물체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한다.

발광 소자 : 백열 전구, 적위선 발광 다이오드 등.

수광 소자 : 실리콘 광전자, 핫트랜지스터 등.

 

 

 

다음 전지 중 물리 전지에 속하는 것은?

    열전지 연료 전지

    수은 전지 산화은 전지

 

물리 전지 : 반도체 PN 접합면에 태양 광선을 조사해서 기전력을 얻는 방식

종류 : 태양전지, 원자력 전지, 열전지

 

 

 

폴리머애자의 설치 부속자재를 옳게 나열한 것은?

    ① ㉠ 경완철, 볼쇄클, 소켓 아이, 폴리머 애자, 데드앤드 크램프

    ② ㉠ 볼쇄클, 소켓 아이, 폴리머 애자, 경완철, 데드앤드 크램프

    ③ ㉠ 소켓 아이, 볼 쇄클, 데드앤드 크램프, 폴리머 애자, 경완철

    ④ ㉠ 경완철, 폴리머 애자, 소켓 아이, 데드앤트 크램프, 볼쇄클

 

 

 

개폐기의 명칭과 기호의 연결로 틀린 것은?

    2극 쌍투형 : DPDT 2극 단투형 : DPST

    단극 쌍투형 : SPDT 단극 단투형 : TPST

 

단극 단투형 : SPST

단극 쌍투형 : SPDT

2극 단투형 : DPST

2극 쌍투형 : DPDT

 

 

 

가공 전선로에 사용되는 전선의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

    도전율이 높은 것 내구성이 있을 것

    비중(밀도)이 클 것 기계적인 강도가 클 것

 

전선의 구비조건

도전율이 클 것

내식성이 클 것

비중(밀도)가 작을 것

인장 강도가 클 것

가요성이 클 것

접속공사가 용이할 것

 

 

 

19/1.8[mm] 경동연선의 바깥지름은 몇 [mm]인가?

    8.5 9

    9.5 10

 

바깥지름 D = (2n+1)d = (2×2+1)×1.8 = 9[]

※ 여기서 연선은 [N/d]이므로 소선의 총수가 19가닥이므로 층 수 n=2이다.

 

 

 

공칭전압 22[kV]인 중성점 비접지 방식의 변전소에서 사용하는 피뢰기의 정격 전압은 몇 [kV]인가?

    18 20

    22 24

 

피뢰기 정격전압

22.9[kV] 중성점 다중접지식 : 18[kV]

22[kV] 중성점 비접지방식 : 24[kV]

 

 

 

고압으로 수전하는 변전소에서 접지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계전기에 영상전류를 공급하는 계전기는?

    CT PT

    ZCT GPT

 

영상변류기(ZCT) : 영상(지락)전류 검출

 

 

 

아웃렛 박스(정션박스)에서 전등선로를 연결하고 있다. 박스 내에서 전선 접속방법으로 옳은 것은?

    납땜 압착 단자

    비닐 테이프 와이어 커넥터

 

와이어 커넥터 : 전선과 전선을 연결

 

 

 

 아크의 전압, 전류 특성은?

 

 

아크의 전압, 전류 특성 : 수하특성

수하특성 :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면 전압이 급격히 감소하는 특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