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사/건축계획

(건축기사)공장, 병원

by Aldrin 2020. 1. 31.
반응형

공장 및 창고

1. 공장건축의 형식과 특성

분관식 : 대지가 부정형이나 고저차가 있을 때 유리

집중식 : 대지가 평탄하거나 정형일 때 유리

분관식

집중식

신설, 확장이 용이

조기 건설 가능

통풍, 채광이 양호

배구, 물홈통설치가 용이

경사지붕, 다층공장

공간효율이 좋다

건축비 저렴

운반이 용이

내부 배치 변경의 탄력성

평지붕, 단층공장

 

2. 레이아웃 계획

공장 사이의 여러 부분, 작업장 내의 기계 설비, 작업자의 작업 구역, 자재나 제품을 두는 곳 등 상호 위치 관계를 가리키는 것을 말한다.

장래 공장 규모의 변화에 대응한 융통성이 있어야 한다.

공장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공장 배티 계획, 평면 계획 시 레이아웃을 건축적으로 종합한 것이 되어야 한다.

 

3. 레이아웃의 형식

제품중심의 레이아웃(연속작업식) : 생산에 필요한 공정, 기계 종류를 작업의 흐름에 따라 배치하는 방식

 ⦁ 대량 생산에 유리하고, 생산성이 높다.

 ⦁ 공정 간의 시간적, 수량적 균형을 이룰 수 있다.

 ⦁ 상품의 연속성이 유지된다.

 

공정중심의 레이아웃(기계설비중심)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예상 생산이 불가능한 경우나 표준화가 행해지기 어려운 경우에 채용

생산성이 낮으나 주문생산에 적합

공정 간의 시간적, 수량적 균형을 이루기 어렵다.

 

고정식 레이아웃

주가 되는 재료나 조립 부품이 고정된 장소에 있고 사람이나 기계는 그 장소에 이동해가서 작업이 행해지는 방식

제품이 크고 생산 수량이 극히 적은 경우에 적합(선박, 건축)

 

4. 지붕

톱날형 지붕 : 채광창을 북향으로 하면 하루종일 변함없는 조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병원

1. 분관식, 집중식

분관식

집중식

저층의 평면 분산식

자연채광과 같은 환경조건이 양호함

넓은 부지가 필요하며 관리가 불편함

고층의 평면 집약식 : 도심지에 적합

병동에서 조망 확보 가능

보행거리가 짧고 공간의 효율이 좋음

대지를 효과적으로 이용

설비시설의 집중화 및 관리가 편리함

공조 설비가 필요, 설비비가 높다

피난에 불리하다.

 

2. 병원의 면적구성 비율

병동부

30~40%

서비스부

20~25%

중앙진료부

15~17%

외래진료부

10~14%

관리부

8~10%

 

3. 중앙진료부(수술실)

 위치 : 외래진료부와 병동부의 중간에 위치

 병상 수 : 병원건축의 시설 규모를 결정하는 기준

100 병상 이하

소규모 병원

100~200 병상

중규모 병원

300 병상 이상

대규모 종합병원 및 대학 부속병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