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장 및 창고
1. 공장건축의 형식과 특성
⦁ 분관식 : 대지가 부정형이나 고저차가 있을 때 유리
⦁ 집중식 : 대지가 평탄하거나 정형일 때 유리
분관식 |
집중식 |
신설, 확장이 용이 조기 건설 가능 통풍, 채광이 양호 배구, 물홈통설치가 용이 경사지붕, 다층공장 |
공간효율이 좋다 건축비 저렴 운반이 용이 내부 배치 변경의 탄력성 평지붕, 단층공장 |
2. 레이아웃 계획
① 공장 사이의 여러 부분, 작업장 내의 기계 설비, 작업자의 작업 구역, 자재나 제품을 두는 곳 등 상호 위치 관계를 가리키는 것을 말한다.
② 장래 공장 규모의 변화에 대응한 융통성이 있어야 한다.
③ 공장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공장 배티 계획, 평면 계획 시 레이아웃을 건축적으로 종합한 것이 되어야 한다.
3. 레이아웃의 형식
① 제품중심의 레이아웃(연속작업식) : 생산에 필요한 공정, 기계 종류를 작업의 흐름에 따라 배치하는 방식
⦁ 대량 생산에 유리하고, 생산성이 높다.
⦁ 공정 간의 시간적, 수량적 균형을 이룰 수 있다.
⦁ 상품의 연속성이 유지된다.
② 공정중심의 레이아웃(기계설비중심)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예상 생산이 불가능한 경우나 표준화가 행해지기 어려운 경우에 채용
⦁ 생산성이 낮으나 주문생산에 적합
⦁ 공정 간의 시간적, 수량적 균형을 이루기 어렵다.
③ 고정식 레이아웃
주가 되는 재료나 조립 부품이 고정된 장소에 있고 사람이나 기계는 그 장소에 이동해가서 작업이 행해지는 방식
⦁ 제품이 크고 생산 수량이 극히 적은 경우에 적합(선박, 건축)
4. 지붕
톱날형 지붕 : 채광창을 북향으로 하면 하루종일 변함없는 조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 병원
1. 분관식, 집중식
분관식 |
집중식 |
저층의 평면 분산식 자연채광과 같은 환경조건이 양호함 넓은 부지가 필요하며 관리가 불편함 |
고층의 평면 집약식 : 도심지에 적합 병동에서 조망 확보 가능 보행거리가 짧고 공간의 효율이 좋음 대지를 효과적으로 이용 설비시설의 집중화 및 관리가 편리함 공조 설비가 필요, 설비비가 높다 피난에 불리하다. |
2. 병원의 면적구성 비율
병동부 |
30~40% |
서비스부 |
20~25% |
중앙진료부 |
15~17% |
외래진료부 |
10~14% |
관리부 |
8~10% |
3. 중앙진료부(수술실)
⦁ 위치 : 외래진료부와 병동부의 중간에 위치
⦁ 병상 수 : 병원건축의 시설 규모를 결정하는 기준
100 병상 이하 |
소규모 병원 |
100~200 병상 |
중규모 병원 |
300 병상 이상 |
대규모 종합병원 및 대학 부속병원 |
'건축기사 > 건축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기사)장애인, 노인, 임산부 법률 (0) | 2020.02.02 |
---|---|
(건축기사)호텔, 미술관, 극장 (0) | 2020.02.01 |
(건축기사)학교, 도서관 (0) | 2020.01.30 |
(건축기사)상점, 백화점 (0) | 2020.01.29 |
(건축기사)사무소, 은행 (0) | 2020.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