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교사 : 학교 건물)
학교 운영방식
종합교실형 |
초등학교 저학년에 적합, 교실 수와 학급 수 일치 |
교과교실형 |
모든 교실이 특정 교과 때문에 만들어지며 일반교실은 없음, 학생의 이동이 심하므로 새인용 소지품 보관장소 필요(라커) |
플래툰형 |
한 학급을 2개 분단으로 나누어 한 쪽은 일반교실, 다른 쪽은 특별교실 사용함. |
달톤형 |
한국의 사설학원 및 직업학교의 형태, 학급과 학년이 없고 특정의 목적을 위해 수업진행 |
오픈스쿨 |
|
2. 이용률과 순수율
이용률(%) = (교실이 사용되고 있는 시간 / 1주간 평균 수업 시간) * 100
순수율(%) = (일정한 교과를 위해 사용되는 시간 / 그 교실이 사용되고 있는 시간) * 100
◆ 도서관
★ 서고의 수용능력 : 면적당 150~250권/㎡, 체적당 66권/㎥
★ 캐럴 : 도서관에 연구자가 일정기간 자료를 점유하여 이용하거나 연구하기 위한 독립적인 개실이나 객석으로 1.4~4㎡ 정도가 필요
★ 기본 도서출납시스템
① 자유 개가식 : 열람자 자신이 서가에서 책을 꺼내어 책을 고르고 그대로 검열을 받지 않고 열람하는 형식
☞ 책을 골라서 자유롭게 꺼내서 본다.
② 안전 개가식 : 이용자가 서가에서 자유롭게 자료를 찾고, 열람은 직원의 체크를 필요로 하는 형식
☞ 책을 골라서 책의 안전을 위해 직원에서 봐도 되는 지 물어본다.
③ 폐가식 : 열람자가 책의 목록에 의해 책을 선택하여 관원에게 대출기록을 제출한 후 대출받는 형식, 대출정차가 복잡하고 관원의 작업량이 많게 된다.
☞ 책 목록을 보고 책을 선택 후 직원에게 대출 기록을 주고 대출을 받아 본다.
④ 반개가식 : 이용자가 직접 서고 내의 서가에서 도서자료의 제목정도는 볼 수 있지만 내용을 열람하고자 할 경우 관원에세 대출을 요구해야 하는 형식으로 일반적으로 신간 서적 안내에 채택
☞ 서가에서 책 제목을 보고 직원에게 대출 문의 후 대출해서 열람
'건축기사 > 건축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기사)호텔, 미술관, 극장 (0) | 2020.02.01 |
---|---|
(건축기사)공장, 병원 (0) | 2020.01.31 |
(건축기사)상점, 백화점 (0) | 2020.01.29 |
(건축기사)사무소, 은행 (0) | 2020.01.28 |
(건축기사)주택일반, 단독주택, 연립주택, 공동주택 (0) | 2020.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