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폭발 ◎ 폭발 : 화학반응이나 상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열에 의해 급격한 기체 부피의 팽창이 일어나고 그 결과 급격한 압력의 증가로 파괴작용을 일으켜 폭음을 내거나 높은 온도의 폭발생성물을 내고 때로는 화재를 수반하는 현상 • 폭연 : 화염의 전파속도가 음속보다 작은 경우(300m/s) • 폭굉 : 화염의 전파속도가 음속보다 큰 경우(1000~3500m/s), 수소나 아세틸렌이 발화하면 발생 ◎ 폭발의 종류 • 분해폭발 • 분진폭발 : 가연성 고체의 미분이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을 때에 어떤 착화원에 의해 폭발하는 현상 (밀가루, 석탄가루, 먼지, 전분, 금속분) • 중합폭발 • 분해중합폭발 • 산화폭발 ※ 분진폭발을 일으키지 않는 물질(=물과 반응해서 가연성 기체를 발생하지 않는 물질) ⇨ 시멘트, 석회석, .. 2019. 4. 17. 2.2 유류화재 ◎ 유류화재 (1) 비중 • 유류비중 < 물비중 ⇨ 유류화재에선 주수소화 불가 (2) 유류화재에서의 재해현상 ① 보일 오버 • 중질유의 탱크에서 장시간 조용히 연소하다가 탱크 내의 잔존 기름이 갑자기 분출하는 현상 • 유류 탱크에서 탱크 바닥에 물과 기름이 에멀션이 섞여 있을 때 이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현상 • 연소유면으로부터 100°C 이상의 열파가 탱크 저부에 고여 있는 물을 비등하게 하면서 연소유를 탱크 밖으로 비산시키며 연소하는 현상 ② 프로스 오버 : 보일오버 현상과 유사하지만 화재를 동반하지 않는 현상 ③ 오일오버 : 저장 탱크 내에 저장된 유류 저장량이 내용적의 50% 이하로 충전되어 있을 때 화재로 인하여 탱크가 폭발하는 현상 ④ 슬롭오버 • (소화를 위한)물이 연소유의 뜨거운 표면에.. 2019. 4. 17. 2.1 화재 ◎ 화재의 정의 : 사람의 의도에 반하거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현상으로서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화학적인 폭발현상을 말하며 일반적인 특성으로는 확대성, 우발성, 불안정성을 들 수 있다. ◎ 화재의 분류 ① 일반화재(A급) - 백색, 연소 후 재를 남기는 화재 ② 유류 및 가스 화재(B급) - 황색, 연소 후 재를 남기지 않는 화재 ③ 전기화재(C급) - 청색, 전기에 의한 발열체가 발화원이 되는 화재 ④ 금속화재(D급) - 무색, 금속 및 금속분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화재 ◎ 화재의 형태 (1) 확산 화염(자연화재) ※ 그레이엄의 확산 속도 법칙 V1/V2 = √(m2m1) (V : 기체의 확산속도, m : 기체의 질량) (2) 자연발화 ※ 자연발화의 조건(열이 축적되어야.. 2019. 4. 17. 1.4 기체의 부피의 관한 법칙 ◎ 기체의 부피의 관한 법칙 (1) 보일의 법칙 :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량의 기체의 부피는 압력에 반비례한다 P1V2 = P1V2 (2) 샤를의 법칙 : 일정한 압력에서 일정량의 기체의 부피는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V1/T1 = V2/T2 (3) 보일-샤를의 법칙 : 일정량의 기체의 부피는 절대온도에 비례하고, 압력에 반비례한다 (P1×V1)/T1 = (P2×V2)/T2 (4) 이상 기체 상태방정식 이상기체 : 분자의 부피는 없고 질량만 가지며, 평균운동에너지는 분자량과 무관하고 절대온도에만 비례한다 PV = nRT (P : 압력 V : 부피 n : 몰수 R : 기체상수 T : 절대온도) 2019. 4. 17. 이전 1 ··· 14 15 16 17 1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