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재의 정의 : 사람의 의도에 반하거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현상으로서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화학적인 폭발현상을 말하며 일반적인 특성으로는 확대성, 우발성, 불안정성을 들 수 있다.
◎ 화재의 분류
① 일반화재(A급) - 백색, 연소 후 재를 남기는 화재
② 유류 및 가스 화재(B급) - 황색, 연소 후 재를 남기지 않는 화재
③ 전기화재(C급) - 청색, 전기에 의한 발열체가 발화원이 되는 화재
④ 금속화재(D급) - 무색, 금속 및 금속분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화재
◎ 화재의 형태
(1) 확산 화염(자연화재)
※ 그레이엄의 확산 속도 법칙
V1/V2 = √(m2m1) (V : 기체의 확산속도, m : 기체의 질량)
(2) 자연발화
※ 자연발화의 조건(열이 축적되어야 한다)
• 발열량이 커야 한다
• 열전도율이 낮아야 한다
• 주위의 온도가 높아야 한다
• 표면적이 넓어야 한다(산소와 만날 확률이 높다)
※ 자연발화 방지법(=열축적이 안되게 한다)
• 습도가 높은 곳은 피할 것(=건조상태 유지)
• 온도가 낮출 것
• 통풍이 잘되게 할 것
• 퇴적, 축적 되는 것을 피할 것
• 열전도성이 좋게 할 것
• 촉매 역할을 하는 것을 멀리할 것
※ 자연발화의 형태
① 산화열(기름걸레)
② 분해열
③ 흡착역
④ 중합열
⑤ 발효열
(3) 훈소(작열연소의 한 형태) : 착화에너지가 충분하지 않아 가연물이 발화되지 못하고 다량의 연기가 발생하는 형태
ex) 담배
(4) 예혼합연소? : 가연성 기체와 공기 중 산소
◎ 건축물의 소실 정도에 따른 화재 형태
• 전소화재 : 소실 정도가 70%
• 반소화재 : 소실 정도가 30~70%
• 부분소화재 : 그 외 나머지 화재
◎ 화재하중[㎏/㎡] : 단위 면적당 가연물의 양
화재하중 q = ∑(Gt × Ht) / HA = ∑G/4500A
q : 화재하중 [kg/m²]
Gt : 가연물량 [kg]
Ht : 가연물의 단위발열량 [kcal/kg]
H : 목재 단위발열량 [kcal/kg]
A : 화재실, 화재구획의 바닥면적 [m²]
∑G : 화재실, 화재구획의 가연물 전체발열량 [kcal]
'소방설비기사 > (공통)소방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폭발 (0) | 2019.04.17 |
---|---|
2.2 유류화재 (0) | 2019.04.17 |
1.4 기체의 부피의 관한 법칙 (0) | 2019.04.17 |
1.3 연소와 관련된 용어 (0) | 2019.04.17 |
1.2 가연물, 산소공급원, 점화원 (0) | 2019.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