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설비기사/(공통)소방원론

2.3 폭발

by Aldrin 2019. 4. 17.
반응형

폭발 : 화학반응이나 상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열에 의해 급격한 기체 부피의 팽창이 일어나고

그 결과 급격한 압력의 증가로 파괴작용을 일으켜 폭음을 내거나 높은 온도의 폭발생성물을 내고

때로는 화재를 수반하는 현상

 • 폭연 : 화염의 전파속도가 음속보다 작은 경우(300m/s)

 • 폭굉 : 화염의 전파속도가 음속보다 큰 경우(1000~3500m/s), 수소나 아세틸렌이 발화하면 발생

 

폭발의 종류

 • 분해폭발

 • 분진폭발 : 가연성 고체의 미분이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을 때에 어떤 착화원에 의해 폭발하는 현상

   (밀가루, 석탄가루, 먼지, 전분, 금속분)

 • 중합폭발

 • 분해중합폭발

 • 산화폭발

분진폭발을 일으키지 않는 물질(=물과 반응해서 가연성 기체를 발생하지 않는 물질)

 ⇨ 시멘트, 석회석, 탄산칼슘, 생석회(=산화칼슘)

 

폭발 발생의 원인

 ① 물리적, 기계적 원인 : 압력 방출

 ② 화학적 원인 : 증기운, 분해, 분진, 폭발

 

블레비(BLEVE) : 가연성 액체 저장 탱크 주위에서 화재 등이 발생하여 기상부의 탱크 강판이 국부적으로 가열되면

그 부분의 강도가 약해져 그로 인해 탱크가 파열된다이때 내부에서 가열된 액화가스가 급격히 유출, 팽창되어

화구를 형성하며 폭발하는 형태를 말한다.

 

증기운폭발(UVCE)? : 블레비와 유사하나, 유출의 차이

반응형

'소방설비기사 > (공통)소방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 연기  (0) 2019.04.17
2.4 불의 성상  (0) 2019.04.17
2.2 유류화재  (0) 2019.04.17
2.1 화재  (0) 2019.04.17
1.4 기체의 부피의 관한 법칙  (0) 2019.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