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설비기사/(공통)소방원론

1.3 연소와 관련된 용어

by Aldrin 2019. 4. 17.
반응형

연소와 관련된 용어

 • 발화점(= 착화점 = 착화온도) : 점화원 없이 스스로 연소할 수 있는 최저온도

  * 고체물질 중에서 발화점이 가장 높은 물질 : 인견(사람이 만든 비단)

 • 인화점 : 점화원을 주었을 때 연소할 수 있는 최저 온도

 • 연소점 : 불꽃을 제거해도 연소가 가능한 온도, 인화점보다 약 5~10도씨 정도 높은 온도

 ※ 발화점 > 연소점 > 인화점

 

 • 비중 : 어떤 물질의 질량과 그 물질과 부피가 같은 표준 질량과의 질량의 비,

  ① 고체와 액체 : 4도씨의 물의 비중을 1

  ② 기체 : 0도씨 1기압 공기의 비중을 1

 • 비점 = 끓는 점

 • 비열

  1 칼로리 = 1g의 물체를 섭씨 1도씨를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1BTU : 1파운드의 물체를 화씨 1도만큼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1chu : 1파운드의 물체를 섭씨 1도씨만큼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 융점 : 녹는 점

 • 잠열 : 숨어있는 열 온도는 변화 하지 않고 물질의 상태 변화에 필요한 열

 ※ 물의 잠열

  ① 기화(증발) 잠열 : 539cal/g

  ② 융해 잠열 : 80cal/g

  ex) 639cal/g = 1g의 물을 100도씨(100) 수증기로 만드는(539) 데 필요한 열량

  ex) 719cal/g = 1g의 얼음을 100도씨의 수증기로 만드는 데 필요한 열량

 

 • 현열(감열) : 상태변화는 없고 온도변화에 필요한 열

 점도 : 끈적거림의 정도

 • 증기압(= 대기압) : 어떤 물질이 일정한 온도에서 열평형상태

 증기 비중 : 공기분자량(29)에 대한 가스분자량의 비

  * 질소(N=14) 78%, 산소(O=16) 21%, 아르곤(Ar=40) 1%

 • 증기-공기밀도 : 어떤 온도에서 액체와 평형상태에 있는 증기와 공기의 혼합물의 증기 밀도

  증기-공기밀도 = (P2×d)/P1 + (P1-P2)/P1

   P1 = 대기압

   P2 = 주변의 증기압

   d = 증기밀도

 • 증기밀도 : 어떤 체적에서의 어떤 물질의 질량

  증기밀도 = 질량(=분자량)/22.4

 

전기방폭구조

 • 내압방폭구조 압력에 견딘다

 • 내압방폭구조 압력을 채운다

 • 유입방폭구조

 • 안전증방폭구조

 • 본질안전방폭구조

 • 압력방폭구조

 • 특수방폭구조

 

위험물

 (1) 1류 위험물 - 화성 고체

  • ○○○염류, 무기과산화물류 등

  • 소화방법 : 물에 의한 냉각 소화

 ※ 무기과산화물은 주수소화X, 모래 등으로 질식소화 실시

 

 (2) 2류 위험물 - 연성 고체 + 인화성 고체

  • 환원성 물질

  • 황화린, 적린, 유황, 철분, 금속분, 마그네슘, 인화성 고체

  • 연소속도가 빠르다

  • 산화제와 반응해 폭발할 수 있다 1류 위험물, 6류 위험물과 만나면 안된다

  • 금속분은 물과 접촉을 피할 것 모래 등으로 질식소화 실시

 

 (3) 3류 위험물 - 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

  • 황린, 나트륨, 알킬알루미늄, 알킬리튬, 알칼리 금속류, 유기 금속 화합물, 금속의 수소화물, 금속의 인화물 등

  • 탄화칼슘 + 아세틸렌 가스 발생

  • 소분하여 보관

  • 질식소화

 

 (4) 4류 위험물 - 화성 액체

  • 유류 화재

  • 특수인화물과 제 1~4 석유류의 분류 기준은 인화점

  • 알코올류, , 식물유류

  • 액체가 증발하면 생기는 증기가 연소

 

 (5) 5류 위험물 - 기반응성 물질

  • 유기 과산화물, 질산에스테르류(니트로셀룰로오스 등), 니트로 화합물

 ※ 니트로셀룰로오스 질화도(질소함유율)가 클수록 위험

  • 고체 또는 액체

 

 (6) 6류 위험물 - 화성 액체

  • 과염소산, 과산화수소, 질산 등

  • 질식소화, 단 과산화수소는 희석소화 실시

 ※ 과산화수소의 특징

  ① 청색, 점성이 있고, 무취

  ② 산화제뿐 아니라 환원제로 사용

  ③ 가열에 의해 산소 발생

  ④ 비중이 1보다 크다

 ※ 질산

  ① 부식성

  ② 불연성 물질

  ③ 산화제이면서 산화성 물질과 접촉을 필할 것

 

위험물 제조소의 표시방법

 (1) 물기엄금 : 1류 위험물(알칼리 금속의 과산화물), 3류 위험물(금수성 물질)

  ※ 청색 바탕, 백색 문자

 (2) 화기주의 : 2류 위험물(인화성 고체 제외)

 (3) 화기엄금 : 2류 위험물(인화성 고체), 3류 위험물(자연발화성 물질), 4류 위험물, 5류 위험물

  ※ 주의와 엄금 적색 바탕, 백색 문자

 

위험 물질에 따른 저장 장소

 ① 황린(3), 이황화탄소(특수인화물) : 물속에 저장하며 황린의 경우 9를 맞춰준다

 ② 금수성 물질(칼륨, 나트륨, 리튬 마그네슘 : 석유류에 저장

  ※ 2K + 2H2O KOH + H2

 ③ 니트로셀룰로오스(5) : 알코올 속에 저장

반응형

'소방설비기사 > (공통)소방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 유류화재  (0) 2019.04.17
2.1 화재  (0) 2019.04.17
1.4 기체의 부피의 관한 법칙  (0) 2019.04.17
1.2 가연물, 산소공급원, 점화원  (0) 2019.04.17
1.1 연소  (0) 2019.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