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사)상점, 백화점 ◆ 상점 1. 상점의 정면 구성의 광고요소(AIDMA) ⦁ A(Attention, 주의) : 주목시킬 수 있는 배려 ⦁ I(Interest, 흥미) : 공감을 주는 호소력, Identity와 혼동 주의 ⦁ D(Desire, 욕망) : 욕구를 일으키는 연상, design와 혼동 주의 ⦁ M(Memory, 기억) : 인상적인 변화 ⦁ A(Action, 행동) : 들어가기 쉬운 구성 2. 대면, 측면 판매 대면판매 : 작은 물건 판매, 가격이 비싼 물건, 진열 면적 감소 측면판매 : 큰 물건 판매, 가격이 싼 물건, 충동구매와 선택의 용이 3, 상점 진열장 계획 고객 동선은 가능한 한 길게, 종업원 동선은 되도록 짧게, 고객 동선과 교차되지 않도록 계획한다. 4. 상점 진열창 계획 (1) 가장 눈을 끄는 상품.. 2020. 1. 29.
(건축기사)사무소, 은행 ◆ 사무소 1. 유효율 유효율(렌터블 비) : 임대율에 대한 개념, 렌터블 비가 높다는 것은 임대수입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의미, 연면적에 대한 대실면적 비율 유효율 = (대실면적 / 연면적) × 100 ⦁ 연면적에 대하여 70~75%(공용면적 비율 25~30%) ⦁ 기준층에 대하여 80~85% 2. 사무소 실단위에 의한 공간의 분류 (1) 개실배치 : 방길이 변화 가능, 방깊이 변화 불가능, 독립성 양호, 공사비 고가 (2) 개방식 배치 : 방길이 및 깊이 변화 가능, 공간절약항 유리, 소름이 크고 독립성 저하 (3) 오피스 랜드스케이프 : 개방식 평면형의 한 형태 3. 사무소 복도형에 의한 공간의 분류 단일지역배치(편복도식) 독립성 양호, 고가의 임대 사무소에 적당 2중지역배치(중복도식) 중규모 사무.. 2020. 1. 28.
(건축기사)주택일반, 단독주택, 연립주택, 공동주택 ◆ 주택일반 및 단독주택 1. 지역별 한식주택 평면 유형 ⦁ 전(田)자형 평면 : 함경도 지방 ⦁ 일(一)자형 평면 : 남부 지방 ※ 전통의 한식주택에서 문꼴 부분의 면적이 큰 이유는 주택 전테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여름철의 고온다습을 견디기 위함이다. 2. 한식주택과 양식주택의 비교 분류 한식 양식 습관 좌식, 온돌생활 입식, 의자생활 평면 실의 조합 실의 분화 구조의 차이 목조 가구식 벽돌 조적식 용도 실의 다용도 실의 단일용도 가구의 해석 부차적 존재 중요한 내용믈 3. 코어 코어 건물의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 집약된 평면구성 ⦁ 평면적 코어 : 홀이나 계단을 건물의 중심적위치에 집약, 사무소 건축 ⦁ 구조적 코어 : 코어가 구조적인 기능을 담당 ⦁ 설비적 코어 : 설비 부분의 집약으로 설비.. 2020. 1. 27.
(건축기사)건축사 ◆ 한국 건축사 ● 공포(두공) : 깊은 처마의 무게를 받들게 하기 위해 고안된 구조적인 조립재 (1) 주심포 : 주로 평방부재가 없으며 단장혀를 사용한 특징을 보인다. 우미량 – 처마도리와 지붕보의 사이에 건너지르는 소의 꼬리 모양으로 휘어진 보 ex) 강릉 객사문, 수덕사 대웅전, 무위사 극락전 (2) 다포 : 창방 위에 평방이 있음 ex) 서울 남대문, 동대문, 주요 건축물(대웅전, 정전, 편전, 성문) (3) 익공 ex) 강릉 오죽헌 ● 한국 전통 불교 건축물의 중요 포인트 봉정사 극락전 : 신라 의상대사, 현존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 심원사 보광전 : 다포식으로 가장 오래된 건축물 수덕사 대웅전 : 주심포계 11량 겹처마 맞배지붕 쌍봉사 대웅전 : 평면이 정사각형인 3층 전각 화암사 극락전 :.. 2020. 1.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