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사/건축계획

(건축기사)건축사

by Aldrin 2020. 1. 26.
반응형

한국 건축사

 

● 공포(두공) : 깊은 처마의 무게를 받들게 하기 위해 고안된 구조적인 조립재

(1) 주심포 : 주로 평방부재가 없으며 단장혀를 사용한 특징을 보인다.

우미량 처마도리와 지붕보의 사이에 건너지르는 소의 꼬리 모양으로 휘어진 보

ex) 강릉 객사문, 수덕사 대웅전, 무위사 극락전

 

(2) 다포 : 창방 위에 평방이 있음

ex) 서울 남대문, 동대문, 주요 건축물(대웅전, 정전, 편전, 성문)

 

(3) 익공

ex) 강릉 오죽헌

 

 

한국 전통 불교 건축물의 중요 포인트

봉정사 극락전 : 신라 의상대사, 현존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

심원사 보광전 : 다포식으로 가장 오래된 건축물

수덕사 대웅전 : 주심포11량 겹처마 맞배지붕

쌍봉사 대웅전 : 평면이 정사각형인 3층 전각

화암사 극락전 : 국내 유일의 하앙식 공포 형식

부석사 : 누하진입

통도사 : 자연지형에 자연스럽게(직교배치X) 가람을 배치, 신라 선덕여왕

 

 

성균관

제향 공간 : 대성전, 동무, 서무

강학 공간 : 명륜당, 존경각 및 양현고

기숙사 : 동제, 서제

전묘후학 : 평지 배치방법으로 제향 공간이 앞, 강학 공간이 뒤쪽에 배치

전학후묘 : 경사지 배치방법으로 강학 공간이 앞, 제향 공간이 뒤쪽에 배치

 

 

한국 근현대건축

 ⦁ 로마네스크식 : 덕수궁 정관헌, 서울 성공회성당

 ⦁ 르네상스식 : 서울역, 한국은행 본점

 

 

근대 주요 건축가

 ⦁ 박동진 : 조선일보사, 영락교회

 ⦁ 배기형 : 조흥은행, 유네스코 회관

 ⦁ 김수근 : 자유센터, 잠실올리픽 주경기장

 

 

 

서양 건축사

이집트그리스로마초기기독고비잔틴로마네스크고딕르네상스바로크로코코

 

 이집트

고대 이집트의 분묘 건축 : 마스타바, 피라미드, 암굴분묘

 

 그리스

 ⦁ 아고라 포럼(로마)

 ⦁ 그리스 건축의 3오더

 (1) 도리아 : 단순, 남성적이며 주초가 없음

 (2) 이오니아 : 우아한 여성적 주범

 (3) 코린트 : 주두에 아칸터스 나뭇잎을 화려하게 장식

 

 로마

 ⦁ 판테온 신전 - 돔 건축물(비잔틴과 혼동 주의)

 ⦁ 로마 3가지 주택 유형 : 도무스(귀족), 인슐라(서민), 빌라(별장)

 

 초기 기독교 건축

 ⦁ 카타콤 : 초기 기독교 시절 종교적 박해를 피하기 위해 지하공동묘소를 지하 예배장으로 바꾼 유적이다.

 ⦁ 바실리카식 교회 평면도

  신랑(Nave)

  측랑(Aisle)

  제단(Alter)

  앱스(Apse)

  전실(Narthex)

  후진(Bema)

 

 비잔틴 건축

 ⦁ 사라센 문화의 영향, 동양적 요소를 가미

 ⦁ 펜덴티브 돔을 창안

 ⦁ 미나렛(등대)

 ⦁ 주요 건축물 : 성 소피아 성당, 성 비탈레 성당

 

 로마네스크

피사의 사탑

 

 고딕

아미앵 성당, 노르트담 성당, 명동 성당(우리나라), 랭스 성당

 

 르네상스

 ⦁ 인간 중심, 수평을 강조, 정사각형,

 ⦁ 주요 인물 : 브루넬레스키(주요 인물)

 ⦁ 주요 건축물 : 루첼라이 궁, 팔라디오

 

 바로크 : 변칙, 이상한 모양

 

 

 르 꼬르뷔제

근대건축 5원칙

 ⦁ 필로티

 ⦁ 수평띠장 : 골조와 벽의 기능적 독립

 ⦁ 자유로운 평면

 ⦁ 자유로운 파사드

 ⦁ 옥상덩원

 

 주요 건축가와 대표 작품

 ⦁ 아돌프 로스 : “장식은 죄악이다.” 뮐러 하우스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

 ⦁ 루이스 칸 : 킴벨 미술관

 ⦁ 고든 번샤프트 : 레버 하우스

 ⦁ 요른 웃존 :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 장 누벨 : 파리 아랍 문화원

 ⦁ 리차드 로저스 : 퐁피두 센터(융통성을 극대화시킨 건축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