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계기 : 감지기 또는 P형 발신기 작동에 의한 신호, 또는 가스누설경보기의 탐지부에서 발하여진 가스누설신호를 받아 이를 수신기, 가스누설경보기, 자동소화설비의 제어반에 발신하며 소화설비, 제연설비, 그 밖에 이와 유사한 방재설비에 제어신호를 발하는 것
◇ 중계기의 구조 및 기능
• 정격전압이 60V 이상일 경우 중계기 외함에는 접지단자를 설치한다
• 예비전원회로에서는 단락사고 등으로부터 보호 위한 퓨즈를 설치한다
• 화재신호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조작부는 설치하지 아니할 것
• 중계기가 발신기로부터의 신호를 받는 수신개시로부터 수신기로 신호를 보내는 발신개시까지의 시간은 5초 이내일 것
◇ 중계기의 예비전원(축전지)
축전지의 충전시험 및 방전시험은 방전종지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시작한다.
※ 방전종지전압 - 축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단자전압이 0이 될 때까지 방전시키지 않고 (축전지의 수명을 위해)어느 한도의 전압까지 강하시켜 방전을 멈추게 하는 데 그 때의 전압
• 원통형 니켈카드뮴 축전지 - 1cell 당 1.0V
• 무보수 밀폐형 연축전지 - 단진전지 당 1.75V
◇ 중계기의 설치기준
• 수신기에서 직접 감지기 회로의 도통 시험을 행하지 아니하는 것에 있어서는 수신기와 감지기 사이에 중계기를 설치할 것
• 조작 및 점검이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 수신기에 따라 감시되지 아니하는 배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것에 있어서는 전원입력측의 배선에 과전류차단기를 설치를 하고 해당 전원의 정전이 즉시 수신기에 표시되는 것으로 하며 상용전원 및 예비전원의 시험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 중계기의 시험항목
• 주위온도시험
• 반복시험
• 방수시험
• 절연저항시험
• 절연내력시험
• 충격전압시험
• 충격시험
• 진동시험
• 습도시험
• 전자파내성시험
'소방설비기사 > (전기)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경계구역 (0) | 2019.06.18 |
---|---|
6. 경보시설 자동화재탐지설비 음향장치 및 시각경보장치 (0) | 2019.06.17 |
4. 경보시설 자동화재탐지설비 발신기 (0) | 2019.06.15 |
3. 경보시설 자동화재탐지설비 수신기 (0) | 2019.06.14 |
2. 경보시설 자동화재탐지설비 감지기2 (0) | 2019.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