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기기]5. 동기임피던스와 %Z ⦁ 퍼센트 임피던스 ⦁ 단락비 "단락비가 크다"는 의미 1. 퍼센트 임피던스가 작다. → 2. 동기 임피던스가 작다. → 3. 전기자반작용 리액턴스가 작다. 동기 임피던스가 작으니 4. 전압강하도 작다. → 5. 전압변동률도 작다. 전압변동률이 작으니 6. 계통의 안정도가 좋다. 전기자반작용이 작으려면 7. 주자속이 커야하고, 따라서 8. 계자철심이 커야한다. 또한 전기자 반작용을 줄이려면 계자와 전기자간의 간격9.(공극)이 커야한다. 주자속이 크고(계자철심이 크고), 공극이 크다는 말은 10. 기기가 커지며, 11. 설비비가 고가이다. 또한 계자철심이 크기 때문에 12. 철손이 크고, 13. 효율이 낮다. 2020. 8. 16. [직류기]11. 전동기의 운전 ⦁ 기동 기동전류는 작아야 한다. 기동토크는 커야 한다. ⦁ 속도제어 전압, 전기자 저항, 자속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속도를 제어한다. 회전속도 N과 토크 T, 출력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다. 1. 전압제어 - 전압을 조절해서 회전속도를 조절하더라도 토크는 변함이 없다.(★정토크 제어) - 제어범위가 넓다. - 효율이 좋다. - 비용이 많이 든다. - 종류 : 워드-레오나드 방식, 일그너 방식, 쵸퍼 방식, 정지형 워드-레오나드방식 2. 계자제어 - 계자를 조절해서 회전속도를 조절하더라도 출력은 변함이 없다.(★정출력 제어) - 계자저항 값을 증가(감소)시키면 속도가 증가(감소) - 속도제어 범위가 좁다 3. 저항제어 - 전력손실(저항손실)이 많으므로 효율이 나쁘다. 따라서 활용을 하지 않음. ⦁ 제동 1.. 2020. 8. 1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