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도전동기]11. 단상 유도 전동기 ※ 3상 유도전동기는 회전자계 이용, 단상 유도전동기는 교번(교대로 바뀌는)자계 이용 (1) 특징 ① 기동기가 필요하다. ② 역률이나 효율이 나쁘다. ③ 중량이 무겁고 가격이 비싸다. ④ 보통 가정용 소형 전동기로 사용한다. (2) 기동방식에 따른 분류 ※ 기동전류는 작고, 기동토크는 커야한다. 기동토크가 큰 순서 : 반발 기동형, 반발 유도형, 콘덴서 기동, 분상 코일형, 셰이딩 코일형 ㉠ 반발 기동형 ① 반발 기동이 크다. ② 기동을 브러시의 단락, 단락전류의 큰 토크를 이용한다. ③ 기동토크가 크다. ④ 역회전 : 브러시의 이동 ㉡ 반발 유도형 ① 2중 코일을 이용 ⦁ 기동 : 전기자 코일 ⦁ 운전 : 농형? ② 효율이 나쁘지만 역률이 좋다. ㉢ 콘덴서 기동형 ① 콘덴서 사용으로 역률을 높인다.(전.. 2020. 9. 11.
[유도전동기]10. 유도전동기의 이상 현상 ㉠ 크로우링 현상 : 소형 유동전동기에서 고정자 슬롯과 회전자 슬롯의 수가 맞지 않는 경우 ⦁ 대책 : 사구 슬롯을 사용, 소음을 줄이는 장점도 존재 ① 2nm+1 : (m(상)=3) 7, 13 회전자계방향이 기본파의 방향과 같다. 전동기 토크를 증가시킨다. ② 2nm+1 : 5, 11 회전자계방향이 기본파의 방향과 반대방향. 전동기 토크를 감소시킨다. ③ 3n : 3, 6, 9 회전자계를 발생하지 않는다. ㉡ 게르게스 현상 : 3상 유도전동기의 1선이 고조파에 의해 단선 시 단상 전원 공급하며 정격 속도의 50[%]에서 회전하는 현상 2020. 9. 10.
[유도전동기]9. 유도전동기의 속도 제어, 제동법 (1) 속도 제어 ㉠ 농형 ① 전압 제어(s 제어) ② 주파수 제어 : 선박용 전동기나 실공장에서 사용 ③ 극수 제어 ⦁ 효율이 좋고 단계적으로 속도 제어가 된다. ㉡ 권선형 ① 비례추이(2차 저항법) 효율이 나쁘고 제어범위가 좁다. 속도제어가 용이하다. ② 2차 여자법 Ec의 전압을 만들어주는 방법 정류자전동기, 정류자형주파수변환기, 동기변류기 ③ 종속법 ⦁ 직렬 종속법 ⦁ 직렬 차동 종속법 ⦁ 병렬 종속법 (2) 역회전 조건 : 3상의 임의의 두 선을 바꾼다. (3) 제동법 ㉠ 발전제동 : 전원을 끊고 관성에 의해서 전동기가 회전하며 발전기로 전환, 발전기에서 발전된 전력을 열로서 소모 ㉡ 회생제동 : 발전제동과 같은 방법으로 발전된 전력을 전원으로 충전 ㉢ 역상제동 : 회전방향과 역토크를 주어서 급.. 2020. 9. 9.
[유도전동기]8. 유도전동기의 기동 (1) 농형 ① 전전압 기동(직입 기동) : 5[kW] 소형에서 사용 ⦁ 기동전류가 크다.(정격전류의 4~6배) ② Y-Δ 기동 : 5~15[kW] ⦁ Y결선으로 기동, Δ결선으로 운전 ⦁ 기동 시 상전압이 선전압의 1/√3배 ⦁ 전압이 1/√3배 토크는 1/3배(T∝V²) ③ 리액터 기동 ⦁ 전압강하가 일어나 기동전류가 감소한다. 기동이 완료되면 리액터를 단락시킴 ④ 기동 보상기법 : 15[kW] 이상 ⑤ 콘돌퍼 기동 ⦁ 리액터 + 기동 보상기법 (2) 권선형 ① 비례추이 ⦁ 2차 저항을 증가시켜서 슬립을 증가시키고, 기동토크를 증가, 기동전류를 감소 2020. 9.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