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4 단답형 기출문제 ★ 축전기 관련 ☆ 연축전지 설비의 초기 고장으로 단전지 전압의 비중 저하 및 전압계의 역전 현상이 발생했다면 어떤 원인 때문인가? ☞ 역접속 ☆ 축전기의 고장의 추정 원인으로 충전장치의 고장이나 과충전, 액면 저하로 인한 극판의 노출, 교류분 전류의 유입 과다로 인한 고장 현상은 무엇인가? ☞ 축전지의 현저한 온도 상승 및 소손 ☆ 축전지와 부하를 충전기에 병렬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충전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 부동 충전 방식 ☆ 축전지 용량을 구하는 식에서 L, K, I는 무엇을 의미하나? L : 보수율 K : 용량 환산 시간 계수 I : 방전 전류 ★ 전기설비의 방폭 대책에 따른 방폭구조는? ∙ 내압방폭구조 ∙ 유입방폭구조 ∙ 압력방폭구조 ∙ 안전증(가)방폭구조 ∙ 본질안전 방폭구조 ∙ 특수방폭구.. 2019. 3. 28.
2013 단답형 기출문제 ◆ 옥외용 변전소 내의 변압기 사고라고 생각할 수 있는 사고의 종류 • 권선의 상간 단락 및 층간 단락 • 권선의 철심간의 절연파괴에 의한 지락사고 • 고, 저압 권선의 혼촉 • 권선의 단선 • 지속적 과부하 등에 의한 과열사고 ◆ 자기여자 현상 : 전동기의 단자전압이 일시적으로 과상승하는 현상전동기에 콘덴서를 연결하는 경우 차단기를 차단해도 전동기와 콘덴서는 계속 접속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전동기는 관성에 의해 회전이 지속되므로 잔류자기에 의해 전압을 유기하게 되는 데단시간이지만 콘덴서에 전류가 흘러 부하에 대해 유도발전기로 작용하게 된다 ◆ 단락 지락 전류가 증가하게 되면 송변전 기기의 손상이 증대된다. 단락용량 경감대책 • 현재 채용하고 있는 것보다 한 단계 더 높은 상위 전압계통을 구성 • 발전기와.. 2019. 3. 26.
2012 단답형 기출문제 ◆ 계전기 • 과전압 계전기(OV, 59) : 정정값 이상의 전압이 걸렸을 때 동작하여 경보를 울리거나 차단기 동작 • 부족전압 계전기(UV, 27) : 상시 전원 정전시, 부족전압 시 동작하여 경보를 울리거나 차단기 동작 • 과전류 계전기(OC, 51) : 정정 값 이상의 전류가 걸렸을 때 동작하여 경보를 울리거나 차단기 동작 ◆ 역률, 콘덴서 • 콘덴서의 용량은 (무효분)보다 크게하지 말 것 • 콘덴서의 본선에 직접 접속하고 특히 전용의 (퓨즈), (개폐기), (유입 차단기)등을 설치하지 말 것 • 고압 및 특별 고압 진상용 콘덴서의 설치로 공급회로의 고조파 전류가 현저하게 증대할 경우는 콘덴서 회로에 유효한 (직렬 리액터)를 설치하여야 한다 • 가연성 유봉입의 고압 진상용 콘덴서를 설치하는 경우는 .. 2019. 3. 24.
2011 단답형 기출문제 ♠ 부하율 : 어떤 기간 중의 평균 수용전력과 최대 수용전력과의 비를 나타낸다. ♤ 부하율 = (평균전력/최대전력) × 100 ♤ 부하율이 작다는 의미 ∙공급설비가 유용하게 사용되지 못한다 ∙평균수요전력과 최대 수요전력과의 차가 커지므로 부하설비의 가동률이 저하된다 ♠ 축전지 설비의 구성요소(보충축제) ☞ 보안장치, 충전장치, 축전지 제어장치 ♠ 사용 중인 변류기 2차 측을 개로하면 변류기에는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 지 원인과 결과? ☞ 변류기 1차 측 부하전류가 모두 여자전류가 되어 변류기 2차 측에 고전압을 유기하여 변류기의 절연을 파괴할 수 있다 ♠ 수전 전압 22.9[KV-Y]에 진공 차단기와 몰드 변압기를 사용하는 경우 개폐 시 이상 전압으로부터 변압기 등의 기기보호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LA.. 2019. 3.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