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기사/단답형 서술형 문제

2014 단답형 기출문제

by Aldrin 2019. 3. 28.
반응형

축전기 관련

 

 ☆ 연축전지 설비의 초기 고장으로 단전지 전압의 비중 저하 및 전압계의 역전 현상이 발생했다면 어떤 원인 때문인가?

  ☞ 역접속

 

 ☆ 축전기의 고장의 추정 원인으로 충전장치의 고장이나 과충전, 액면 저하로 인한 극판의 노출,

     교류분 전류의 유입 과다로 인한 고장 현상은 무엇인가?

  ☞ 축전지의 현저한 온도 상승 및 소손

 

 ☆ 축전지와 부하를 충전기에 병렬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충전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 부동 충전 방식

 

 ☆ 축전지 용량을 구하는 식에서 L, K, I는 무엇을 의미하나?

  L : 보수율

  K : 용량 환산 시간 계수

  I : 방전 전류

 

 

전기설비의 방폭 대책에 따른 방폭구조는?

 ∙ 내압방폭구조

 ∙ 유입방폭구조

 압력방폭구조

 ∙ 안전증(가)방폭구조

 ∙ 본질안전 방폭구조

 특수방폭구조

 

 

★ 정지형 무효전력 보호 장치(SVC)?

  ☞ GTO, SCR 등의 사이리스터를 사용, 진상 또는 지상 무효전력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

 

 

★ 송전선로에서 사용되는 도체 방식에서 복도체, 다도체 방식을 단도체와 비교해 장, 단점은?

 ☆ 장점

  ∙ 임계전압 상승으로 인한 코로나 발생 억제

  ∙ 유도성 리액턴스 감소로 인한 송전용량의 증가

  ∙ 유도성 리액턴스 감소로 인한 안정도 증가

  ∙ 유도성 리액턴스 감소로 인한 특성 임피던스 감소

 

 ☆ 단점

  ∙ 하중의 증가로 전선의 진동현상 증가

  ∙ 소도체간 꼬임 및 충돌 발생

  ∙ 건설비 증가

  ∙ 소도체 간의 정전 흡인력 증가로 인한 간격 감소 또는 소도체 간 단락 현상 발생

 

 

고조파 억제 대책

 ∙ 전력변환 장치의 펄스 수를 크게 한다

 ∙ 고조파 필터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 변압기 결선에서 Δ결선을 채용하여 고조파 순환 회로를 구성하여 외부에 고조파가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 선로의 코로나 방지를 위해 복고체, 다도체를 사용한다

 ∙ 전력용 콘덴서에는 직렬 리액터를 설치한다

 

 

플리커 현상

 ☆ 전원 측

  ∙ 전용 계통으로 공급한다.

  ∙ 공급 전압을 승압한다.

  ∙ 단락 용량이 큰 계통에서 공급한다

 ☆ 수용가 측

  ∙ 직렬 리액터 설치

  ∙ 부스터 설치

  ∙ 직렬 콘덴서 설치

 

 

전력용 콘덴서의 설치 목적

 ∙ 전력손실 감소

 ∙ 전압강하() 감소

 ∙ 수용가의 전기요금 감소

 ∙ 변압기 설비 여유율 증가

 ∙ 부하의 역률개선

 ∙ 공급설비의 여유 증가, 안정도 증진

 

 

고압 및 특별고압 전로의 절연내력 시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고압 및 특고압의 전로에 대해 정한 시험 전압을 전로와 대지 사이에 연속하여 10분간 가하며

그 절연내력 시험을 견뎌야 한다

 

 

기존 형광 램프는 관형이 32mm, 28mm, 25.5mm가 있는데 T-5 램프는 15.5mm로 작아진 최신형 세관형 램프다.

   이 T-5 램프의 특징은?

 ∙ 연색성, 광속 유지율이 우수하다

 ∙ 전자식 안정기의 낮은 전력 소모로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다

 ∙ 긴 수명을 갖는다

 ∙ 열발생이 적고 효율이 좋다

 ∙ 16mm 관형으로 소형화 가능

 

 

★ ZCT(영상 변류기)에서

 ∙ 정상상태 : 정상상태의 각 상 전류의 합을 지시하므로 지락 전류 I0 = 1/3(Ia+Ib+Ic) = 0

즉 지락 전류가 없으므로 검출되는 영상 전류는 없다

 ∙ 지락발생시 : 지락 또는 불평형 상태의 각 상전류의 합, 즉 영상 전류가 검출되어 지락 계전기를 작동시킨다

 

 

발전기실 위치 선정 시 고려사항

 ∙ 부하의 중심이 되며 전기실에 가까울 것

 ∙ 실내 환기가 충분히 가능할 것

 ∙ 고온, 다습하지 않을 것

 ∙ , 배수가 용이할 것

 ∙ 기기의 반입 및 반출 등 운전 보수가 편리할 것

 

 

경부하시 콘덴서의 과 삽입

 ∙ 단자전압 상승

 ∙ 계전기의 오동작

 ∙ 역률 저하 및 전력손실 증가

   

 

★ 피뢰기 구비조건, 설치개소

 ☆ 구비조건

  ∙ 속류 차단 능력이 있을 것

  ∙ 충격 방전 개시 전압이 낮을 것

  ∙ 상용주파 방전 개시 전압이 높을 것

  ∙ 제한 전압이 낮을 것

  ∙ 방전 내량이 클 것

  ∙ 내구성, 경제성이 있을 것

 

 ☆ 설치 개소

  ∙ 발전소, 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장소의 가공전선 인입구 및 인출구

  ∙ 가공전선로에 접속되는 배전용 변압기의 고압 및 특별고압 측

  ∙ 고압 및 특별고압 가공 전선로부터 공급받는 수용장소의 인입구

  ∙ 가공전선로와 지중 전선로가 접속되는 곳

 

 

 

반응형

'전기기사 > 단답형 서술형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 단답형 기출문제  (0) 2019.04.03
2015 단답형 기출문제  (0) 2019.03.31
2013 단답형 기출문제  (0) 2019.03.26
2012 단답형 기출문제  (0) 2019.03.24
2011 단답형 기출문제  (0) 2019.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