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기사/단답형 서술형 문제

2016 단답형 기출문제

by Aldrin 2019. 4. 3.
반응형

 변압기의 호흡작용 :변압기의 외부 온도와 내부 온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변압기 내부에 있는 절연유가 수축 및 팽창을 하게 되고 외부 공기가 내부로 출입하는 현상

 

◈ 영향 : 절연유의 절연내력 감소,, 침전물 발생

◈ 대책 : 콘서베이터 설치

 

 

 감리원은 시운전에 입회하며, 완료 후 공사업자에게 성과품을 보고 받고 검토하여 이를 발주자에 인계

인계하여야 할 항목은?

 • 운전 개시, 가동절차 및 방법

 • 점검 항목 점검표

 • 운전지침

 • 실가동 다이어그램

 • 시험 성적서

 • 성능시험성적서

 

 

 피뢰기

 ◈ 피뢰기의 제한 전압 : 피뢰기 동작 중의 양단 전압의 파고치

 ◈ 피뢰기의 정격 전압 : 속류를 차단할 수 있는 상용주파 교류 최소 전압의 실효값

 ◈ 구성 요소 : 직렬 갭, 특성요소

 ◈ 설치 장소

   • 발전소 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장소의 가공전선 인입구 및 인출구

   • 가공전선로에 접속되는 특별고압 옥외 배전용 변압기의 고압 및 특별고압 측

   • 고압 및 특별고압 가공 전선로로부터 공급받는 수용장소의 인입구

   • 가공전선로와 지중 전선로가 접속되는 곳

 

 

 배전용 변전소에 접지공사

 ◈ 접지 목적

   • 1, 2차 혼촉에 의한 저압 측 감전사고 방지

   • 이상전압 상승으로 인한 기기의 소손 방지

   • 보호계전기의 확실한 동작 보호

 ◈ 접지 개소

   • 변압기 2차 측 임의의 한 단자 또는 중성점 접지

   • 피뢰기 및 피뢰침의 접지

   • 차단기 외함 접지

   • 변압기 외함 접지

   • 계기용 변성기 등의 외함 접지

 

 

 단권변압기

 ◈ 장점

   • 자기 회로가 단축되므로 사용재료가 적게 든다

   • 동손이 감소하여 효율이 좋다

   • 전압 변동률이 작다

   • % 임피던스 강하가 작다

 ◈ 단점

   • 누설 리액턴스가 작아 단락전류가 크다

   • 1차 측 이상전 압 발생 시 2차 측에도 고전압이 걸려 위험하다

   • 1, 2차가 직접 접지 계통이어야 한다

 ◈ 용도

   • 송전선로용 변압기

   • 배전선로의 승압 및 강압용 변압기

   • 전동기의 기동 보상기용 변압기

 

 

◆ 변압기 모선 또는 이를 지지하는 애자는 어느 전류에 의해 생기는 기계적 충격에 견디는 강도를 가져야 하는가?

  ☞ 단락전류

 

 

 LBS 부하개폐기

   • 기능 : 무부하 및 부하 전류가 흐르고 있는 회로의 개폐

   • 역할 : 개폐 빈도가 낮은 송배전선 및 수변전 설비의 인입구 개폐

   • 유사 기기: 선로 개폐기(LS), 자동 고장 구분 개폐기(ASS)

 

 

 감리원은 매분기마다 공사업자로부터 안전관리 결과보고서를 제출받아 이를 검토하고 미비한 사항이 있을 때

시정조치해야 한다. 안전관리 결과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서류 5가지는?

  • 안전관리 조직표

  • 안전보건 관리체제

  • 재해발생현황

  • 산재요양신청서 사본

  • 안전교육 실적표

 

 

 변압기 손실

  • 무부하손 : 부하의 유무에 관계없이 발생하는 손실로 히스테리시스손과 와류손 등이 있다

  • 부하손 부하 전류에 의한 저항손을 말하며 동손과 표유부하손 등으로 구분한다

  • 최대 효율 조건 : 철손과 동손이 같을 때 효율이 최대가 된다

 

 

 전력용 퓨즈

역할 : 부하 전류를 안전하게 통전시키며 일정값 이상의 과전류를 차단하여 선로 및 기기를 보호한다

 

 

◆ 전력용 콘덴서 상시 점검(육안검사)

  • 단자의 이완 및 과열 유무

  • 용기의 발청 유무

  • 절연유 누설 유무

 

 

◆ 다음은 전력시설물 공리 감리업무 수행지침 중 감리원의 공사중지 명령과 관련된 사항이다

(재시공 지시)가 이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다음 관계의 공정이 진행됨으로써

(하자발생)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 때

안전시공상 (중대한 위험)이 예상되어 물적, 인적 의 중대한 피해가 예견될 때

동일 공정에 있어 (3회 이상 시정 시지)가 이행되지 않을 때

동일 공정에 있어 (2회 이상 경고)가 있었음에도 이행되지 않을 때

 

 

◆  단상 유도 전동기는 기동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기동 장치가 필요한 이유와 기동 방식에 따라 분류.

  • 이유 : 단상에서는 회전자계를 얻을 수 없음으로 기동장치를 이용해 기동 토크를 얻기 위함이다

  • 종류 : 반발 기동형, 분상 기동형, 셰이딩 코일형, 콘덴서 기동형

 

 

 몰드변압기의 장, 단점

 ◈ 장점

  • 소형, 경량

  • 난연성

  • 내진, 내습성

  • 전력 손실이 적다

  • 단시간 과부하 내량이 크다

  • 보수 점검이 용이

 

◈ 단점

  • 가격이 비사다

  • 소음

  • 옥외 설치 및 대용량 제작 불가

반응형

'전기기사 > 단답형 서술형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단답형 기출문제  (0) 2019.04.08
2015 단답형 기출문제  (0) 2019.03.31
2014 단답형 기출문제  (0) 2019.03.28
2013 단답형 기출문제  (0) 2019.03.26
2012 단답형 기출문제  (0) 2019.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