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사)주택일반, 단독주택, 연립주택, 공동주택 ◆ 주택일반 및 단독주택 1. 지역별 한식주택 평면 유형 ⦁ 전(田)자형 평면 : 함경도 지방 ⦁ 일(一)자형 평면 : 남부 지방 ※ 전통의 한식주택에서 문꼴 부분의 면적이 큰 이유는 주택 전테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여름철의 고온다습을 견디기 위함이다. 2. 한식주택과 양식주택의 비교 분류 한식 양식 습관 좌식, 온돌생활 입식, 의자생활 평면 실의 조합 실의 분화 구조의 차이 목조 가구식 벽돌 조적식 용도 실의 다용도 실의 단일용도 가구의 해석 부차적 존재 중요한 내용믈 3. 코어 코어 건물의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 집약된 평면구성 ⦁ 평면적 코어 : 홀이나 계단을 건물의 중심적위치에 집약, 사무소 건축 ⦁ 구조적 코어 : 코어가 구조적인 기능을 담당 ⦁ 설비적 코어 : 설비 부분의 집약으로 설비.. 2020. 1. 27. (건축기사)건축사 ◆ 한국 건축사 ● 공포(두공) : 깊은 처마의 무게를 받들게 하기 위해 고안된 구조적인 조립재 (1) 주심포 : 주로 평방부재가 없으며 단장혀를 사용한 특징을 보인다. 우미량 – 처마도리와 지붕보의 사이에 건너지르는 소의 꼬리 모양으로 휘어진 보 ex) 강릉 객사문, 수덕사 대웅전, 무위사 극락전 (2) 다포 : 창방 위에 평방이 있음 ex) 서울 남대문, 동대문, 주요 건축물(대웅전, 정전, 편전, 성문) (3) 익공 ex) 강릉 오죽헌 ● 한국 전통 불교 건축물의 중요 포인트 봉정사 극락전 : 신라 의상대사, 현존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 심원사 보광전 : 다포식으로 가장 오래된 건축물 수덕사 대웅전 : 주심포계 11량 겹처마 맞배지붕 쌍봉사 대웅전 : 평면이 정사각형인 3층 전각 화암사 극락전 :.. 2020. 1. 26.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