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기사/전기기기

[유도전동기]11. 단상 유도 전동기

by Aldrin 2020. 9. 11.
반응형

3상 유도전동기는 회전자계 이용, 단상 유도전동기는 교번(교대로 바뀌는)자계 이용

(1) 특징

기동기가 필요하다.

역률이나 효율이 나쁘다.

중량이 무겁고 가격이 비싸다.

보통 가정용 소형 전동기로 사용한다.

 

 

(2) 기동방식에 따른 분류

기동전류는 작고, 기동토크는 커야한다.

기동토크가 큰 순서 : 반발 기동형, 반발 유도형, 콘덴서 기동, 분상 코일형, 셰이딩 코일형

반발 기동형

반발 기동이 크다.

기동을 브러시의 단락, 단락전류의 큰 토크를 이용한다.

기동토크가 크다.

역회전 : 브러시의 이동

 

반발 유도형

2중 코일을 이용

기동 : 전기자 코일

운전 : 농형?

효율이 나쁘지만 역률이 좋다.

 

콘덴서 기동형

콘덴서 사용으로 역률을 높인다.(전동기는 L부하)

주권선+보조(기동)권선의 위상차를 이용한다.

분상 코일형의 한 종류

 

분상 코일형

기동토크가 작고 기동전류가 크다.

역회전 : 주권선, 보조권선 중 1선의 극성을 반대로 한다.

 

셰이딩 코일형

구조가 간단하다.

기동토크가 작다.

효율과 속도변동률이 작다.

역회전 불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