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동기의 전원 접속을 바꾸어 역 토크를 발생시켜 급정지시키는 방법은?
① 역전제동 ② 발전제동
③ 와전류식제동 ④ 회생제동
△ 3상 유도전동기 제동법
⦁ 역전제동
- 3상 중 2상을 바꾸어 제동
- 속도를 급격히 정지, 감속시킬 때
⦁ 발전제동
- 운동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
- 자체 저항이 소비되면서 제동
⦁ 회생제동
- 유도전압을 전원전압보다 높게 하여 제동하는 방식
◆ 지름 40[cm] 인 완전 확산성 구형 글로브의 중심에 모든 방향의 광도가 균일하게 110[cd] 되는 전구를 넣고 탁상 2[m]의 높이에서 점등하였다. 탁상 위의 조도는 약 몇 [lx] 인가? (단, 글로브 내면의 반사율은 40[%], 투과율은 50[%] 이다.)
① 23 ② 33
③ 49 ④ 53
△
⦁ 글로브의 효율 η = τ/(1-ρ) = 0.5/(1-0.4) = 0.833
(τ : 투과율, ρ : 반사율)
⦁ 직하 조도 E = (I/r²)×η = (110/2²)×0.833 = 22.9[lx]
(I : 광도, r : 광원의 길이)
◆ 반지름 a, 휘도 B인 완전 확산성 구면(구형) 광원의 중심에서 거리 h인 점의 조도는?
① πB ② πBa²h
③ πBa / h² ④ πBa² / h²
△ 조도 계산
(1) 반구형 천장, 평원판 관원에 의한 조도 계산 반구형에 음영처리
E = (πBr²)/(h²+r²) [lx]
(2) 구형 광원에 의한 조도
E = πBr²/h² [lx]
◆ IGBT 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GTO 사이리스터처럼 역방향 전압저지 특성을 갖는다.
② 오프상태에서 SCR 사이리스터처럼 양방향 전압저지 능력을 갖는다.
③ 게이트와 에미터간 입력 임피던스가 매우 높아 BJT 보다 구동하기 쉽다.
④ BJT처럼 온드롭(no-drop)이 전류에 관계없이 낮고 거의 일정하여 MOSFET 보다 큰 전류를 흘릴 수 있다.
△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 MOSFET를 게이트부에 넣은 접합형 트랜지스터
⦁ 게이트-이미터 간의 전압이 구동되어 입력 신호에 의해서 온/오프가 생기는 자기소호형
⦁ 대전력의 고속 스위칭이 가능한 반도체 소자
⦁ 게이트의 구동전력이 낮다.
◆ 수은전지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소형이고 수명이 길다.
② 방전전압의 변화가 적다.
③ 전해액은 염화암모늄(NH4Cl)용액을 사용한다.
④ 양극에 산화수은(HgO), 음극에 아연(Zn)을 사용한다.
△ 수은전지
⦁ 양극 : 산화수은(탄소와 수은의 산화물)
⦁ 음극 : 아연
⦁ 전해액 : 가성소다, 가성칼리
⦁ 소형이고 안정성 우수, 수명이 길다. 고온특성, 전압 안정성 우수
◆ 발열체의 구비조건 중 틀린 것은?
① 내열성이 클 것
② 내식성이 클 것
③ 가공이 용이할 것
④ 저항률이 비교적 작고 온도계수가 높을 것
△ 발열체의 구비조건
⦁ 내열성이 클 것
⦁ 내식성이 클 것
⦁ 압연성이 풍부하며 가공이 용이할 것
⦁ 적당한 고유저항을 가질 것
⦁ 저항온도계수가 (+)로서 그 값은 비교적 작을 것
⦁ 가격이 저렴할 것
◆ SC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제어기능을 갖는 쌍방향성의 3단자 소자이다.
② 정류기능을 갖는 단일방향성의 3단자 소자이다.
③ 증폭기능을 갖는 단일방향성의 3단자 소자이다.
④ 스위칭 기능을 갖는 쌍방향성의 3단자 소자이다.
△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 게이트 작용 : 통과 전류 제어 작용
⦁ 역저지 3극 사이리스터(정류기능)
⦁ 게이트 전류에 의해서 방전개시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 PNPN(4층) 구조로서 부성(-) 저항특성이 있다.
⦁ 소형이면서 대전력용
◆ 자기부상식 철도에서 자석에 의해 부상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영구자석간의 흡인력에 의한 자기부상방식
② 고온 초전도체와 영구자석의 조합에 의한 자기부상방식
③ 자석과 전기코일간의 유도전류를 이용하는 유도식 자기부상방식
④ 전자석의 흡인력을 제어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흡인식 자기부상방식
△ 자기부상식 철도에서 자석에 의해 부상하는 방법
⦁ 고온 초전도체와 영구자석의 조합에 의한 자기부상방식
⦁ 자석과 전기코일간의 유도전류를 이용하는 유도식 자기부상방식
⦁ 전자석의 흡인력을 제어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흡인식 자기부상방식
◆ 전자빔으로 용해하는 고융점, 활성금속 재료는?
① 탄화규소 ② 니크롬 제2종
③ 탄탈, 니오브 ④ 철-크롬 제1종
△
전자빔으로 용해하는 고융점, 활성금속 재료 : 탄탈, 니오브, 지르코늄
니크롬 제1, 2종, 철-크롬 제1, 2종, 탄화규소 등은 발열체.
◆ 적외선 가열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표면가열이 가능하다.
② 신속하고 효율이 좋다.
③ 조작이 복잡하여 온도조절이 어렵다.
④ 구조가 간단하다.
△ 적외선 가열
⦁ 공산품 표면 건조에 적당하고 효율이 좋다.
⦁ 구조와 조작이 간단하다.
⦁ 건조 재료의 감시가 용이하고 안전하다.
⦁ 유지비가 저렴하고 설치장소가 절약된다.
◆ 단로기의 구조와 관계가 없는 것은?
① 핀치 ② 베이스
③ 플레이트 ④ 리클로저
△ 단로기의 구조
⦁ 플레이트, 베이스, 핀치
※ 리클로져 :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자동재폐로 차단기
◆ 누전차단기의 동작시간에 따른 분류도 틀린 것은?
① 고속형 ② 저감도형
③ 시연형 ④ 반한시형
△ 동작시간에 따른 분류는 고속형, 시연형, 반한시형
◆ 옥외용 비닐전연전선의 약호 명칭은?
① DV ② CV
③ OW ④ OC
△
DV : 인입용 비닐 절연 전선
CV : 가교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OW : 옥외용 비닐 절연 전선
OC : 옥외용 가교폴리에틸렌 절연 전선
◆ 금속관에 넣어 시설하면 안되는 접지선은?
① 피뢰침형 접지선 ② 저압기기용 접지선
③ 고압기기용 접지선 ④ 특고압기기용 접지선
△ 제1종, 제3종 및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시설방법
제1종 접지공사, 제3종 접지공사 및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선은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① 접지선이 외상을 받을 우려가 있는 경우는 합성수지관(두께 2[mm] 미만의 합성수지제 전선관 및 난연성이 없는 CD관 등은 제외한다.)등에 넣을 것. 다만,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경우 또는 제3종 접지공사 혹은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선은 금속관(가스철관을 포함한다)을 사용하여 방호할 수 있다.
주. 피뢰침 피뢰기용의 접지선은 금속관에 넣지 말 것.
② 접지선은 (접지하여야 할 기계기구로부터 60[cm] 이내의 부분 및 지중 부분은 제외한다.) 합성수지관(두께 2[mm] 미만의 합성수지제 전선간 및 난연성이 없는 CD관 등은 제외한다.) 등에 넣어 외상을 방지할 것
◆ 옥내배선의 애자사용 공사에 많이 사용하는 특대 놉 애자의 높이(mm)는?
① 75 ② 65
③ 60 ④ 50
△ 애자의 종류 별 전선의 굵기와 애자의 높이
애자의 종류 |
사용되는 전선의 최대 굵기[㎟] |
애자의 높이[㎜] |
소 놉 |
14 |
42 |
중 놉 |
50 |
50 |
대 놉 |
95 |
57 |
특대 놉 |
240 |
65 |
◆ 피뢰침을 접지하기 위한 피뢰도선을 동선으로 할 경우의 단면적은 최소 몇 ㎟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
① 14 ② 22
③ 30 ④ 50
△ 피뢰침 설비의 수뢰부, 인하도선, 접지극은 동선 50[㎟] 이상으로 한다.
◆ 개폐기 중에서 부하 전류의 차단능력이 없는 것은?
① OCB ② OS
③ DS ④ ACB
△
⦁ 차단기 : 정상전류 통전 및 이상전류 시 차단하여 전로와 기기 보호
⦁ 개폐기 : 부하전류 개폐, 사고전류 차단 불가
⦁ 단로기 : 무부하 회로개페
◆ 가공전선로의 저압주에서 보안공사의 경우 목주 말구 굵기의 최소 지름(cm)은?
① 10 ② 12
③ 14 ④ 15
△ 목주의 굵기는 말구의 지름 12[cm] 이상일 것.
◆ 무거운 조명기구를 파이프로 매달 때 사용하는 것은?
① 노멀밴드 ② 파이프행거
③ 엔트런스 캡 ④ 픽스쳐 스터드와 하키
△ 픽스쳐 스터드와 하키 : 무거운 기구를 취부할 때 사용하는 것
◆ 전원을 넣자마자 곧바로 점등되는 형광등용의 안정기는?
① 점등관식 ② 래피드스타트식
③ 글로우스타트식 ④ 필라멘트 단락식
△ 형광등 점등 방식
⦁ 래피드 스타트 방식 : 전원을 넣자마자 곧바로 점등
⦁ 글로우 스타트 방식 :
⦁ 전자식 스타트 방식 :
'전기공사기사 >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공사기사)2019년 4회차 기출문제 (2) | 2020.03.15 |
---|---|
(전기공사기사)2019년 2회차 기출문제 (0) | 2020.03.14 |
(전기공사기사)2018년 4회차 기출문제 (0) | 2020.03.12 |
(전기공사기사)2018년 2회차 기출문제 (0) | 2020.03.11 |
(전기공사기사)2018년 1회차 기출문제 (0) | 2020.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