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류방식 중 정류 효율이 가장 높은 것은? (단, 저항부하를 사용한 경우이다.)
① 단상 반파방식 ② 단상 전파방식
③ 3상 반파방식 ④ 3상 전파방식
△ 정류효율 비교
정류 종류 |
단상 반파 |
단상 전파 |
3상 반파 |
3상 전파 |
맥동율[%] 정류효율 맥동주파수 |
121 40.5 f |
48 81.1 2f |
17.7 96.7 3f |
4.04 99.8 6f |
◆ 전기용접부의 비파괴검사와 관계없는 것은?
① X선 검사 ② 자기 검사
③ 고주파 검사 ④ 초음파 탐상시험
△ 용접물의 비파괴 시험 종류
⦁ 용접부의 외관 검사
⦁ 자기 검사
⦁ χ선 또는 γ선 투과시험
⦁ 초음파 탐상기에 의한 시험
◆ 합판 및 비닐막의 접착에 적당한 가열방식은?
① 유도가열 ② 적외선가열
③ 직접 저항가열 ④ 고주파 유전가열
△ 유전가열
고주파 자계에 의한 분자의 마찰열을 이용하는 것으로 목재의 건조, 목재의 접착, 비닐막의 접착 등에
사용된다.
◆ 전지의 자기방전이 일어나는 국부작용의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
① 순환전류를 발생시킨다.
② 고순도의 전극재료를 사용한다.
③ 전극에 수은도금(아말감)을 한다.
④ 전해액에 불순물 혼입을 억제시킨다.
△ 국부작용 : 아연 음극 또는 전해액 중 불순물이 섞이면 국부 전류에 의한 전극의 부분 용해로서 자체 방전이 생기고 수명이 단축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연 전극에 수은 도금을 하거나 순도가 높은 전극 재료를 사용한다.
◆ 다이오드 클램퍼(clamper)의 용도는?
① 전압증폭 ② 전류증폭
③ 전압제한 ④ 전압레벨 이동
△ 다이오드 클램퍼 : 입력전압에 직류 전압을 가감하여 파형의 변형없이 다른 레벨에 파형을 고정시키는 회로에 사용된다.(전압레벨 이동)
◆ 부식성의 산, 알칼리 또는 유해가스가 있는 장소에서 실용상 지장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전동기는?
① 방적형 ② 방진형
③ 방수형 ④ 방식형
△ 전동기의 형식
⦁ 방적형 : 낙하하는 물방울 또는 이물체가 직접 전동기 내부로 침입할 수 없는 구조
⦁ 방진형 : 먼지의 침입을 최대한 방지하고, 침입하여도 정상운전에 지장이 없도록 한 구조
⦁ 방수형 : 지정된 조건에서 1~3분 동안 주수 하여도 물이 침입 할 수 없는 구조
⦁ 방식형(방부형) : 부식성의 산, 알칼리 또는 유해가스가 존재하는 장소에서 실용상 지장 없이 사용
할 수 있는 구조
◆ 플라이휠을 이용하여 변동이 심한 부하에 사용되고 가역 운전에 알맞은 속도제어 방식은?
① 일그너 방식
② 워드 래너드 방식
③ 극수를 바꾸는 방식
④ 전원주파수를 바꾸는 방식
△ 일그너방식 : 워드레오나드 방식에 플라이휠을 장치하여 첨두부하의 반복이 교류 전원측에 미치는 악영향을 적게 한 것으로 대용량 부하에서 가변 속도의 경우에 사용한다.
⦁ 첨두 부하값이 감소
⦁ 최대 토크 감소
⦁ 전류의 동요가 감소
◆ 가로 12m, 세로 20m인 사무실에 평균조도 400lx를 얻고자 32W전광속 3000lm인 형광등을 사용하였을 때 필요한 등수는? (단, 조명률은 0.5, 감광보상률은 1.25이다.)
① 50 ② 60
③ 70 ④ 80
△ FUN = EAD
N(개) = {400×(12×20)×1.25}/(3000×0.5) = 80 등
◆ 전차의 경제적인 운전방법이 아닌 것은?
① 가속도를 크게 한다.
② 감속도를 크게 한다.
③ 표정속도를 작게 한다.
④ 가속도ㆍ감속도를 작게 한다.
△ 열차의 운전
(1) 평균 속도 : 주행 거리 / 주행 시간
(2) 표정 속도 : 주행 거리 / (주행 시간+정차 시간)
※ 표정 속도를 높이는 방법(경제적인 운전방법이 아닌 것)
⦁ 정차시간을 길게
⦁ 주행시간을 짧게
⦁ 가속도, 감속도를 작게
※ 열차의 경제 운전 방법 : 타성에 의해서 가는 것
◆ 공기전지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방전 시에 전압변동이 적다.
② 온도차에 의한 전압변동이 적다.
③ 내열, 내한, 내습성을 가지고 있다.
④ 사용 중의 자기방전이 크고 오랫동안 보존할 수 없다.
△ 공기 건전지의 특징
⦁ 방전 시 전압 변동이 적다.
⦁ 자기 방전이 적고 장시간 보존이 가능하다.
⦁ 온도 차에 따른 전압 변동이 적다.
⦁ 내한, 내열, 내습성을 가진다.
⦁ 용량이 커서 경제적이다.
◆ 캡타이어 케이블 상호 및 캡타이어 케이블과 박스, 기구와의 접속개소와 지지점간의 거리는 접속개소에서 최대 몇 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① 0.75 ② 0.55
③ 0.25 ④ 0.15
△ 캡타이어 케이블의 지지
캡타이어 케이블 상호 및 캡타이어 케이블과 박스, 기구와의 접속개소와 지지점간의 거리는 접속개소에서 0.15[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선이 굵은 경우는 적용하지 않는다.
◆ 접지극으로 탄소피복강봉을 사용하는 경우 최소 규격으로 옳은 것은?
① 지름 8mm 이상의 강심, 길이 0.9m 이상일 것
② 지름 10mm 이상의 강심, 길이 1.2m 이상일 것
③ 지름 12mm 이상의 강심, 길이 1.4m 이상일 것
④ 지름 14mm 이상의 강심, 길이 1.6m 이상일 것
△ 접지극의 종류
⦁ 동판 : 두께 0.7[mm] 이상, 면적 900[cm²] 이상
⦁ 동봉, 동피복강봉 : 지름 8[mm] 이상, 길이 0.9[m] 이상
⦁ 철봉 : 지름 12[mm] 이상, 길이 0.9[m] 이상의 아연 도금한 것
⦁ 동복강판 : 두께 1.6[mm] 이상, 길이 0.9[m] 이상, 면적 250[cm²] 이상
⦁ 탄소피복강봉 : 피복 8[mm] 이상의 강심, 길이 0.9[m] 이상
◆ 전선의 굵기가 95㎟ 이하인 경우 배전반과 분전반의 소형덕트의 폭은 최소 몇 cm 인가?
① 8 ② 10
③ 15 ④ 20
△ 배전반과 분전반의 소형 덕트 폭
전선의 굵기[㎟] |
배전반과 분전반의 소형 덕트 폭[㎝] |
35 이하 |
8 |
95 이하 |
10 |
240 이하 |
15 |
400 이하 |
20 |
630 이하 |
25 |
1000 이하 |
30 |
◆ 효율이 우수하고 특히 등홍색 단색광으로 연색성이 문제되지 않는 도로조명, 터널조명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등(lamp)은?
① 크세논등 ② 고압 수은등
③ 저압 나트륨등 ④ 메탈 할라이드등
◆ 도체의 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구리와 알루미늄의 물리적 성질을 비교한 것 중 옳은 것은?
① 구리가 알루미늄 보다 비중이 작다.
② 구리가 알루미늄 보다 저항률이 크다.
③ 구리가 알루미늄 보다 도전율이 작다.
④ 구리와 같은 저항을 갖기 위해서는 알루미늄 전선의 지름을 구리보다 굵게 한다.
△ 동일한 조건 하에서 구리가 알루미늄보다 저항이 작으므로, 알루미늄의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 전선의 지름을 구리보다 굵게 하여야 한다.
◆ 다음 조명기구의 배광에 의한 분류 중 병실이나 침실에 시설할 조명기구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직접 조명기구 ② 반간접 조명기구
③ 반직접 조명기구 ④ 전반확산 조명기구
△ 조명방식
(1) 직접조명
⦁ 빛을 직접 대상물에 비추는 조명방식
⦁ 정원 공장 등에 사용
(2) 반간접 조명
⦁ 직접조명과 간접조명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발산광속 중 상향 광속이 60~90%, 하향 광속이 10~40%이다.
⦁ 거실, 안방 등 일반 가정에서 많이 사용
(3) 반직접 조명
⦁ 빛의 60~90%가 아래로 향하여 직접 표면을 비추고 나머지 10~40%는 천정 면을 향하여 반사시키는 조명방식
⦁ 상점, 사무실, 학교 등에 사용
(4) 전반확산 조명
⦁ 하향광속으로 직접 작업면에 직사시키고 상향 광속의 반사광으로 작업면의 조도를 증가시키는
조명방식
⦁ 일반 사무실, 백화점, 교실 등에 사용
◆ KS C IEC 62305에 의한 수뢰도체, 피뢰침과 인하도선의 재료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① 구리 ② 순금
③ 알루미늄 ④ 용융아연도금강
△ 수뢰도체, 피뢰침과 인하도선의 재료로는 구리, 주석도금한 구리,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용융아연도금강, 스테인리스강이 사용된다.
◆ 보호계전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ASS ② RDR
③ DGR ④ OCGR
△ 계전기(Relay)
⦁ ASS : 자동 고장 구분 개폐기
⦁ RDR : 비율 차동 계전기
⦁ DGR : 지락 방향 계전기(방향 지락 계전기)
⦁ SGR : 선택 지락 계전기
⦁ OCGR : 과전류 지락 계전기
◆ 플로어덕트 배선에 사용하는 절연전선이 연선일 때 단면적은 최소 몇 ㎟ 를 초과하여야 하는가?
① 6 ② 10
③ 16 ④ 25
△ 플로어 덕트 공사
① 전선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제외)일 것
② 전선은 연선일 것. 다만, 단면적 10[㎟](알루미늄선을 단면적 16[㎟]) 이하인 것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③ 플로어 덕트 안에는 전선에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다만, 전선을 분기하는 경우에 접속점을 쉽게 점
검할 수 있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전기공사기사 >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공사기사)2018년 4회차 기출문제 (0) | 2020.03.12 |
---|---|
(전기공사기사)2018년 2회차 기출문제 (0) | 2020.03.11 |
(전기공사기사)2017년 4회차 기출문제 (0) | 2020.03.09 |
(전기공사기사)2017년 2회차 기출문제 (0) | 2020.03.08 |
(전기공사기사)2017년 1회차 기출문제 (0) | 2020.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