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공사기사/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전기공사기사)2017년 4회차 기출문제

by Aldrin 2020. 3. 9.
반응형

전기철도에서 전식 방지법이 아닌 것은?

   변전소 간격을 짧게 한다.

   대지에 대한 레일의 절연저항을 크게 한다.

   귀선의 극성을 정기적으로 바꿔주어야 한다.

   귀선 저항을 크게하기 위해 레일에 본드를 시설한다.

 

전식 방지법

변전소 가격을 좁힌다.

레일의 절연저항을 크게 한다.

귀선을 부극성으로 한다.

레일 본드 시설(귀선저항을 작게)한다.

 

 

 

자기방전량만을 항시 충전하는 부동충전방식의 일종인 충전방식은?

   세류충전 보통충전

   급속충전 균등충전

 

충전방식

세류충전 : 자기 방전량만 항상 충전하는 방식

 

 

 

경사각 θ, 미끄럼 마찰계수 μ의 경사면위에서 중량 M(kg)의 물체를 경사면과 평행하게 속도(m/s)로 끌어올리는 데 필요한 힘 는?

   F=9.8M(sinθ+μscosθ)

   F=9.8M(cosθ+μssinθ)

   F=9.8Mv(sinθ+μscosθ)

   F=9.8Mv(cosθ+μssinθ)

 

경사면 위의 물체를 끌어올리는 데 필요한 힘(g : 중력가속도) F = Mgsinθ + Mgμscosθ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전동기의 특성이 아닌 것은?

   소음이 적어야 한다.

   기동 토크가 적어야 한다.

   회전부분의 관성 모멘트는 적어야 한다.

   가속도의 변화비율이 일정값이 되도록 선택한다.

 

엘리베이터용 전동기의 특성

기동토크가 클 것

관성모멘트가 적을 것(회전자가 가늘고 길 것)

소음이 적을 것

시정수가 적고 응답속도가 빠를 것

 

 

 

반경 r, 휘도가 B 인 완전 확산성 구면 광원의 중심에서 h되는 거리의 점 P에서 이 광원 의 중심으로 향하는 조도의 크기는 얼마인가?

   ① πB ② πBr²

   ③ πBr²/h² ④ π

 

조도 계산

(1) 반구형 천장, 평원판 관원에 의한 조도 계산

E = (πBr²)/(h²+r²) [lx]

(2) 구형 광원에 의한 조도 계산

E = πBr²/h² [lx]

 

 

 

교류식 전기 철도에서 전압불평형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변압기 결선방식은?

   Y-결선 ② Δ-결선

   V-결선 스코트 결선

 

전기철도의 사용되는 결선

전압 불평형 방지 : 스코트 결선(T결선)

통신 유도장해 방지법 : 흡상 변압기(BT)

 

 

 

흑연화로, 카보런덤로, 카바이드로 등의 가열방식은?

   아크 가열 유도 가열

   간접저항 가열 직접저항 가열

 

직접저항가열의 종류

흑연화로, 카아보런덤로, 카바이드로, 알루미늄용해로

 

 

 

SCR의 턴온(turn on) 20A 의 전류가 흐른다. 게이트 전류를 반으로 줄이면 SCR의 전류(A)?

   5 10

   20 40

 

SCR이 도통 상태일 때 게이트 전류가 변하여도 부하전류는 변하지 않는다.

 

 

 

완전 확산면의 휘도(B)와 광속 발산도(R)의 관계식은?

   R=4πB R=2πB

   R=πB R=π2B

 

광속 발산도 R[rlx] : 어떤 면(1차 광원 또는 빛을 반사하는 면)의 단위 면적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속, 발산 광속의 밀도

※ 광속 F[lm] : 광원에서 나오는 복사속을 눈으로 보아 빛으로 느끼는 크기를 나타낸 것

※ 복사속 : 어떤 광원으로부터 에너지가 복사되고 있을 때 단위 시간에 복사되는 에너지의 양

※ 복사 : 전자파로서 전달되는 에너지

 

광속 발산도 R = F/S[lm/][rlx]

광속 발산도 R = (F/S)×τ×η[lm/][rlx]

(S : 발광 면적, τ : 투과율, η : 기구효율)

완전확산면 : 어느 방향에서나 눈부심이 같은 면

R = πB = τE = ρE

(ρ : 반사율)

 

 

 

최근 많이 사용되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 중 IGBT의 특성이 아닌 것은?

    게이트 구동 전력이 매우 높다.

    용량은 일반 트랜지스터와 동등한 수준이다.

    소스에 대한 게이트의 전압으로 도통과 차단을 제어한다.

    스위칭 속도는 FET와 트랜지스터의 중간 정도로 빠른 편에 속한다.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MOSFET를 게이트부에 넣은 접합형 트랜지스터

게이트-이미터 간의 전압이 구동되어 입력 신호에 의해서 온/오프가 생기는 자기소호형

대전력의 고속 스위칭이 가능한 반도체 소자

게이트의 구동 전력이 낮다.

 

 

 

리튬 1차 전지의 부극 재료로 사용되는 것은?

    리튬염 금속리튬

    불화카본 이산화망간

 

리튬전지(Lithium Cell)

양극

음극(부극) : 금속리튬

특징 : 가볍고 용량이 크며 넓은 온도범위

 

 

 

번개로 인한 외부 이상전압이나 개폐 서지로 인한 내부 이상전압으로부터 전기시설을 보호하는 장치는?

    피뢰기 피뢰침

    차단기 변압기

 

피뢰기(L.A) : 이상 전압의 파고값을 저감시켜 기기(변압기)를 보호

 

 

 

고장전류 차단능력이 없는 것은?

    LS VCB

    ACB MCCB

 차단기 : 정상전류 통전 및 이상전류 시 차단하여 전로와 기기 보호

 LS는 선로개폐기

 

 

 

전선 재료로서 구비할 조건 중 틀린 것은?

    도전율이 클 것 접속이 쉬울 것

    내식성이 작을 것 가요성이 풍부할 것

 

전선 재료의 구비 조건

도전율이 클 것

인장 강도가 클 것

가요성이 클 것

내식성이 클 것

비중(밀도)가 작을 것

기계적 강도가 클 것

 

 

 

램프효율이 우수하고 단색광이므로 안개지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광원은?

    수은등 나트륨등

    크세논등 메탈할라이드등

 

나트륨등

투시력이 좋다.(안개 낀 지역, 터널 등에서 사용)

단색 광원(순황색)으로 옥내 조명에 부적당하다.

효율이 우수하다.

연색성이 좋지 않다.

 

 

 

누전차단기의 동작시간 중 틀린 것은?

    고감도 고속형: 정격감도전류에서 0.1초 이내

    중감도 고속형: 정격감도전류에서 0.2초 이내

    고감도 고속형: 인체감전보호용은 0.03초 이내

    중감도 시연형: 정격감도전류에서 0.1초를 초과하고 2초 이내

 

누전 차단기의 선정

저압전로에 시설하는 누전차단기는 전류동작형으로 다음 각 호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누전 차단기의 종류

구분

정격 감도 전류[mA]

동작시간

고감도형

고속형

5

10

15

30

정격 감도 전류에서 0.1초 이내, 인체 감전 보호용은 0.03초 이내

시연형

정격 감도 전류에서 0.1초 초과하고 2초 이내

반한시형

정격 감도 전류에서 0.2초 초과하고 1초 이내

정격 감도 전류 1.4배의 전류에서 0.1초를 초과하고 0.5초 이내

정격 감도 전류 4.4배의 전류에서 0.05초 이내

중감도형

고속형

50, 100, 200, 500, 1000

정격 감도 전류에서 0.1초 이내

시연형

정격 감도 전류에서 0.1초 초과하고 2초 이내

저감도형

고속형

3000, 5000, 10000, 20000

정격 감도 전류에서 0.1초 이내

시연형

정격 감도 전류에서 0.1초 초과하고 2초 이내

 

 

 

특고압, 고압, 저압에 사용되는 완금(완철)의 표준길이(mm)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900 1800

    2400 3000

 

가공배전선로 완금의 길이

전선의 개수

특고압

고압

저압

2

3

1800

2400

1400

1800

900

1400

 

 

 

하향 광속으로 직접 작업면에 직사시키고 상향 광속의 반사광으로 작업면의 조도를 증가시키는 조명기구는?

    간접 조명기구 직접 조명기구

    반직접 조명기구 전반확산 조명기구

 

 

 

금속관 공사에서 절연 부싱을 쓰는 목적은?

    관의 끝이 터지는 것을 방지

    관의 단구에서 전선 손상을 방지

    박스 내에서 전선의 접속을 방지

    관의 단구에서 조영재의 접속을 방지

 

(절연)부싱 사용용도 : 전선 관단에 끼우고 전선을 넣거나 빼는 데 있어서 전선의 피복을 보호하여

전선이 손상되지 않게 하는 것

 

 

 

강제 전선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후강 전선관과 박강 전선관으로 나누어진다.

    폭발성 가스나 부식성 가스가 있는 장소에 적합하다.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식아연도금범이 사용된다.

    주로 강으로 만들고 알루미늄이나 황동, 스테인레스 등은 강제관에서 제외된다.

 

강제 전선관

후강 전선관(내경, 짝수), 박강 전선관(홀수, 외경)

건식 아연 도금법 : 녹이 스는 것 방지

방폭배관(박강)에 사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