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화재탐지설비의 P형 수신기에서 공통선 시험을 하는 목적과 시험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시오.
(1) 목적 : 감지기 회로의 배선에 있어서 하나의 공통선에 접속된 경계구역이 7개 이하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2) 방법
① 수신기내부의 접속단자의 공통선 1선을 단자대에서 분리한다.
② 회로도통시험을 시행한다.
③ 단선표시 회로의 회선수를 조사한다.
④ 차례로 나머지 공통선도 시험을 한다.
◎ P형 1급 수신기의 예비전원을 시험하는 방법과 양부 판단의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시험방법
① 예비전원 시험스위치를 누른다.
② 전압계의 지시치가 지정범위 내에 있는 가 확인한다.
③ 교류전원을 개로하고 자동절환 릴레이의 작동상태 확인한다.
(나) 양부판단 기준 : 예비전원의 전압, 용량, 절환상황 및 복구작동이 정상상태일 것
◎ 자동화재탐지설비 중 수신기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GP형 수신기의 기능에 대하여 간단히 쓰시오.
☞ P형 수신기의 기능과 가스누설경보기의 기능을 겸한 것
(나) R형 수신기의 특징에 대하여 4가지만 쓰시오.
① 선로의 수가 적어 경제적이다.
② 화재 발생 지구를 숫자 또는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③ 증설 및 이설이 비교적 용이하다.
④ 선로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⑤ 화재 신호의 전달이 명확하다.
⑥ 일반적으로 고층 또는 대규모 건물에 설치한다.
(다) M형 수신기를 설치하는 장소를 쓰시오.
☞ 관할 소방관서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P형 수신기와 R형 수신기의 신호전달방식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 P형 수신기 : 1 : 1접점방식
• R형 수신기 : 다중전송방식
◎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이 일시적으로 발생한 열, 연기 또는 먼지 등으로 인하여 감지기가 화재신호를 발신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축전기능 등이 있는 수신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측적기능이 있는 수신기를 설치하여야하는 장소를 3가지만 쓰시오.(단, 설치된 감지기는 축적형 이외의 감지기이다.)
• 지하층, 무창층 등으로서 환기가 잘되지 아니하는 장소
• 실내면적이 40[㎡] 미만인 장소
• 감지기의 부착면과 실내바닥과의 거리가 2.3[m] 이하인 장소
◎ 자동화재탐지설비인 수신기의 설치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답을 쓰시오.
• 수신기가 설치된 장소에는 ( )를 비치할 것
• 수신기의 ( )는 그 음량 및 음색이 다른 기기의 소음 등과 명확히 구별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 수신기는 ( ), ( ) 또는 ( )가 작동하는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의 설치기준을 5가지만 쓰시오.
◎ P형 1급 수신기의 공통선시험, 회로저항시험, 지구음향시험의 양부 판단의 기준에 대하여 쓰시오.
• 공통선시험 : 하나의 공통선이 담당하는 경계구역 수가 7 이하가 될 것
• 회로저항시험 : 하나의 감지기 회로의 전로저항 값이 50[Ω] 이하가 될 것
• 지구음향시험 : 음량은 부착된 음향장치의 중심으로부터 1[m] 떨어진 위치에서 90[dB]이상이 될 것
◎ P형 1급 수신기의 화재표시작동시럼을 하는 경우 작동여부를 확인하여야 할 사항을 3가지만 쓰시오.
• 각 회로의 릴레이 정상작동여부
• 화재표시등 정상점등여부
• 음향장치의 정상작동여부
◎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된 수신기에서 스위치 주위등이 점멸하고 있다. 어떤 경우에 점멸하는 지 그 원인을 2가지만 쓰시오.
• 주경종 정지스위치가 눌러져 있는 경우
• 지구경종 정지스위치가 눌러져 있는 경우
※ P형 수신기
(1) 화재표시작동시험
① 작동시험방법
㉠ 수신기의 동작시험 및 자동복구 버튼을 누른다.
㉡ 회로시험스위치를 차례로 회전하면서 각 회로의 작동시험을 실시한다.
㉢ 각 회로 작동시험 종료 후 회로시험스위치를 원위치(정상위치)시킨다.
㉣ 동작시험 및 자동복구 버튼을 다시 눌러 원위치로 복구시킨다.
㉤ 복구스위치를 눌러 수신기를 복구시킨다.
② 가부판정기준
㉠ 각 회로의 릴레이작동기능 정상확인
㉡ 화재표시등, 지구표시등, 음향장치의 작동상태 확인
(3) 공통선 시험
① 작동시험방법
㉠ 수신기내부의 접속단자의 공통선 1선을 단자대에서 분리한다.
㉡ 회로도통시험을 시행한다.
㉢ 단선표시 회로의 회선수를 조사한다.
㉣ 차례로 나머지 공통선도 시험을 한다.
② 가부판정기준
☞ 단선 표시되는 회로가 단자대에서 제거한 공통선과 공동회로이며 그 수가 7 이하가 되면 정상이다.
(4) 예비전원시험
① 작동시험방법
㉠ 예비전원 시험스위치를 누른다.
㉡ 전압계의 지시치가 지정범위 내에 있는 가 확인한다.
㉢ 교류전원을 개로하고 자동절환 릴레이의 작동상태 확인한다.
② 가부판정의 기준
☞ 예비전원의 전압, 용량, 절환상황 및 복구작동이 정상상태일 것
(6) 회로저항시험
① 시험방법
㉠ 저항계 또는 테스터를 사용하여 감지기회로의 공통선과 표시선사이의 전로에 대하여 측정한다.
㉡ 항상 개로식인 것에 있어서는 회로의 말단상태를 도통상태로 하여 측정한다.
② 가부판정의 기준
☞ 하나의 감지기 회로의 합성 저항 값이 50[Ω] 이하일 것
※ 수신기 P형과 R형의 비교
|
P형 수신기 |
R형 수신기 |
신호 종류 |
전회로 공통신호 |
회로별 고유신호 |
신호전달방식 |
개별신호방식(1:1 접점 방식) |
다중전송방식(고유신호방식) |
화재발생지구표시방식 |
램프 점등방식 |
디지털 표시방식 |
중계기 필요유무 |
중계기 불필요 |
중계기 필요 |
증설 및 이설 |
비용이 많고 어렵다. |
비용이 적고 쉽다. |
유지관리 |
선로수가 많으며 수신기에 자기진단 기능이 없으므로 유지관리가 어렵다. |
선로수가 적으며 자가진단 기능이 있어 고장발생을 자동으로 표시 및 경보되므로 유지관리가 쉽다. |
자기 진단 |
없음 |
CPU에 의해 자기진단 가능 |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의 설치기준
•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 다만, 사람이 상시 근무하는 장소가 없는 경우에는 관계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관리가 용이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 수신기가 설치된 장소에는 경계구역일람도를 비치할 것. 다만, 모슨 수신기와 연결되어 각 수신기의 상황을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는 수신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주수신기를 제외한 기타 수신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수신기의 음향기구는 그 음량과 음색이 다른 기기의 소음 등과 명확히 구별 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 수신기는 감지기, 중계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 화재, 가스 전기등에 대한 종합방재반을 설치한 경우에는 해당 조작반에 수신기의 작동과 연동하여 감지기, 중계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 하나의 경계구역은 하나의 표시등 또는 하나의 문자로 표시되도록 할 것
• 수신기의 조작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0.8[m] 이상 1.5[m] 이하인 장소에 설치할 것
• 하나의 특정소방대상물에 2 이상의 수신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신기를 상호간 연동하여 화재발생 상황을 각 수신기마다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
'소방설비기사 > 단답형 서술형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대용)비상조명등 (소방설비기사 실기 기출) (0) | 2019.11.02 |
---|---|
비상콘센트설비 (소방설비기사 실기 기출) (0) | 2019.11.01 |
유도등 (소방설비기사 실기 기출) (0) | 2019.10.31 |
누전경보기, 가스누설경보기 (소방설비기사 실기 기출) (0) | 2019.10.30 |
비상방송설비 (소방설비기사 실기 기출) (0) | 2019.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