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압기]5. 손실과 효율 (1) 손실 (2) 손실 활용 ㉠ 무부하 시험 유효전력계에 의해 유효분인 철손을 구할 수 있다. 전류계에 의해 여자전류를 구할 수 있다. 1차측 전압, 여자전류를 알면 여자어드미턴스를 알 수 있다. ∴ 무부하 시험을 통해 철손, 여자전류, 여자어드미턴스를 알 수 있다. ㉡ 단락시험 동손 단락전류가 2차정격과 같게 됐을 때 단락을 했기 때문에 전류가 어드미턴스똑으로도, 2차측으로도 흐른다. 전력계에선 임피던스 권선의 저항(동손), 여자어드미턴스의 저항(철손)을 측정 2차측 단락전류에 비해 1차측 여자어드미턴스 전류는 매우 작다. ∴ 철손을 무시하고 동손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전압계(V1)가 측정하는 건 1차측 전압이며 전압계가 지시하는 것을 변압기의 내부임피던스전압, 내부임피던스 전압을 알기 때문에 임피던.. 2020. 8. 25. [변압기]3. 실제 변압기 [변압기]3. 실제 변압기 (1) 실제 변압기 (2) 임피던스 정합 (3) 등가회로 ① 등가회로를 그리기 위한 시험 ⦁ 저항측정시험 ⦁ 무부하시험(=개방시험) ⦁ 단락시험 ② 변압기의 극성 2020. 8.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