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시설의 분류 소방시설의 분류(*소방전기시설) 1. 소화설비 : 물 그 밖의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소화하는 기계, 기구 또는 설비 (1) 소화기구 ① 소화기 ② 자동소화장치(주방용, 캐비넷형, 소공간용 자동소화장치, 자동확산소화장치) ③ 간이소화용구(에어로졸식, 투척용 소화용구 및 소화약제 이외의 것을 이용한 간이소화용구) (2) 옥내소화전설비(호스릴 옥내소화전설비 포함) (3) 스프링클러설비, 간이스프링클러설비(캐비넷형 포함),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ESFR) (4) 물분무등소화설비(물분무, 미분무, 포, 이산화탄소, 할로겐화합물, 청정소화약제, 분말소화설비) (5) 강화액소화설비 (6) 옥외소화전설비 2. *경보설비 : 화재발생 사실을 통보하는 기계, 기구 또는 설비 (1)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기 (2.. 2020. 5. 14.
기타 (소방설비기사 실기 기출) ◎ 다음은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절연저항에 대한 것이다. ( )안에 알맞은 답을 쓰시오. 절연된 ( )와 외함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한 값이 ( )[MΩ](교류 입력측과 외함간에는 ( )[MΩ]) 이상이어야 한다. 그리고 절연된 선로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한 값이 ( )[MΩ] 이상이어야 한다. ※ 제10조(절연저항시험) ①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한 값이 5[MΩ](교류 입력측과 외함간에는 20[MΩ]) 이상이어야 한다. ② 절연된 선로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한 값이 20[MΩ] 이상이어야 한다. 제11조(절연내력시험) 시험부의 절연내력은 60Hz의 정현파에 가까운 실효전압 500V(.. 2019. 11. 4.
무선통신보조설비 (소방설비기사 실기 기출) ◎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종류(방식) 3가지를 쓰고 간단히 설명하시오. • 누설동축케이블 방식 : 동축케이블과 누설동축케이블을 조합한 방식 • 공중선(안테나) 방식 : 동축케이블과 공중선(안테나)을 조합한 방식 • 누설동축케이블 및 공중선방식 : 누설동축케이블의 장점과 공중선(안테나)의 장점을 조합한 방식 ◎ 다음은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누설동축케이블 등에 관한 설치기준이다. 다음 ( )안에 알맞은 답을 쓰시오. • 누설동축케이블은 화재에 따라 해당 케이블의 피복이 소실된 경우에 케이블 본체가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 4 )m 이내마다 금속제 또는 자기제등의 지지금구로 벽, 천장, 기둥 등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것 • 누설동축케이블 또는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는 ( 50 )Ω으로 하고, 이에 접속하는 공중선 분배기 .. 2019. 11. 3.
(휴대용)비상조명등 (소방설비기사 실기 기출) ◎ 휴대용 비상조명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이다. ( )안에 알맞은 답을 쓰시오. ① ( 숙박 )시설 ② 수용인원 ( 100명 ) 이상의 영화상영관, 판매시설 중 대규모점포, 철도 및 도시철도시설 중 지하역사, 지하가 중 지하상가 ◎ 다음은 휴대용 비상조명등에 대한 설치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답을 쓰시오. (1) 다음 각 목의 장소에 설치할 것 ① 숙박시설 또는 다중이용업소에는 객실 또는 영업장 안의 구획된 실마다 잘 보이는 곳(외부에 설치 시 출입문 손잡이로부터 ( 1 ) [m] 이내 부분)에 1개 이상 설치 ② 대규모점포(지하상가 및 지하역사는 제외)와 영화상영관에는 보행거리 ( 50 )[m] 이내마다 ( 3 )개 이상 설치 ③ 지하상가 및 지하역사에는 보행거리 ( 25 )[m] 이내마.. 2019. 1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