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전동기]8. 유도전동기의 기동 (1) 농형 ① 전전압 기동(직입 기동) : 5[kW] 소형에서 사용 ⦁ 기동전류가 크다.(정격전류의 4~6배) ② Y-Δ 기동 : 5~15[kW] ⦁ Y결선으로 기동, Δ결선으로 운전 ⦁ 기동 시 상전압이 선전압의 1/√3배 ⦁ 전압이 1/√3배 토크는 1/3배(T∝V²) ③ 리액터 기동 ⦁ 전압강하가 일어나 기동전류가 감소한다. 기동이 완료되면 리액터를 단락시킴 ④ 기동 보상기법 : 15[kW] 이상 ⑤ 콘돌퍼 기동 ⦁ 리액터 + 기동 보상기법 (2) 권선형 ① 비례추이 ⦁ 2차 저항을 증가시켜서 슬립을 증가시키고, 기동토크를 증가, 기동전류를 감소 2020. 9. 8. [동기기]9. 동기 전동기 (1) 동기 전동기 : 일정한 속도로 회전 정속도 전동기 ㉠ 장점, 단점 ① 속도가 일정하다. ② 역률 조절(동기 조상기에 사용)이 가능하다. 역률이 가장 좋은 전동기이다. ③ 손실을 줄일 수 있어 효율이 좋다. ④ 내구성이 좋다. - 분쇄기 ① 기동토크가 작다. 혼자 기동하기 어렵다. ② 속도조절이 어렵다. ③ 계자전원이 필요하다. ④ 난조가 발생이 쉽다. (2) 전기자반작용 발전기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전동기 플레밍의 왼손 법칙 R부하에 의한 교차 교차 L부하에 의한 감자 증자 C부하에 의한 증자 감자 동기전동기를 무부하운전을 하게 되면 무효전력을 공급 지상무효전력 진상무효전력 (3) 동기전동기의 기동 동기전동기의 기동 : 기동토크가 작다-외부에서 기동을 도와줘야 한다. ① 자기 기동법 제동권선으로 .. 2020. 8. 2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