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전동기]8. 유도전동기의 기동 (1) 농형 ① 전전압 기동(직입 기동) : 5[kW] 소형에서 사용 ⦁ 기동전류가 크다.(정격전류의 4~6배) ② Y-Δ 기동 : 5~15[kW] ⦁ Y결선으로 기동, Δ결선으로 운전 ⦁ 기동 시 상전압이 선전압의 1/√3배 ⦁ 전압이 1/√3배 토크는 1/3배(T∝V²) ③ 리액터 기동 ⦁ 전압강하가 일어나 기동전류가 감소한다. 기동이 완료되면 리액터를 단락시킴 ④ 기동 보상기법 : 15[kW] 이상 ⑤ 콘돌퍼 기동 ⦁ 리액터 + 기동 보상기법 (2) 권선형 ① 비례추이 ⦁ 2차 저항을 증가시켜서 슬립을 증가시키고, 기동토크를 증가, 기동전류를 감소 2020. 9. 8. [유도전동기]5. 비례추이 ⦁ 회전자 저항(2차 저항)을 가감하여 슬립을 변화시킨다. ⦁ 비례추이가 가능한 유도전동기는 권선형 유도전동기. 2차 저항이 증가하면 슬립도 증가한다. 슬립이 증가함에 따라 속도가 감소하고 토크가 증가한다. 토크가 증가해 기동전류는 감소한다. ㉠ 부하토크로 기동하기 위한 기동토크(기동토크 = 부하토크) ㉡ 기동토크 = 최대토크 ※ 비례추이 가능/불가 ⦁ 2차 저항을 환산한 값을 슬립으로 나눈 값이 없다면 비례추이 불가 ⦁ 권선형에서만 가능 ⦁ 최대토크는 일정하며 2차 저항 증가로 기동토크가 증가한다. 2020. 9. 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