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축물의 화재성상
(1) 목재 건축물
① 목재의 상태와 연소속도
형상 |
사각형 |
둥근 형태 |
건조상태 |
건조한 상태 |
수분이 많은 경우 |
표면 |
거친 표면 |
매끈한 경우 |
두께, 크기 |
얇고 가는 경우 |
두껍고 굵은 경우 |
목재의 색상 |
검정(열 흡수↑) |
밝은 색 |
내화성 |
내화성이 없는 것 |
내화성이 있는 것 |
기름, 페인트 |
페인트 칠 |
칠 없는 목재 |
② 목재 건축물의 화재 진행과정
화재의 원인 ⇨ 무염착화 ⇨ 발염착화 ⇨ 출화(발화) ⇨ 성장기 ⇨ 최성기 ⇨ 연소낙화 ⇨ 진화
• 출화(발화) ⇨ 성장기 ⇨ 최성기 : 4~14분(5~15분)
• 최성기 ⇨ 연소낙화 : 6~19분
• 출화(발화) ⇨ 성장기 ⇨ 최성기 ⇨ 연소낙화 : 13~24분
③ 출화의 구분
옥내 출화
• 가옥구조에서 천장면에 발염착화한 경우
• 천장 속, 벽 속, 등에서 발염착화한 경우
• 불연천장이나 불연벽체인 경우 실내의 그 뒷면에 발염착화한 경우
옥외 출화
• 창, 출입구 등에 발염착화한 경우
• 외부의 벽, 지붕 밑에서 발염착화한 경우
④ 목재 건축물의 표준 화재 온도 곡선
• 화재 성상 : 고온 단기형
• 최성기의 최고온도 : 1300°C
⑤ 출화부(불이난 지점) 추정의 원칙
• 도괴 방향법 : 쓰러진 방향이 불이난 지점이라 추정
• 탄화 심도 비교법 : 발화부에 가까울수록 깊게 타들어 간다
⑥ 연소확대
• 접염 : 불꽃의 접촉으로
• 비화 : 불씨가 날아가서 옮겨 붙는
• 복사열
⑦ 훈소 : 착화 에너지가 충분하지 않아 가연물이 발화되지 못하고 다량의 연기가 발생되는 현상
• 훈소흔 : 목재에 남겨진 타고 남은 흔적
(1) 내화 건축물
① 내화 건축물의 화재 진행과정
초기 ⇨ 성장기 ⇨ 최성기(실내온도 800~1100°C) ⇨ 감쇠기 ⇨ 종기
② 내화 건축물의 표준 화재 온도 곡선
• 화재 성상 : 저온 장기형
• 최성기의 최고온도 : 800~1100°C
30분 내화 : 840°C
1시간 내화 : 925~950°C
2시간 내화 : 1010°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