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설비
(1) 전류의 작용 : 열작용. 자기장, 화학작용
(2) 수전용량 설정(수용률, 부등률, 부하율)
https://nicebarn.tistory.com/35 참고
(3) 전압의 구분
직 류 | 교 류 | |
저 압 | 600[V] 이하 | 750[V] 이하 |
고 압 | 600~7000[V] | 750~7000[V] |
특 고 압 | 7000[V] 초과 |
(4) 축전기 충전방식
보통충전 | 필요할 때마다 표준시간률로 소정의 충전을 하는 방식 |
급속충전 | 비교적 단시간에 보통 충전전류의 2~3배의 전류로 충전 |
부동충전 | 전지의 자기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상용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은 충전기가 부담하도록 하되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전류 부하는 축전지로 하여금 부담하게 하는 방식 |
균등충전 | 부동충전 방식에 의하여 사용할 때 각 전해조에서 일어나는 전위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1~3개월마다 1회, 정전압으로 10~12시간 충전하여 각 전해조의 용량을 균일화하기 위하여 행하는 방식 |
세류충전 | 자기방전량만을 항상 충전하는 부동충전방식의 일종 |
(5) 교류 3상 유도 전동기
⦁ 속도 제어방법 : 주파수 변환, 1차 전압, 극수 변환을 이용하여 속도 제어
(6) 배전
간선방식 평행식 나뭇가지식 병용식
(7) 배선방식
단상 3선식 | 3상 3선식 | 3상 4선식 |
두 종류의 전압을 얻음 | 동력전원 | 여러 종류의 전압이 필요할 때 대규모 건물에서 채용 |
(8) 전선굵기 선정
전선의 허용전류, 전압강하, 기계적 강도에 의해 전선의 굵기를 선정한다.
(9) 배선공사
경질비닐관 공사(PVC) |
중량이 가볍고 시공 용이 절연성 및 내식성 우수 열에 취약하고 기계적 강도가 약함 |
금속관 공사 | 콘크리트 매입공사, 전선교체 용이, 전선의 기계적 손상에 안전하지만 증설은 곤란함, 제3종 접지공사 |
가요전선관 공사 |
굴곡이 많은 장소, 금속관 공사로 하기 어려운 경우 옥내배선과 전동기를 연결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의 배선 및 증설, 철도 내의 배선에 이용 |
※ 장소에 구애 없는 것 : 경질비닐관, 금속관, 케이블 공사
⏹ 조명설비
♠ 조명방식
⦁ 전등효율 : 나트륨등 > 메탈할라이드등 > 형광등 > 수은등 > 백열전구
⦁ 연색성 : 형광등 > 메탈할라이드등 > 수은등 > 백열전구 > 나트륨등
♠ 조명설계
⦁ 광속의 계산 FUN = EAD
F : 광속
E : 조도
A : 실의 면적
D : 감광보상률
N : 광원의 개수
U : 조명률
M : 유지율(보수율) = 1/D
♠ 균제도 : 일정 공간에서 빛의 균일한 분포 정도를 말하며 조도균제도와 휘도균제도가 있다.
일반적으로 조도균제도를 말함(최소 조도값 / 평균 조도값)
♠ 접지의 종류
https://nicebarn.tistory.com/64 참고
♠ 기타 전기설비
약전, 정보통신설비의 분류
⦁ 약전설비 : 표시설비, 주차관제설비, 방재설비, 감시제어설비
⦁ 음성통신설비 : 전화설비, 인터폰설비, 구내방송설비, 무선통신설비
⦁ 영상통신설비 : TV공청설비, 영상회의설비
⦁ 정보설비 : 전기시계설비, 근거리 통신망
⏹ 승강 및 운송설비
1. 엘리베이터
♣ 안전장치 : 전자브레이크, 조속기, 비상정지버튼, 종점스위치, 리밋스위치, 리타이어링 캠, 완충기
리밋 스위치 : 종점 스위치가 고장 났을 때를 대비
♣ 속도별 분류
속 도(m/min) | 구동방식 | |
저 속 | 15, 20, 30, 45 | 교류 1단, 교류 2단 |
중 속 | 60, 70, 90, 105 | 교류 2단, 직류 기어 |
고 속 | 120, 150, 180, 210, 240, 300 | 직류 기어레스 |
♣ 평균대기시간(= 평균운전간격)
평균대기시간 = 일주시간 / 대수
승객의 대기시간은 평균운전간격 이하가 되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 무운전방식
단식 자동방식 | 승객 자신이 자동적으로 시동, 정지를 이루는 조작방식 |
승합 전자동식 |
승객 자신이 운전하는 전자동 엘리베이터로 목적층의 단추나 승강장으로부터의 호출 신호로 시동, 정지를 이루는 조작방식 |
하강 승합 자동방식 |
아파트와 같이 승강장으로부터의 호출신호가 있어도 정지하지 않고 최고호출에 응하여 정지한 후에 자동적으로 반전하여 하강하며 승장장으로부터의 호출신호에 응하여 정지하는 방식 |
2. 에스컬레이터
♣ 경사도
하강방향의 안전을 고려하여 경사도는 30°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높이가 6m 이하이고 공칭속도가 0.5m/s 이하인 경우에는 경사도를 35° 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건축기사 > 건축설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기사)가스설비, 배관용재료, 소화설비 (0) | 2020.02.13 |
---|---|
(건축기사)난방설비, 공기조화설비, 냉방(냉동)설비 (0) | 2020.02.11 |
(건축기사)급탕설비, 배수 및 통기설비, 오물정화설비 (0) | 2020.02.10 |
(건축기사)급수설비 (0) | 2020.02.09 |